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주의 - 철학적 사상

본질주의 - 문예부흥기의 에라스무스가 지닌 휴머니즘

항존주의 -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에 담긴 휴머니즘

진보주의 - 민주주의가 가진 휴머니즘

 

 

1)

진보주의

본질주의

아동의 관심, 흥미

아동의 자발성

개인의 경험

아동의 노력, 훈련

교사의 자발성

민족경험

* 1900년 이전과 1930년 이후의 본질주의의 차이(졸라 조심)

1930년 이후의 본질주의는 진보주의의 장점을 일부분 수용

1930년 이후의 본질주의는 어린이의 관심, 자발성을 중시하면서, 아동의 노력과 교사의 자 발성을 더욱더 강조

 

 

2)

본질주의

항존주의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 강조

진보주의를 일부 수용

과거의 문화유산을 자료로 간주

지적, 고전적, 절대적 교육 강조

진보주의를 전격!! 거부

과거의 문화유산을 절대시

 

 

3)

진보주의

항존주의

가치는 가변적이고 일시적

소극적 교육

가치는 고정적이고 절대적

적극적 교육

* 소극적 교육관

󰠆󰠏 루소 : 아동의 자연성을 유지하며, 적극적인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 실존주의 : 기존의 학교교육을 거부함

󰠌󰠏 진보주의 : 학교에서 교사의 주도적, 적극적 변화를 아동들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4) 신 본질주의

본질주의(진보주의, 1930년이후) + 항존주의

교육의 목적 : 현실 생활과 미래 생활의 대비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지식의 구조)

브루노 [교육의 과정]

5) 문화연결체상으로 본 교육철학 : 항존주의 -> 본질주의 -> 진보주의  -> 재건주의

연구분야상으로 본 교육철학

 

 

6) 진보주의와 재건주의의 공통점

민주사회를 이상으로 본다

민주적 교육방법을 많이 도입

실용주의(행동주의)를 철학적 배경으로 한다.

전인교육

1. 철학의 종류

1) 존재론(형이상학)

존재(우주, 인간, 사물)

관념론, 실재론, 실용주의

2) 인식론

지식의 본질을 밝히려 함

경험론, 합리론, 분석철학

3) 가치론

가치의 본질을 밝히려 함

윤리학, 미학

4) 논리학(방법 철학)

철학이나 학문의 방법 제공

연역, 귀납법

 

 

 

 

 

 

 

2. 존재론과 교육

관념론

실제론

실용주의

존재의 본질은 정신과 마음

플라톤, 헤겔, 칸트, 초기의 기독교

교육적 특징

인격, 정신, 도덕 교육 강조

아동도 절대적인 정신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존중되야함

교양 교과 중시

교사는 권위적

존재의 본질은 존재 그 자체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스콜라철학, 과학자

교육적 특징

경험적, 과학적, 실제적 지 식 중시

실험실 교육을 중요시

교사는 주입식, 권위적일수 도 있다.

존재의 본질은 변화이다.

피어스, 제임스, 듀이

교육적 특징

 

 

 

 

3. 실존주의와 교육 ☆☆☆

1) 실존주의 철학

현상학 -> 실존주의, 인간주의

철학대상 : 현대산업사회에서 인간성의 상실

해결방법 : Humanism, 주체성, 만남

사상가 ->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 니체, 카뮤

2) Bollonow의 교육 철학 ☆☆☆ -> 졸라 출제 잘된대..

위기 : 현대 산업사회의 위기를 교육을 통해 강조

각성 : 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을 강조

만남 : 교사와 학생의 만남은 교육 이전에 인간적 만남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비연속성 : 기존의 비인간적인 사회와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연속적 교육은 비인간화를 양 산하고 있다. 그러한 교육을 거부하고 탈피할 때 좀더 높은 수준의 인간이 된다 (소극적 교육관, Bollonow 사상).

3) 기타

실존주의는 전인교육 추구

자아실현(교육목적)

인간의 주체적인 삶을 강조

 

 

 

4. 분석철학과 교육

1) 분석철학

과학철학 -> 과학에서 비과학적 요소를 제거하여, 진정한 과학을 회복하고자 하는 철학

경험론 󰠏󰠇󰠏> 캠브리지 학파 -> 비엔나 학파 -> 분석철학

합리론 󰠏󰠎 Oxford 학파

철학적 특징

반형이상학 주의 󰠏󰠇󰠏> 신의 세계, 인간 경험 불가의 세계는 논외

경험주의 󰠏󰠎

논리 분석 주의 : 논리, 체계적 방법 중시

언어 분석 주의 : 과학은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식은 언어적 표현이다.

언어를 분명히 하는 것은 지식과 과학을 분명히 하는 것임.

사상가

Petets, 러셀, 비트겐슈타인, K. Poper, 롤즈

2) 교육적 특징

사고의 명확성과 결정성

추리의 일관성과 결정성

지식의 사실적 타당성과 객관성

합리주의 도덕(덕목론적 교육)

1. 지식의 종류

1) 방법적 지식

명제적 지식 󰠏󰠇󰠏 사실적 지식

󰠉󰠏 논리적 지식

󰠌󰠏 규범적 지식

2)

방법적 지식

명제적 지식

① 󰠆󰠏 나는 ~을 할 줄 안다.

󰠉󰠏 나는 ~을 하는 방법을 안다.

󰠌󰠏 나는 ~을 하는 방법적 지식을 가지고 있 다.

) 수영을 할 줄 안다.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를 지닌다.

기술이나 기능에 관한 지식

언어로 표현하거나 확인하기 어려운 지식

(잠재적 지식)

실험, 실습, 시범

나는 ~이라는 것을 안다.

 

 

 

) 서울시 인구는 천만명이다.

참과 거짓에 중점을 두는 지식

언어로 표현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지식

(외현적 지식)

 

 

2. 명제적 지식 ☆☆☆☆

1)

논리적(분석적, 형식적) 지식

규범적(평가적) 지식

사실적 지식

1 + 1 = 2

의미를 명백히 밝히려는 지 식

우연이나 예외가 인정되지 않고, 확실적 지식

연역적 사고에 의해 얻어짐

수학

마광수의 소설은 외설이다.

어떤 기준을 두고 가치의 유 무를 판단하려는 것

윤리학, 미학, 도덕

포유동물은 새끼를 낳는다.

경험에 의해 획득, 확인

우연이나 예외가 인정되는 확률적 지식

잠정적, 가설적, 개연적 지식

귀납적 사고에 의해 얻어짐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은 여 기에 해당됨

⑦ 󰠆󰠏 경험적 지식 : 현재의 경 󰠐 험에 의해 확인됨

󰠌󰠏 형이상학적 지식 : 종교 적 주장과 같이 현재 경험 에 의해 확인되지 않는 지식

 

2)

귀납적 지식

연역적 지식

여러 개별 사실에서 공통점을 모아 일반화시 킨것

사실적 지식의 성격과 동일

삼단논법

전제의 참과 거짓에 결론의 참과 거짓은 100%의존한다.

이런 지식은 논리적 확실성만을 보장함

(사실적 참은 아닐 수 있다.)

3) 명제적 지식의 성립조건

(서울시의 인구는 천만명이다.)

A B

신념조건 : 명제적 지식의 표현 그 자체를 의미한다.

󰠆󰠏 나는 AB라는 것을 안다.

󰠌󰠏 나는 AB라는 것을 믿는다.

진리조건 : B가 참이어야 한다.

증거조건 : B가 참인 증거 P가 있다.

방법조건 : 타당한 방법 K에서 얻어져야 한다.

-> 4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것은 사실적 지식중 경험적 지식밖에 없다.

* 플라톤의 [Menon]에서 방법 조건을 제외한 3가지 조건을 제시.

1. 교육 철학의 개념

- 교육 현상을 철학적 방법으로, 철학적 수준에서 연구하는 것.

