728x90

1. 주형관(鑄型觀)

1) 개관

서양 교육의 초창기부터 지배적인 흐름으로 전개되어 온 입장으로 영국의 경험론자인 로크(J. Locke)를 거쳐 행동주의 심리학으로 발전해 나갔다.

이는 아동에게 일정한 지식을 주입하여 원하는 존재로 만들어 내는 것을 교육으로 본다고 하여 주입으로서의 교육’, 또는 주형으로서의 교육이라고도 불린다.

주형관에서 중시하는 것은 아동을 찍어내고자 하는 틀, 즉 교육의 목적과 아동에게 주입하고자 하는 교육내용이다.

2) 인간관 : 이들은 인간이 출생 시에 아무런 본유관념(innate ideas)도 갖지 않으며, 인간의 선악은 의도된 환경, 즉 교육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그래서 이들을 환경론자라고도 한다.

3) 교육의 목적 : 아무 것도 가지고 태어나지 못한 아동에게 일정한 교육내용을 전달하여 그 사회에 적합한 인간, 즉 사회적 존재로 만들어 내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4) 교육내용 : 조상의 문화적 유산 중 핵심적인 것을 골라 체계화시킨 것이 교육내용이 된다. 교육내용으로 체계적인 지식을 중시한다고 해서 주형관주지주의 교육이라고도 부른다.

5) 교사관 : 교사는 배우는 사람이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 즉 지식을 소유하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형관에 근거한 교육은 지식을 소유한 교사중심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2. 성장관(成長觀)

1) 개관

성장관은 서양교육의 비주류로 소크라테스에서 시작되어, 18세기 루소에 이르러 만개되었으며, 페스탈로치와 프뢰벨을 거쳐 죤 듀이로 이어진다.

이는 인간이 타고난 것을 중시한다고 하여 낭만주의 교육이라고도 불린다.

2) 인간관 : 인간을 특정한 소질과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존재로 파악한다.

3) 교육의 목적 : 아동이 지니고 있는 성장의 잠재력을 최대한 신장시켜 주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그래서 아동이 교육의 중심이 된다.

4) 교사상 : 교사는 학습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신장하기 위해서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존중하고, 학생들의 욕구와 필요를 이해해서 이들을 돕는 존재이다. , 교사는 안내자이자 조력자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