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철학6

전통적 교육철학

 

 

 

 

 

1. 관념론과 교육

1) 관념론(Idealism) 의미 : 관념론이란 우주를 형성하는 궁극적인 실체를 정신 또는 영혼이라고 보는 철학으로 이상주의라고도 불린다.

2) 관념론의 인간관 : 관념론에서는 우주의 일부인 인간의 참된 실재도 영혼 또는 신성(神性)이라고 본다. 인간은 절대적인 정신을 지니고 있는 영적인 존재여서 이를 계발하면 우주의 실재, 즉 절대 불변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본다.

3) 관념론의 전개

관념론은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테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쯔, 버클리, 칸트, 헤겔을 거쳐 발전했다.

관념론의 전통이 현대의 교육이론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독일의 나토르프(Natorp), 미국의 혼(Horne), 이탈리아의 젠틸(Gentile)에 의해서였다.

4) 교육의 목적

교육의 궁국적인 목적: 관념론이 내세우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데아, 즉 우주의 절대불변하는 진리를 인식하고 깨닫는 것이다.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 관념론에서는 이데아를 인식할 수 있는 이성의 도야를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5) 교육의 내용 : 우주의 진리가 담겨 있는 폭이 넓고 깊이가 있는 지식, 즉 보편적인 지식인 논리학, 형이상학, 기하학, 천문학, 문학 등이 교과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6) 지식 중심의 교육전통 수립 : 관념론에서는 깊이가 있고 폭이 넓은 지식을 통해 이성을 도야하고자 하여, 지식 중심의 교육전통을 형성하게 되었다.

 

2. 실재론과 교육

1) 실재론의 의미 : 실재론(Realism)은 인간의 의식이나 정신과는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이 있다고 주장하는 철학이다.

2) 이원론적 세계관 : 실재론에서는 사물은 이데아에 상당하는 형상(form)과 감각적 대상에 상당하는 질료(matter)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내세운다.

3) 지식관 : 실재론에서는 사물을 지배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을 지식으로 본다.

4) 실재론의 전개

합리적 실재론은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를 거쳐 현대 항존주의 철학자인 애들러, 허친스 등에 계승되었다.

과학적 실재론은 자연과학의 발달로 생겨난 것으로 베이컨, 로크, 코메니우스 등을 거쳐 서양 과학의 기초가 되었다.

5) 교육 목적 : 실재론에서는 사물에 대한 감각능력을 기르고, 사물에 내재하는 자연의 법칙을 탐구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성숙시키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여겼다.

6) 지적교육중시 : 실재론은 지적 능력의 성숙을 위해 합리적 사고의 도구나 원리에 익숙해 질 것을 강조하여 지적 교육을 중시했다.

7) 자유교양교육의 전통 확립 : 특정한 기술이나 지식보다 사물을 지배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에 관한 지식을 중요시하여 서양 자유교양교육의 전통을 수립하게 하였다.

 

3. 자연주의 교육철학

1) 자연주의의 의미 : 자연주의(Naturalism)란 자연을 유일한 실재로 보고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는 철학이다.

2) 인간관 : 자연을 아름답고 순수한 실재로 보는 자연주의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아 아름답고 순수하며, 잠재적인 능력을 타고난다고 본다.

3) 자연주의의 전개 : 자연주의 교육론은 루소에서 프뢰벨,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를 거쳐 진보주의 교육철학으로 연결되어 아동중심교육사상의 기본적인 원리가 되었다.

4) 교육의 목적 : 아동의 천부적인 잠재력과 개성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교육으로 본다.

5) 교사관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관에서는 아동을 자라나는 식물에 비유하고, 교사는 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정원사에 비유한다.

6) 교육방법 : 자연주의에서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직관에 의한 교육을 중시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