 

 

2. 교육 철학의 임무

교육 정의에 관한 철학적인 접근 󰠏󰠈

교육 목적에 관한 철학적인 접근 󰠉󰠏 교육철학과 직접 관련

교육 내용에 관한 철학적인 접근 󰠏󰠎

교육 방법에 관한 철학적인 접근 -> 교육철학과 간접 관련

 

 

3. 교육 철학의 기능 ☆☆☆☆

1) 분석적 기능 : 교육 현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분명하게 분석, 정립하는 기능

2) 통합적 기능 : 세분화된 교육 현상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유기적, 체계적으로 통합시키는 기능

3) 사변적 기능 : 교육현상이 성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방향을 제시하며, 가설이나 제언 을 제공하며, 문제점의 해결을 탐색하는 기능.

4) 평가적 기능 : 어떤 기준을 두고 가치의 유무를 판단하려는 기능.

 

 

4.

1) 개인이 지닌 교육 철학 : 교사, 학생들 개인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생각, 관념, 사상 등을 지님.

2) 학문으로서의 교육 철학 : 개인이 지닌 교육 철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해나가는 것 이 주된 목적이다. 그래서 교육 철학은 규범적, 도덕적, 가치지향 적이어야 한다.

 

 

5.

철 학

과 학

목적

과학의 모태로써 과학이 성립할 수 있는 기 반을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

교육사, 교육철학

수단과 방법

여러 현상에서 원인과 결과의 인과법칙을 발 견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

교육심리, 교육 방법론, 교육 과정, 생활지도 평가

1. 새로운 학교의 출현

1) 세실, 레디, 도모랑 -> 신학교

2) Litz -> 전원학교

3) 죤 듀이의 실험학교

4) 타고르 -> 평화의 집

5) 몬테소리 -> 아동의 집

6) Neil -> Summer Hill School

7) 반더 포겔과 보이스카웃 운동

 

 

 

2. 사상가

1) Condorcet -> "공교육 개혁안☆☆☆☆☆

공교육은 국가가 담당해야할 당삼한 의무이다.

공교육은 국민들에게 교육 기회 균등을 제공해 줘야 한다.

(의무교육, 무상교육, 평생교육, 계속교육, 학교의 균등한 분포)

공교육은 진리로운 지식만을 전달해야 한다.

-> 지적인 교육은 학교가 담당, 정의적인 교육은 가정이 담당

공교육은 모든 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정치/종교).

공교육은 교육의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가르치고 배울 자유).

* 우리나라 헌법 31

교육 기회 균등

의무 교육

무상 교육

교육의 자주성, 정치적 독립성, 대학의 자율성

평생교육

교육에 관한 법률 규정

헌법 -> 교육법(법률) -> 교육법 시행령(명령) -> 조례, 규칙

2) 죤 듀이

Gotha 교육령(1642)

메사추세츠 교육령(1642)

고타의 영주 Ernst 경이 자신의 영지에 있는 학교운영에 관한 규칙을 발표

시행령적 의미

중앙 집권적

루터, 코메니우스 사상에 영향받음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청교도 이민단이 학교의 설립을 요구한 것.

헌법적 의미

지방 분권적

칼빈의 영향 받음

* 공통점 : 아동의 취학 의무 규정

산업혁명 시대의 빈민학교(산업혁명시대때 공장 노동자였던 어린이와 부녀자들의 아이들을 모아서 교육시킨 곳.)

Raikes "일요학교

BellLancaster "조교학교

Owen "유아학교

기독교 보급협회의 자산학교

 

 

 

1. 종류

1) 심리적 계발주의(신인문주의의 대표)

아동의 내면적, 심리적 특성을 중요시함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2) 국가주의

① 󰠆󰠏 자연적 국가주의 : 스파르타(교육 -> 군인 -> 국가부강)

󰠌󰠏 문화적 국가주의 : 19세기 독일(교육 -> 문화 -> 국가부강)

피히테, Krieck, 슐라이어 마허

󰀲 [독일국민에게 고함]

나폴레옹 전쟁에서 패한 원인을 이기심과 도덕성의 상실로 보고, 교육을 통해서 독일국민 의 단결과 도덕성의 회복성을 강조하는 연설문을 모은 책 -> 독일 국가의 부강 주장

3) 과학적 실리주의

과학적 지식과 실제적, 경험적 지식 중시

스펜서

교육목적 - 성인생활의 완전한 준비과정

생리학(생물학) - 성인 생활에 필요

 

 

 

 

 

2. 사상가(신인문주의 3대 종류 중 게발주의)

1) 페스탈로찌

기초 : 루소의 자연주의(합자연의 원리)

주요 교육원리

󰋯자발성 존중의 원리(주입식 금지)

󰋯방법의 원리 : 심리적 발달단계에 따라 가르치자.

자연상태(무율)->사회상태(타율)->도덕상태(자율)

󰋯조화의 원리(페스탈로찌의 교육 목적이기도 하다.)

3H(Head, Heart, Hand) => 전인교육

󰋯사회의 원리 : 가정 교육의 원리(사랑)에 기초한 학교 교육

󰋯직관교수의 원리 : 모든 인식은 감각적인 직관에 의해 시작되어야 한다. , 생활을 바탕으로 하는 실천과 경험 중시

관련저서 -직관의 ABC(Comenius의 직관교수의 원리보다 더 체계적)

󰋯노작교육의 원리 : 활동 통한 전인격적 성장.

노작교육관의 선구자로서 훗날 Kerchensteiner, Gaudig 등에게 영향

 

 

2) 프뢰벨

독일. 유치원교육의 선구자

기초 : 범신론(존재하는 모든 것에 신의 뜻이 들어있다.)

교육목적 : 신성계발

교육방법

연속적 발달 지향의 원리/자기표현과 자기실현의 원리(노작과 유희 중시)/

자기 활동의 원리(최소 2시간 정도)/통일성의 원리(=궁극적 신과의 일치)/

kindergarten설치(은물에 의한 교육)

주요 저서 인간교육

 

 

3) 헤르바르트

①『일반교육학으로 교육학이론 체계화를 이룩한 선구자

교육의 목적 : 도덕적 품성 도야

교육의 방법 :

관리(훈련과 교수를 위한 예비적 활동) - 훈련(도덕적 품성 도야) - 교수(지적 능력 도야)

1. 계몽주의(Enlightment)

1) 합리적 이성으로 무지와 미신을 타파함

2) 특징

이성주의

과학적 지식 중요시(주지주의)

개인주의, 기계주의(엄격한 원리와 원칙 의미)

역사주의, 사회주의, 문화주의

시민 혁명의 사상적 기반(개혁주의)

 

 

 

2. 종류

1) 계몽주의 교육 -> 학자들의 의견의 공통점을 못찾지롱~~~

2) 자연주의 교육 -> 루소

3) 범애주의 교육 -> 바제도우, 짤쯔만

3. 사상가

1) 로크

경험론의 완성자(베이컨 -> 로크)

계몽주의의 출발자(로크 -> 루소)

백지설(Tabula Rasa) : 인간은 출생때 백지와 같다. 이 백지가 경험(교육, 환경)에 의해 채 워질 때 선한 인간과 악한 인간이 된다(경험, 교육, 환경의 중요성 강조)

형식 도야설(정신 도야설)

-> 인간은 주요한 정신적 능력을 지닌 존재이다. 이 정신적인 능력을 어려운 교과의 학습을 통해서 계발하면, 이 능력과 관련된 다른 교과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

, , 체의 전인 교육 주장, 특히 체력의 중요성 강조

서민 교육의 입장을 나타내지 못한다.

2) 루소☆☆☆☆☆

자연주의(합자연의 원리) so 소극적 교육관

체벌 금지 주장

주정주의, 실물직관주의

④『에밀(2000년 출제! 각 편의 교육 종류 물음.)

1편 유아기 - 신체단련 / 2편 아동기 - 감각훈련 / 3편 소년기 - 노작교육

4편 성년기 - 도덕교육, 종교교육 /

5편 소피교육 - 여성교육(현모양처를 여성교육의 지향으로 보는 소극적 여성교육관)

4. 범애주의

1) 루소의 사상 + 기독교의 사상 -> 인류의 사상

2) 직관 교수, 체육의 중요성, 인류애, 훈육 등을 강조

3) 바제도우 -> 범애학교의 창시자. 초등 독본, 초등 교본(18세기의 세계도회)

4) 짤즈만 -> 동노 조합 결성

 

1. 배경

자연 과학의 발달

신대륙의 발견과 이주

인식론(경험론, 합리론) -> 지식을 처리하는 방법을 추구

 

 

2. 실학주의 교육의 종류

1) 인문적 실학주의(인문주의에서 실학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 교육관)

- 고전을 활용해 사회 참여 능력 향상

- Rabelais, Milton, Vittorino

2) 사회적 실학주의

교육의 목적 : 신사(교양있는 귀족)의 양성

교육의 내용 : 성경, 지리, 역사, 천문학, 여행

문제점 : 귀족 교육에 국한되었다.

Locke, Montaigne

3) 감각적 실학주의(=과학적 실학주의) ☆☆☆ -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실학주의

목적 : 실용인, 실천인의 양성

종교 개혁 교육의 신 중심의 편협성, 인문주의 교육의 언어의 편협성을 탈피하고자 함

고전, 라틴어보다는 자연과학과 모국어 중시

암기나 암송보다는 관찰과 이해를 중시

직관 교수, 실물 교수, 시청각 교육을 강조

코메니우스

* 서민 교육을 강조하지만, 귀족 교육이 중심이었다고요~~~~~~~

1. 종교 개혁(Reformation)

- 중세의 권위적, 타락적인 신앙에서 벗어나, 내면적, 성서 중심의 초기 기독교로의 복귀 운동

 

 

2. 구교와 신교의 교육 비교

카톨릭 교육

프로테스탄트 교육

교회의 지도자 양성

로욜라, 라 살르

특징

중등 교육에 영향

강의와 반복, 엄격한 훈련

남자에게만 국한

라틴어 사용

교육 목적:교양있고 근대적인 기독교인 양성사상가 : 루터, 칼뱅, Melanchton

특징

초등 교육에 영향을 미침

다양한 교육 방법 사용

여성 교육 중시(여교사 양성)

모국어 사용

 

 

3. 사상가

1) Luther

- 16c 95개조 반박문

- 근대 최초 교육의 국가 책임론 주장

- 가정 교육 매우 중시(결혼의 제 1차적 사명은 아동을 교육하는 데 있다.)

2) Melanchthon

- 삭소니 교육안 고안 : 근대 최초의 공교육제를 제시한 교육안

3) Calvin

- 기독교강령 : 하나님 주권 사상(세상의 존재하는 모든 것은 하나님의 것)

- 사유제산제 최초 인정, 직업소명설, 일의 신성시

- 매사추세츠 교육령에 영향

1. Renaissance(문예부흥)

1) 중세 신중심의 문예사조에서 벗어나 그리스, 로마의 인간 중심 문예사조로의 복귀운동

2) 특징

인간 중심 주의(Humanism)

합리주의, 이성주의

현실 세계의 존중

개성의 발견과 존중

자유주의

 

 

 

2. 종류

개인적 인문주의

사회적 인문주의

키케로 주의

남부 유럽(이탈리아)

귀족적, 이기적 성격

미술, 음악

 

북부 유럽(네덜란드)

대중적, 서민적 성격

문학

 

언어를 중심으로한 인문주의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 암기

15 ~ 18세기 중엽까지 유럽 귀족 교육의 3세기를 담당

 

 

3. 사상가

1) Vittorino

- 최초의 근대적 교사

- 학교는 즐거운 집이 되어야 한다. - 궁정학교 운영

2) Erasmus

- 북구 최대의 사회적 인문주의자(인문주의 교육자의 대표)

- 로마 퀸틸리아누스의 웅변교수론을 수용 - 개성존중, 조기교육, 흥미존중, 자유교육 주장

1. 기독교 교육

1) 특징 : 신 중심주의, 내세주의, 세계주의(만민 평등 사상), 주정주의(도덕적 생활 강조)

2) 학교 제도

문답 학교

초등 교육 기관(교리, 3R's)

아동들의 세례 준비와 이교도의 교화를 담당

고급 문답 학교

중등 교육 기관

문답학교의 교사를 양성

본산 학교(감독 학교, 사원 학교)

성직자(신부)를 양성

이 학교의 교수들을 중심으로 스콜라 철학이 발달

수도원 학교(선구 : 몬테카시노 수도원 -- 베네딕트가 대표적)

내교 : 수도사의 양성

외교 : 귀족 자제의 교육

초등에서 고등 교육까지 담당(고구려의 경당과 유사)

지방 자치 학교의 성격을 띤다. - 지역사회학교운동(1940. 미국. 올센)의 원형적 모습

본산학교와 더불어 중세 대학 발생의 모체.

 

 

 

2. 기사도 교육

1) 목적 : 기독교의 무인 양성

2) 생활 교육, 비형식적 교육, 무술 교육, 귀족 교육, 세속 교육(종교 교육)

 

 

 

3. 카알 대제의 교육

1) 교육령(승령 법규)

1차 교육령(787) - 세계 최초의 교육령

2차 교육령(789)

3차 교육령(802) - 세계 최초의 의무 교육령

2) 궁정 학교

왕족의 자제 교육

영국의 본산 학교 교장이며, 세계적인 석학인 Alcuin이 교장 역임.

 

 

 

4. Schola 철학(주지주의) ☆☆

1) 십자군 원정(12세기 ~ 14세기)으로 추락한 신앙을 회복하기 위하여 기독교의 교리를 아리스 토텔레스의 철학으로 체계화시킨 것.

2) 교육의 목적 - 지성과 이성의 계발 -> 에 대한 접근

3) 영향

지식의 발달(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논리학(변증법, 논쟁력)의 발달 (교부철학과 스콜라 철학간의 격돌)

종교 개혁, 문예 부흥에 영향

근대 사회의 이행 촉진

대학, 시민 교육의 발달

항존주의에 영향

교부철학 - 아우구스티누스(플라톤의 철학)

󰠜󰠜󰠜󰠜󰠜󰠜󰠜󰠜󰠜󰠜󰠜󰠜󰠜󰠜󰠜󰠜󰠜󰠜󰠜󰠜󰠜󰠜󰠜󰠜󰠜󰠜󰠜󰠜󰠜󰠜󰠜󰠜󰠜󰠜󰠜󰠜󰠜󰠜󰠜󰠜󰠜󰠜󰠜󰠜󰠜󰠜󰠜󰠜󰠜󰠜󰠜󰠜󰠜󰠜󰠜󰠜󰠜󰠜 십자군 원정

스콜라 철학 - 토마스 아퀴나스(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5. 대학 교육

1) 볼로냐 대학(1088)->살레르노->파리(이상 단과대college)->옥스포드 대학(종합대university) (11세기 ~ 12세기 대학 형성)

2) 대학 교육의 목적 : 학자(교수)의 양성

3) 3대 특권 -> 교회와 국가로부터 자치가 인정됨

면세, 면역권

학낸 재판권

학위 수여권(철학, 의학, 법학, 신학)

4) 발달의 배경

사라센 문화의 도입

중세 학자들의 인지적 욕구 증가

스콜라 철학의 영향

자유 도시의 발달과 시민 계급의 형성

5) 특징

학생과 교수의 자발적 단체

라틴어로만 이루어졌다.

교수와 학생의 생활은 빈곤했다.

세속적 교육에 치중

강의, 반복, 토론’ “연역법

 

 

 

6. 시민교육

1) 귀족 교육(학교) - 문법학교, 공중 학교(영국 귀족 학교 명칭)

리세(프랑스), 김나지움, 라틴어 학교(독일) -> 중등교육에 영향

2) 시민 교육 - 모국어 학교, 습자 학교, 조합 학교 -> 초등 교육에 영향

조합 학교(Guild)

중세 자유도시의 상인과 수공업자들의 독점적, 배타적 동업 조합인 길드의 자제들을 교육시킨 학교

주로 실업교육이 이루어졌고, 교사가 수도사였기 땜시롱, 종교교육과 교양교육도 이루어졌다.

3) 도제 교육(비형식적인 교육의 종류) - 작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 고대 교육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교육 비교

나라

비교

스파르타

아테네

민 족

도리아족

이오니아족

법 전

리쿠르구스(Lycurgus) 법전

솔론(Solon) 법전

교육목적

 

애국정신이 높은 군인양성

 

초기 : 지덕체가 조화된 선미로운 인간 양성 후기 : 개인의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이기적 경향

내 용

군대훈련과 3R's

3R's와 선미 교육

방 법

엄격한 군사교육

개성중심의 진보적(자유주의적) 교육

문학, , 수학, 논리학, 철학, 음악..

단 계

렉제(Lechse) 검사

0 - 6 : 가정 교육기

7 - 17 : 국가 교육기(공동훈련)

18 - 20 : 본격적 군사 훈련

20 - 30 : 군복무

30 - : 시민권 획득, 결혼

 

0 - 6 : 가정교육(습관, 체력)

7 - 15 : 교복교육(체육, 음악, 3R's) -초등

16 - 18 : 김나지움(공립 체육관)교육

- 중등체육학교

(지적 교수 : 소피스트 지도의 수사학교 찾음)

18 - 20 : 에페빅(군사훈련단체)교육 후 시민권 획득, 결혼

특 징

국가, 전체주의 교육 --

후에 파시즘, 나찌즘, 전체주의에 영향

여성교육에 대해 적극적(강한 여성 밑에 강한 아들이 나온다는 사고)

자유, 개인, 진보주의 교육 --

후에 진보주의, 자유주의 인문주의에 영향

여성교육에 대해 소극적(여성은 다만 가정 을 원만히 꾸려가기만 하면 된다.)

공 통 점

국가에 꼭 필요한 유능하고 애국적인 시민 양성

1. 그리스 교육

사상가 :

<불변적, 보편적 진리관>

소크라테스(사상의 기본원리 :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지행일치설(지행합일설: 무지의 자각을 통해 선악구분하고 선한 행위 가능) -> 교육목적 : 도덕적 지행일치인 / 교육방법 : 산파법, 대화법, 문답법, 반어법, 질문법, 귀납법, 계발교수법, 변증법적 방법)

플라톤(이원론적 세계관, 이상주의 , 관념론 , 국가론/ 교육목적 : 진선미조화의 인간(=이상국가의 국민)/소수귀족중심엘리트교육주장/남녀차별없는 교육 - 교육에 있어 계급적 차별 두되 성적 차별은 하지 말자.)

아리스토텔레스( 고전적 실재론 : 실재론의 선구 - 감각적 경험되는 현실속에 참된 실재가 내재->스콜라 철학, 17c 실학주의, 항존주의 시청각 교육에 영향 / 중용론 :이성적 활동->중용->행복 / 교육목적 : 행복한 인간 양성(자아실현인:최초 사용)/개성교육 강조/소극적 여성교육관)

<상대적 진리관>

소피스트 - 진리의 실체는 변화이다./아테네의 직업적 교사들 -최초/도구적 진리관(지식은 생활도구)/자연에 대한 철학적 관심을 인간과 사회쪽으로 전환시킨 선구자들/극단의 이기주의와 자유주의로 사회질서를 혼란시키고 아테네몰락에 기여

 

2. 로마 교육

1) 목적 : 實用人, 實踐人의 양성(여러 학교에서 건축, 토목 등을 가르침)

2) 시대의 구분

왕정시대 -> 공화정 시대 -> 제정 시대

3) 제정시대의 교육기관

Ludus(문자학교)

초등 교육 기관

3R's, 12동판법(고대로마의 최고 성문법)

문법 학교

중등 교육 기관

7 자유과(기초), 호머의 시문학역사

수사, 법률, 철학 학교

고등 교육 기관

7 자유과(고급), 로마법, 윤리학, 라틴어, 그리스 문법

※ ① 3R's -> 독서산(읽고 쓰고 셈함)

12동파법 -> 12개의 청동판에 새겨진 것으로, 귀족의 관습법에 대항하여, 평민의 권리를 적어놓은 것으로, 로마 만민법의 기초가 되었다.

7 자유과 -> 3(문법학, 수사학, 논리학=변증법) 4(수학, 기하학, 천문학, 음악)

4) 주요 사상가

<공화정 시대>

Cato

로마 제 1의 보수적 애국적 교육 사상가, 희랍(그리스) 문화의 로마 유입 반대

자제교육론

노예교육 반대

Cicero

로마 제 1의 웅변가

웅변론”: 로마인에 의한 최초의 서적 ->정교,화려문체 가지는 로마 고전.

인문주의 교육 중시 : 형식적 인문주의 = 키케로주의 =>근대 인문주의에 많은 영향

성선설 입장 (= 동양의 맹자, 서양의 루소, 맥그리거의 Y이론..)

<제정시대>

Seneca

사상가이며 대 문장가로 진보적 교육사상 논함 - 암기배제, 개성 존중

도덕서간집” - 선생은 마음을 치료해 주는 사람이다.

성악설 입장(= 동양의 순자, 서양의 홉스, 칼뱅, 맥그리거의 X이론) ->so 악성퇴치교육

체벌 반대

Quintilianus ☆☆☆☆☆

최초의 공립학교 교사

성선설

가정교육보다 학교 교육을 중시

사립학교보다 공립학교 중시

개성 존중 교육, 조기교육, 자연성교육, 아동중심교육(-에라스무스에 영향 줌) 주장

유의와 놀이를 학습의 일부분으로 봄.

7가지 이유로 체벌 반대

웅변교수론 - 로마시대 최초의 교육학서

새는 날수 있게 태어났고, 말은 달릴 수 있게 태어났으며, 사람은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태 어났다.” -> 인간에게 교육의 중요성 강조

1. 고종의 <교육 입국 조서> ☆☆☆☆☆

1895년 고종에 의해 독자적으로 발표

1894년 갑오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한성 사범 학교(1895)등과 같은 근대 학교의 설립을 촉진

교육의 중요성 강조

공교육 제도의 표방

전근대의 경서교육을 지양하고 근대의 실용교육을 주장

⑦ ㉠ : 도덕적 생활 : 근면, 역행의 정신 : 격물치지

=> 전인적 인간상 지향

2. 근대학교

관학

민족 선각자

선교사

육영공원(1886)-외형만 근대

한성사범학교(1895)-실질적

관학의 교육적 의의

사학에 비해 발달 미숙

교원 양성, 외국어 교육,

실업교육 중시

실제보다 외형과 법규발달

한성중학교(1899)

한성 고등학교(1900)

한성 여고(1908)

 

 

원산학사(1883)

󰠆󰠏 최초의 근대학교

󰠉󰠏 주민들에 의해 자치적 설립

󰠌󰠏 개량 서당의 발전된 형태

교육적 의의

국권 회복과 민족지도자 양성

흥화학교(1895, 민영환)

정진학교(1897)

보성학교(1895)

양정학교(1907)

대성학교(1907)

보산학교(1907)

배재학당(1885, 아펜젤러)

교육적 의의

순수한 서양식 제도의 도입

전인 교육과 예체능 교육 강조

인간 평등과 남녀평등 주장

인격 완성과 국가사회봉사 강조

이화학당(1886)

경신학교(1886)

정신여고(1887)

 

3. 일제의 탄압정책

1908년 사립 학교령 - 민족 사학 탄압이 목적

1911년 조선 교육령 - 보통, 실업, 전문교육. 조선인의 일본 신민화

1913년 사설 강습소 규칙

1915년 조선 교육령 1차 개정 - 사학의 구속탄압 및 감시->사립학교 감소

1917년 서당 규칙

1922년 조선 교육령 2차 개정 -> 민족교육 말살

1936년 조선 교육령 3차 개정

1943년 조선 교육령 4차 개정

4. 사상가(print 참조)

1) 한서 남궁억 : 한국 통신교육의 선구자(교육월보 창간), 무궁화 선양사업

2) 이승훈(호는 남강) - 1907년 오산학교 설립

3) 안창호(호는 도산)

: 핵심 의 철학 > 민족 개조가 궁극목적

3대 교육이념 : 자기혁신, 무실역행, 점진공부 / 4대 정신 : 무실,역행, 충의, 용감

세계 1등 국가론(국민론)을 주장했고 이상촌 계획은 오늘날 새마을 운동과 상통

스마일 운동과 주인 정신 강조해 교육활동 전개시 교사의 온화태도에 의한 미소운동 전개

 

 

 

 

 

 

 

cf. 과거제 : 갑오경장(1894)때 폐지 -> 근대적 관리 선발제도 실시

 

민족사학의 전성기 :1910년 전후 -> 1908년 사립학교령, 18111차 조선교육령 등에 의해 탄압됨

 

 

조선 시대의 교육 규칙

학령(조선 중기에 성문화) - 성균관 학생의 일과, 성적, 벌칙 등을 규정

권학 사목 : 소학의 중요성 강조 󰠏󰠏󰠇󰠏> 권근

향학 사목 : 사립학교의 중요성 강조 󰠏󰠏󰠎

학교 사목 : 교원의 보수와 인사에 관한 규정 󰠏󰠇󰠏> 이이

학교 모범 : 성인 학생 수양의 지침서 󰠏󰠏󰠎

 

1. 관학

성리학(송학, 주자학, 정주학, 성학)

배경 : 태극설과 이기설, 유학, 불교, 도교 등이 융합되었다.

구성 - 태극론과 이기론 - 우주의 이치를 밝힘 󰠏󰠏󰠇󰠏󰠏󰠏> 天人合一

심성론 - 인간의 이치를 밝힘 󰠏󰠏󰠎 인간존중의 정신

성경론 - 수양의 방법

󰠆󰠏 내적 수양의 방법 - 존심 양성과 존양 성찰 󰠏󰠈

󰠐 (인간의 본성을 잘 가꾸고 간직함) 󰠉󰠏> 聖人

󰠌󰠏 외적 수양의 방법 - 격물치지, 격물궁행 󰠏󰠎

성 균 관

4부 학당(四學)

향 교

고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한성

한성

각 지방

문묘

문묘×

문묘

1) 성균관

입학 자격 - 원칙적으로 생원, 진사였다.(소과 합격자)

정원 - 원칙적으로 200(국력에 따라 150, 100명일때도 있었다.)

교원 - 지사, 부지사(관리직), 대사성, 사성, 사예, 직강, 전적, 박사

성적 평가 - 예조에서 행했다.

성적 평가의 방법 - 대통 >>약통 >조통 > 얼차레

유생들의 생활을 엄격히 통제

45경을 교육내용으로 하였다.(9재학규)

 

구조 : 명륜당(강학의 장소), 대성전(문묘), 존경각(도서관), 동서양재(기숙사)

육일각(활 보관소). 비천당(과거장), 양현고(장학 기금, 식당)

학생 자치 활동 활발 cf. 성균관 유생들이 가능했던 활동에는

. 유소 - 정부에 대한 탄핵상소문 .권당 - 단식 투쟁으로 식당출입금지

. 공재 - 양재에서 나옴 .공관 - 성균관에서 나옴

2) 4부 학당(×)

성균관의 부속 학교로, 관리나 운영을 성균관이 담당

각 학당의 정원은 100명씩

3) 향교 ☆☆

고려 인종때 설립(1127)

기능 󰠆󰠏 문묘 제례

󰠌󰠏 교육 󰠆󰠏 관리 양성(과거준비)

󰠌󰠏 사회 교육

사회 교육의 기능 : 향사례, 향음례, 양노례, 계몽 강습회(부녀자와 아동에게 천자문, 상 강행실록 등을 가르침)

향약(양반들의 생활 규범을 정한 계의 일종으로, 향교나 향청을 중 심으로 발달)

실업 교육

감독권은 관찰사에게 있었다.

성적은 관찰사가 평가하여 성균관으로 보내고, 성균관은 그것을 집계하여 예조에 보고

교원은 교수, 훈도, 학장이 있었다.

각 마을마다 향교의 규모가 달라, 표준화된 교육제도를 찾기 어렵다.

조선 중기(임진왜란)이후 문묘 제례의 기능만 남기고, 교육적 기능은 서원으로 넘긴다.

4) 종학

세종 10년에 설립된 것으로 왕실 종친의 자제를 교육시키기 위한 관학

(= 서양 중세 칼대제때 세워진 궁정학교)

예조가 아닌, 종부사에서 관리

교육내용 : 성균관과 학당의 교육내용을 준용

5) 실업교육(기술교육, 잡과 교육) ☆☆☆☆

신라에서는 국학과 시행청(중앙, 지방)에서 실시

고려에서는 국자감과 시행청에서 실시

조선에서는 시행청에서만 이루어짐

의과, 산과, 이과, 율과, 역과 등이 있다.

고려와 조선의 과거제도에 잡과가 있었다.

잡과 교육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

사회제도가 잡과와 잡과의 종사자를 경시

중국의 것을 모방하여, 독자적 연구가 없었다.

미신을 포함하고 있어, 과학적 접근방법이 불가능.

2. 사학

1) 서원

중등교육기관이다.

최초의 서원은 풍기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소수)서원이다.

조선 중기 이후 발달하여 대원군의 서원 철폐운동으로 쇠퇴한다.

기능 󰠆󰠏 후진 장학 -> 관리의 양성이나 과거 준비

󰠌󰠏 선현 존경 -> 문묘가 없다.(공자나 맹자의 업적을 기념하지 못하고, 우리나라 유 학자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서이다.)

2) 서당 ☆☆☆☆☆

초등교육 기관

향교나 4부학당의 입학 준비 기관

종류 : 훈장 자영 서당(훈장 스스로 설치),

유지 공영 서당(몇몇 유지가 조합해 훈장 초빙해 그들의 자녀를 교육)

유지 독영 서당(유지 혼자 훈장 급비 담당하고 이웃자녀에게 동냥 공부 허락)

촌 조합 서당(향촌 공영 서당) -> 촌 전체가 조합하여 훈장을 두고 촌아를 가르침.조선 후기에 발달하여 서민교육의 확대를 가져왔다.

구성 : 훈장, 학동, 접장(학식이 높고 연령이 많은 학동, 조교와 유사함, 그러나 학생임)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 등을 교육내용으로 했다.

강독, 습자, 제술(형식적)

국가의 통제가 거의 없었다.

, 퇴학이 자유로왔다.

교육적 특징

개별학습과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졌다.

계절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졌다.

놀이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전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국민 교육(교화)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초등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할 방향을 지닌다.

고려말에 발달하여, 조선 시대에 융성하며, 일제때 독립운동의 근거지와 민족 지도자를 양 성했다.

모범적 교수법

()신고 -> 학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

준승척 -> 독서의 방법 제시

3. 과거제도

1) 소과 -> 생원, 진사(하급관리 등용, 성균관입학 허용, “백패”) -> 대과

󰠆󰠏󰠏󰠍󰠏󰠏󰠈 󰠆󰠏󰠏󰠏󰠏󰠏󰠊󰠏󰠏󰠏󰠏󰠏󰠈

초시 복시 초시 복시 전시(서열결정)

사실상의 합격(33) 6, 홍패수여

2) 문과, 무과(합격자 : 선달), 잡과가 있었다. (승과는×)

3) 식년시 : 3년마다 보는 정기 시험

특별시 : 특별할때(알성시-임금이 성균관 문묘 참배시,

증광시 - 국가 큰 경사

별시 - 국가 작은 경사

기타.......)

4) 문음제도(음서) -> 2품이상의 자제에 한함

5) 서민들의 응시는 비교적 많은 제한을 받았다.

6) 고려시대에 비하여 잘 발달되었다.

7) 기타 시험

4.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사상가

1) 권근(호는 양촌 13521409)

조선의 배불숭유정책의 이론적 뒷받침을 한 유학자

철학사상 : 사단칠정(四端七情) - 이 철학사상을 바탕으로 집대성한 입학도설은 도표를 통한 시각적 교육의 효과를 시도한 것이다.

교육이념 : (-정직), (-근면), (-관용), (-지조)

저서 : 입학도설(시청각선구. 중용과 대학의 도표식 해설)

권학사목(소학중시), 향학사목(사립학교보호안), 수창궁재상서(군왕교육)

2) 조식(호는 남명 15011572)

교육적 인간상 : 실천궁행인

교육이념 : ()과 의()

교육방법 : 소학, 대학, 논어와 같은 실천경전중심교육 강조하며 자해자득을 주장

(초학자에게 심성에 관한 문장을 가르치는 퇴계의 교육방법에 반대)

3) 이황(호는 퇴계 15011570)

동방의 주자로 일컬어짐(성리학의 최고봉)

교육이념 : 성리학적 도덕인의 양성, “()”())”사상을 중시

철학사상의 중핵은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며, 이러한 철학사상을 발달시켜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 이와 기는 상호작용한다.)” 정립.

4(이발동시 생김) 7(기발동시 생김)론 주장 -주리론 >위정척사사상에 영향

저서 : 퇴계집』『성학십도(군왕교육)』『태극도설

4) 이이(호는 율곡 15391584)

이황과 함께 성리학의 쌍벽을 이룬 사상가

철학사상 :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設) - 기가 나타나는 국면에 따라 이는 언제나 그 속에 들어 있다. , 기만 발동할 따름이다. - 이기일원론(주기론)

>실학, 개화사상에 영향

교육이념 : 입지(立志) 명지(明知 : 밝게 알기 위해서는 독서가 중요) 역행(力行)

교육목적 : 성인(聖人)

교육내용 : 대학, 근사록, 논어, 맹자, 중용, 오경

저서 : 학교모범: 16조의 성인 학생 수양의 지침서

학교사목: 교사의 보수와 인사에 관한 규정

성학집요: 군왕교육

격몽요결: 민중교화를 위한 저서

소아수지: 아동교육을 위한 소학 학규(소학 장려)

향학의 4대 덕목 체계화 :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5. 실학교육

1) 교육의 목적 : 실용인, 실천인의 양성

2) 성리학을 바탕으로 형성(이이) -> 성리학이 가지는 풍부한 이론이 실학의 장점이며, 성리학 의 공리공론은 실학의 단점이다.

3) 실학의 특징

실학의 특징

실학자의 특징

실학 교육의 특징

민초주의

민족주의

근대 지향주의(신분타파)

과학의 중요성 강조

 

민본주의

합리주의(이성주의)

성실한 맘으로 학문에 임함

옛것을 바로 세우고, 새 것을 받아들인다.

공교육 제도

신분타파를 전제로한 교육의 기회균등

개성 존중 교육

교육 과정의 개혁

4) 사상가

1. 반계 유형원(16221673)

①『반계수록

과거제 폐지,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위한 공거제 주장

능력주의에 기초한 학제 구상(단선형 학제)

교육적 인간상 : 덕행인과 능력인

2. 성호 이익(16811763)

최초로 실학적 학파인 <근기학파(경기도 근방 유명학자 모아서)>구성

교육방법 : 내적 충실, 탐구식 교수방법

집중주의와 점진주의를 병행한 지행합일 주장 =소크라테스, 왕양명, 안향

④ 『곽우록(과거제의 폐단 비판, 지역차별없는 인재등용 주장)』『성호사설

주체적 역사 의식 기르기 위해 한국사를 학교의 교과목 또는 과거 과목으로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

3. 연암 박지원(17371805)

- 경제입국 사상

4. 아정 이덕무(17411793)

교육이념 :(), ()

교육적 인간상 : 내행수결

사소절(동규 부분 : 아동 교육면에서 소학 권장 /

교훈에 의한 교육 주장 ->so 69개 훈교법 제정 =cf.로마시대 킌틸리아누스와 유사)

5. 다산 정약용(17621836)

교육적 인간상 : 수기(修己)와 위천하인(爲天下人)

교육내용 : 오학론(유교주의 교육 문제점 지적)

③ 『아학편(천자문 비판)』 『목민심서』『경세유표』『흠흠심서

1. 관학

국 자 감

동서학당(후에 5부 학당)

향 교

고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개경

개경

각 지방

문묘

문묘 ×

문묘

1) 국자감(국학, 성균관)

성종 11(992)에 설립. 우리나라 최초 국립종합대학교격(6개 단과가 모임 = 6학 또는6)

귀족의 자제들을 대상으로 해서 고급 관리 양성

예종의 7재가 설립(P. 170참조)

경사 6(6) -> 인종때 설립

국자학 - 문무관 3품 이상의 자제

태 학 -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식

사문학 - 문무관 7품 이상의 새끼

잡학(, , ) - 문무관 8품 이하와 서민들.

-> 국자학, 태학, 사문학의 경우는 교육 내용의 차이가 아니라 신분에 따른 구별이었다.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하였다.(cf: 통일신라의 국학(태학감)과 같다.)

교원은 박사, 조교가 있었다.

2)동서학당(후에 5부학당)

* 5부학당 : 고려말 공민왕 3년에 정몽주의 건의로 흥학(興學)을 위해 기존 동서학당이외에 3부학당을 더해 5부학당으로 확대 -> 조선시대까지 계승

3)향교

인종 때 각 지방에 설치한 중등 관학

향교란 학교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고려조선까지 관학으로 오늘날 공교육의 모체가 됨

우수한 자는 국자감에 입학해 고등교육을 통해 관료로 진출

 

 

 

2. 사학

1) 12공도(十二公徒) -- 국자감과 쌍벽을 이룸

오늘날의 12개의 사립대학과 같다.(고등교육기관으로 최초의 사학을 의미)

고등 교육 기관이다.

최충의 문헌공도(9재학당)가 최초로 설립되었고 11공도가 있었다.

무신 정권과 수명을 같이한다.

교육 목적 - 관리 양성을 위한 과거 준비

관학의 쇠퇴를 가져온다.(고려시대 고등교육기관은 관학보다 사학이 더 발달)

학벌 사회가 형성된다.

독특한 조교법 실시 ex>‘각촉부시’(촛불이 꺼질 동안의 속작시 시험) - 모의 과거 시험

문묘는 ×

2) 서당

고려 중기에 등장해 조선시대 크게 발전한 사립 초등교육기관

일반 평민의 자제를 대상

교육 대중화 현상을 가져옴.

 

 

 

3. 과거제도

광종 9(958) 중국인 쌍기의 건의로 실시됨 - 최초!(그 기원은 독서삼품과)

왕권 또는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문과, 잡과, 승과(무과는 없었다.)

문과는 명경업과 제술업이 있었고, 제술업이 중시되었다.

식년시(3년마다 시행하는 정기시험)보다는 격년시가 유행하였다.

동당(예부)(국자감)라는 별칭이 있었다.

서민(농민)들은 비교적 응시가 자유로왔다.

문음제도(음서)가 있었다.(5품이상의 자제에 한해 과거없이 관리 임용)

좌주문생의 예(지공거와 합격생의 관계)

단층제(1회로 당락 결정)-> 후기 : 삼층제(3단계:향시-회시-전시) cf.조선-처음부터 삼층제

 

 

 

4. 사상가

1) 최충

해동공자(공자학설에 대단히 밝았다하여)

고등교육기관으로 최초의 사학인 문헌공도(최공도, 9재학당)를 설치했다.

2) 안향(안유)

송나라로부터 성리학 도입

교육이념 : , , , , , / 교육적 인간상 : 극치(克治),성경(誠敬)의 인간상

흥학양현(興學養賢 : 관학진흥, 인재양성)에 주력.

so 섬학전 설치(국자감의 장학기금인 양현고가 바닥이 나 그것을 대신하는 장학기금)

3) 이색 ☆☆☆

불심유성동일관을 통해서 심신성명을 구현함.

󰀲 불교의 진리와 유교의 진리는 동일하다.

문무 겸비인(이상적 인간상으로 삼음)의 교육 강조 - 과거 제도에 무과 설치 건의

개성 존중의 교육 강조

저서 : 활연론(活然論』 『불심유성동일관

교수법 제시(교수단계설 : 강논분절주)

1. 본문 -> 2. 의의 -> 3. 입장차이

-> 4. -> 5. (主旨) 일치(핵심요약, 결론도출)

4) 정몽주

교육이념 : 치지궁행(治知躬行)

교육적 인간상 : 忠君信義人

교육방법 : 박학심문(博學審問) -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해 분석, 논리정연하게 교수

대학중용의 교과목을 강조

5부학당 설치에 공헌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육사-근대교육(1880년대~)  (0) 2019.06.28
한국 교육사 - 조선시대의 교육  (0) 2019.06.28
한국 교육사 - 삼국시대의 교육  (0) 2019.06.28
교육목표  (0) 2019.06.28
교육 목적론  (0) 2019.06.28

󰊱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1. 학교 발생의 이유

1) 세계 - 문자의 발명 2) 우리나라 - 유학의 도입

3) 세계 최초로 학교가 세워진 국가는 中國

 

 

2. 교육사를 연구하는 목적

1) 현대 교육의 바탕적 이해를 위해서 2)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을 모색

 

 

 

3. 원시시대의 교육

1)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생활, 비형식적 교육

2) 사회나 환경의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는 교육

 

 

 

󰊲 삼국 시대의 교육

백제와 신라는 역사 기록상 학교가 ×. 그러나 백제의 경우 박사제도가 있었던 점으로 보아 고구려 태학수준에 해당되는 학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 또 신라는 화랑도 교육이 있었다.

1. 고구려

태 학

경 당(유일한 문무 겸비 교육)

최초의 관학이며 고등 교육 기관

최초의 사학이었다.(5c 장수왕 무렵)

소수림왕 2(372, 불교 도입)에 설립

초등에서 고등 교육까지 담당했다.

(서양의 수도원 학교와 성격이 같다.)

귀족 자제를 대상으로 고급관리 양성

서민의 자제를 대상으로 했다.

중국의 고전과 유학 경전을 교육

(53, 삼국지, 춘추전, 기타...)

문무 겸비인의 양성

(유학의 경전과 무예의 단련, 通經習射)

문묘에 대한 기록이 없다.

서당의 전신이었다.

cf. 고구려의 경당은 송경습사와 궁술단체로 신라의 화랑도와 근대사의 원산학사와 함께 문무겸비의 교육기관이었다.

문묘(文廟)

공자, 맹자 등의 유학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

1년에 두 차례씩 문묘 제례(향사 대제)를 지낸다.

국가와 학문의 정통성 상징

관학에만 설치. 한 지역에 1개씩(국학, 국자감, 향교, 성균관, 향교)

 

 

2. 백제

교육부 󰠆󰠏 신라 -> 예부

󰠉󰠏 고려, 조선 -> 예조

󰠌󰠏 백제 -> “내법 좌평

 

 

3. 신라

1) 국학(훗날의 태학감)

관학이며 고등 교육 기관

신문왕 2(682) - 676년 통일 이후

귀족의 자제를 대상으로 고급 관리의 양성을 목적으로 했다.

④ ㉠ 유학과(9) : 유학 경전 교육(하위 3과로 구분되었다.)

기술과(6) : 기술 교육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했다.

교원은 경, 박사, 조교가 있었다.

중국 당나라의 국자감을 그대로 모방

문묘

2) 화랑도

삼국 통일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생활, 비형식적 교육(무술, 귀족, 종교 교육)

② ㉠ 전통 사상 : 인간 존중, 늠름한 기상

외래 사상 : , , 선교

교육의 이념은 世俗 五計이다.

전국을 순회하면서 직관 교육과 심신의 단련이 이루어졌다.

= CF. 20C초 서양의 신교육 운동(독일의 Wandervogel, 영국의 Boy Scouts)

유사시 군사 단체가 되었다.

3) 독서 출신과(=독서삼품과)

원성왕때 실시(788)

골품에 의한 관리의 임용을 억제하고, 유학 경전의 능통 정도에 따라 관리로 임용하는 제도

원래는 국학의 성적 평가 방법

귀족들의 반대로 잘 시행되지 못했다.

과거 제도의 전신이었다.

⑥ 󰠆󰠏 특품 : 53, 제자백가에 능통 (=탁용)

󰠉󰠏 상품 : 예기, 문선, 춘추전에 능통한 󰠏󰠏󰠏󰠈

󰠉󰠏 중품 : 곡예, 논어, 효경에 능통한 󰠏󰠏󰠏󰠋 공통과목 : 효경

󰠌󰠏 하품 : 곡예, 효경에 능통한 󰠏󰠏󰠏󰠎

4) 사상가

원광(542640. 신라)

- 화랑도의 교육이념인 세속오계(당시의 교육과 생활윤리의 지표 :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를 가르침.

- 힘과 슬기의 조화적 인간상 추구(문무겸비 중시)

- 저서 여래장경사기” “대방둥여래장경소

원효(617686. 통일신라)

- 정토종의 창시자로서 교육이념은 화쟁사상(和諍思想)

- 교육적 인간상 : 중도인(中道人)

- 불교의 대중화에 노력(민중교화방법 : 시청각적 방법 - 무애가)

- 저서 : “대승기신론소” “

설총(원효의 아들. 통일신라)

- “화왕계(花王戒)”를 저술해 유덕선정(有德善政)의 군왕교육이념 제시

- 교육적 인간상 : 유덕선정인, 정직인

- 비유법적 교육방법

최치원...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사 - 조선시대의 교육  (0) 2019.06.28
한국 교육사-고려 시대의 교육  (0) 2019.06.28
교육목표  (0) 2019.06.28
교육 목적론  (0) 2019.06.28
교육의 유형  (0) 2019.06.28

1.

교육 목적

교육 목표

목적

수단과 방법

장기적 성격

단기적 성격

추상적, 포괄적

구체적, 직접적

논리적 선행

논리적 후행

C.F. 목적과 목표의 를 볼 때, 교육 목적이 존재해야만 교육 목표가 존재가능함을 알수 있다.

2. 교육 목표 설정의 기초 자원 ☆☆☆

생의 요구(타당성) -> 관심과 흥미

회의 요구 -> 전체 사회가 요구하는 것.

(학문, 교과)과 전문가(학자)의 요구

학의 요구 -> 교육 철학, 교육 이념의 요구(이들을 반영해야 함)

리의 요구 -> 학생들의 심리적 발달을 바탕으로 해야 함.

 

 

3. 교육 목표 진술의 일반 원칙 ☆☆☆

학적 일관성

체성

괄성

현 가능성

면성

변성 : 교육 목적은 불변이나 목표는 가변!!

 

 

4. 교육 목표의 위계 구조

일반 교육 목표 -> 교육법 2

학교 교육 목표 -> 교육법 94, 101, 105

교육 과정 목표 -> : 6차교육과정의 목표는 도덕적이고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시민 육성

교과 목표 󰠏󰠇󰠏> 한 단원에 달성되어야할 목표

단원 목표 󰠏󰠎

수업 목표 -> 한 시간에 형성되어야할 목표 󰠏󰠇󰠏> 교사가 설정함..

평가 목표-> 졸라게 다양함.. 󰠏󰠎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사-고려 시대의 교육  (0) 2019.06.28
한국 교육사 - 삼국시대의 교육  (0) 2019.06.28
교육 목적론  (0) 2019.06.28
교육의 유형  (0) 2019.06.28
교육의 기능의 역할  (0) 2019.06.28

1. 교육 이념

교육이념: 교육 목적에 철학, 이론, 가치적 기반 제공

교육 목적: 교육을 통해서 형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인간상

교육 목표: 교육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

 

 

 

2. 교육의 목적

1) 교육기본법 2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 민주시민으로서의 필요한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 의 발전, 인류 공영의 이상 실현 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홍익인간 -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인간 존중의 정신, Humanism).

인격을 도야 󰠏󰠏󰠈

자주적 생활 능력 󰠐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 한마디로 이런 인간을 키운다!!

인간다운 삶을 영위 󰠐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 󰠐

인류 공영의 이상 실현 󰠏󰠏󰠎

2) 각급 학교 교육 목적

초등학교 교육 목적(초중등교육법 38)

초등학교는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학교 교육 목적(초중등교육법 41)

중학교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교육의 기초위에 중등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등학교 교육 목적(초중등교육법 45)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배운 교육의 기초위에 중등 교육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헌법 31(P. 63 참조) - 졸라게 중요한거당~~~~~

교육 기회 균등 -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의무 교육 - 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적어도 초등교육과 법률이 정하는 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

무상 교육 -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교육의 자주성 -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

평생교육 -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

교육에 관한 법률 규정 -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개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사 - 삼국시대의 교육  (0) 2019.06.28
교육목표  (0) 2019.06.28
교육의 유형  (0) 2019.06.28
교육의 기능의 역할  (0) 2019.06.28
교육의 효과와 한계  (0) 2019.06.28

1. 죤 듀이

Formal(공식적, 형식적 교육)

Informal(비공식적, 비형식적 교육)

교육의 3요소가 뚜렷하다.

의도적, 계획적, 조직적, 계속적 성격이 강함

교육의 3요소가 뚜렷하지 못하다.

의도적, 계획적, 조직적, 계속적 성격이 약함

* 현대에서는 비형식적 교육에 비해 형식적 교육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다.

현대에서는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을 구분할수 없는 경우가 많다.

 

 

 

2. 전인교육

1) 지덕체가 조화를 이룬 교육

2) 전인교육의 구성요소

-> 주지주의

󰠆󰠏> 정서 정의적 덕성의 다른 표현 󰠏󰠇󰠏> 주정주의(초기의 기독교 교육)󰠌󰠏> 의지 󰠏󰠎

3) 발달

그리스의 아테네교육에서 출현

로크의 교육에서 주장

페스탈로찌의 3H(Head, Health, Hand)교육에서 나타남

진보주의 교육에서 주장(경험중심, 아동중심, 생활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주장)

인간주의와 실존주의 교육에서 주장(인간중심교육과정)

1895년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에서 덕, , 지가 주장 󰠏󰠏󰠇󰠏> 전인교육

이기의 <일부벽파론>에서 체, , 지가 주장 󰠏󰠏󰠏󰠎

 

 

3. 사회교육(환경)

1) 󰠆󰠏 협의의 사회교육 -> 성인교육

󰠌󰠏 광의의 사회교육 -> 학교교육을 제외한 모든 교육

* 수평적 교육의 분류

취학전 교육 -> 학교교육 -> 사회교육(협의의 사회교육)

󰠐 󰠐 󰠌󰠏󰠏󰠏󰠏󰠏󰠏󰠏 광의의 사회교육 󰠏󰠏󰠏󰠏󰠏󰠏󰠏󰠏󰠏󰠏󰠏

2) 형태

학교에서의 사회교육 : 어머니교실, 평생학생제도

준학교 형태의 사회교육 : 공민학교, 고등 공민학교, 방송, 기술, 개방대학등

사회시설에 의한 사회교육 : YMCA, YMCA 성인교실

매스컴에 의한 사회교육

* 사회교육에는 교육의 3요소가 뚜렷한 형식적 교육과 매스컴과 같이 그렇지 못한 교육이 공존 한다.

 

 

4. 가정 교육(환경)

1) : 가족 구성원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비형식적 교육.

2) 중요성

인간은 초기 환경(6세 미만)이 중요

인간은 가소성을 지닌 존재

󰠉󰠏󰠏󰠏> (잠재) 감성

󰠌󰠏󰠏󰠏> 인간의 선천적 경향의 발현이 환경(교육)에 의해서 변하는 성질

* 교육의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

 

5. 평생 교육(Life - long Education) ☆☆☆☆

1) 인간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직적, 수평적 교육을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통합시킨 교육 모든 교육을 하나로 보는 관점

- 수직적 교육 : 노인 <- 성인 <- 청소년 <- 아동 <- 유아 <- 태아 교육

(인간 발달 단계에 따른 분류)

- 수평적 교육 : 취학전 교육(가정 교육) 학교 교육 사회 교육

(교육 장소에 따른 분류)

 

2) 평생 교육의 발달

1965UNESCOPaul Lengrand가 논문에서 처음 제시.

1980년 제 5공화국(8) 헌법에서 295항에 처음 제시.

1987년 제 6공화국(9) 헌법에서 315항으로 이동.

국가는 평생 교육을 진흥시켜야 한다.’

3) 평생 교육의 이념(목적)

인간 삶의 질을 개선.

② 󰠏󰠏󰠇󰠏 ㉠ 전체성 : 모든 교육에 정통성 부여.

󰠉󰠏 ㉡ 통합성 : 모든 교육을 유기적, 체계적으로 통합.

󰠉󰠏 ㉢ 융통성 : 어떤 형편의 학습자라도 학습이 가능하게 함.

󰠐 (다양하고 융통성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 제공)

󰠌󰠏 ㉣ 민주성 : 학습자가 원하는 교육의 양과 질 제공.

4) 평생 교육의 필요성 ☆☆☆

지식의 폭발적 증가수명의 단축.

지식의 유용성

* 1950년 지식의 폭발 󰠏󰠇󰠏 평생교육

󰠌󰠏 1957학문 중심 교육 과정

사회의 급격한 변화.

인간 인지적 욕구의 증가(평등성의 확산).

인간 여가 시간과 수명의 증가.

기존 교육 소외집단의 배려.

학교 교육 한계성의 극복.

6. 공교육 제도(국민교육 제도)

1) 국가가 학교 교육을 관리, 감독.

- 18C 중엽에 출현(시민, 산업혁명) < > 18C 전에는 귀족주의 교육(종교단체)

- 공교육의 배경 : 종교단체로부터 교육을 독립, 국가가 관리.

2) 특징

의무 교육 제도의 발달.

교사의 자격증화.

학교 제도의 정비.

3) 공교육의 발달

Greece의 스파르타 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다.

Platon이 공교육 제도를 처음 제시(‘스파르타’)

종교 개혁시 루터가 의무 교육과 함께 주장.

프랑스의 꽁도르세가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제시

18C 중엽 프러시아(독일)와 프랑스에서 주장되고 실시

민주국가보다는 전제국가, 전체주의 국가에서 발달.

1895년 고종의 [교육 입국 조서]가 공교육의 출발점.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목표  (0) 2019.06.28
교육 목적론  (0) 2019.06.28
교육의 기능의 역할  (0) 2019.06.28
교육의 효과와 한계  (0) 2019.06.28
교육의 3요소  (0) 2019.06.28

1. 교육의 기능

교육의 본질적 기능(가치)

교육의 수단적 기능(가치)

인격의 완성, 자아실현

교육의 개인적 기능

교육의 내재적 목적(가치)

교육 목적의 내재설 : 교육목적은 교육정의 속에 포함

교육 개념 = 교육 목적

(교육목적은 교육의 개념으로부터 논리적, 연역적으로 추출됨)

교육은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다.

Peters

정치발전, 경제발전, 사회발전

교육의 사회적 기능

교육의 외재적 기능

교육 목적의 외재설

교육은 수단이다.

교육개념 교육 목적

Langford, Green

 

 

* 교육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을 도모하는 교육

지식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에 공헌하는 지식

체육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에 공헌하는 체육

이 양자의 구분은 논리적, 이론적 구분이지 실제로는 구분이 어렵다

하지만 어느쪽을 강조할 때 다른쪽이 저해될 수는 있다.

 

 

 

 

2. 교육의 역할(발전교육론)

-> 교육의 수단적 가치면, 교육을 근대화의 수단으로 보다.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각 부분의 발전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육의 양과 질을 계획 적으로 조절하는 교육 -> 1960년대 후진국의 교육투자 확대에 영향

1) 정치발전을 위한 교육(Coleman<교육과 정치발전>)

정치적 사회화 ->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에게 정치문화(의식, 제도)를 전달

정치적 충원 -> 교육을 통해서 정치구성원을 양성한다.

정치적 통합 ->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의 정치적의식을 일치, 통합

*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개인주의) + 민주주의

인간의 존엄성(humanism)을 최고의 가치, 자유와 평등

자유민주주의는 이것과 대립되는 어떠한 이념도 수용하지 않는 배타적 이데올로기이다.

학교에서는 자유민주주의를 무조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2) 경제발전을 위한 교육

인력개발

기술개발

성취동기의 함양

3) 사회발전을 위한 교육

가치관의 형성

사회구조의 변화

사회의 분화를 촉진

문화의 유지와 발전

4) 문화발전을 위한 교육

문화 전파 문화 변동 문화 형성

5) 1960년대 후진국의 발전교육론(경제발전)이 도입되면서 교육투자의 촉진을 가져옴

슐쳐<인간 자본에의 투자> -> 교육투자는 경제발전을 촉진

발전교육론의 문제점은 교육과 인간을 너무 수단시했다는 점.

29page 인격의 기능

Rostow의 경제발전 단계설 :

전통적 사회 -> 도약을 위한 준비 단계 -> 도약 단계(교육 투자의 촉진 강조) -> 성숙 단계 ->고도의 대중 소비 단계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목적론  (0) 2019.06.28
교육의 유형  (0) 2019.06.28
교육의 효과와 한계  (0) 2019.06.28
교육의 3요소  (0) 2019.06.28
교육의 개념(정의)  (0) 2019.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