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의 역사

1) 학교란 말은 한가로움을 뜻하는 Skhole라는 그리스어, Schola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 이는 그리스에서 자유시민들이 그들의 한가한 시간을 음악학교와 체육학교 등에서 보낸 데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리스에서는 생산활동에 관련된 노동을 노예가 맡고 있었기 때문에 시민들은 여가를 즐겼고 사색을 가치있게 여겼다.

3) 제정로마시대에는 학교교육이 중시되어 문자학교(루더스), 문법학교(중등), 수사학교(고등)와 같은 위계적인 학교체계가 갖추어졌다.

4) 동서양을 막론하고 근래에 이르기까지 학교교육은 대체로 귀족자제를 위한 중등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학교들 중 대표적인 것이 프랑스의 리세(Lycee), 영국의 그라마 스쿨(Grammar School), 독일의 김나지움(Gymnasium) 등이다.

5) 서민이나 빈민자제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는 로마의 루더스에 이어 중세말, 종교개혁 시기에 생긴 모국어학교 및 자선학교 등이 있었다. 이들은 종교적박애적 정신에서 이루어진 학교들로 아직 교육을 인간의 권리로 보는 보편적 의무교육은 아니었다.

 

2. 근대공교육제도의 수립

(1) 근대공교육제도의 의미

1) 서구의 근대공교육제도란 국가가 모든 국민에 대한 교육을 관장하고 실시하는 국민교육제도로 18세기말부터 그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 이러한 국가 주도의 보편적 국민교육은 종교개혁, 산업혁명으로 인한 자본주의체제의 발달, 시민혁명의 평등사상, 근대민족국가의 수립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구체화되었다.

3) 우리 나라의 경우 갑오개혁(1894)을 계기로 서구적 근대교육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일제의 지배로 인해 이 제도가 왜곡되기도 했으나, 해방이후 미국의 영향으로 6334제의 단선형 학제가 시행되고 있다.

 

(2) 근대공교육제도의 성립 배경

1) 종교개혁 : 루터와 칼빈과 같은 종교개혁가들은 로마교회의 권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인의 신앙적 양심에 의한 영혼의 구원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중의 교육이 절대시된다고 하였다. 또한 그들은 교육이 교회가 아니라 국가에 의해서 주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산업혁명 :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달하기 시작한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학교교육을 받은 질 높은 노동자를 요구함에 따라 보편적인 대중교육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3) 시민혁명의 평등사상 : 계급제에 근거하고 있는 절대군주제를 무너뜨린 시민혁명이 내세운 평등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보편적 평등교육이 요구되었다.

4) 근대민족국가의 수립 : 많은 작은 공국들을 통합하여 통일국가를 이룬 근대민족국가들은 새롭게 형성된 국가의 통일성을 확고히하고, 국가간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하여 국민자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제도의 창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3) 근대 공교육제도의 특성- 보편성과 통일성

1) 국가관리의 공교육체제는 그것이 형성된 배경 때문에 보편성과 통일성을 기본성격으로 출발하였다.

2) 그 당시 상황으로 보아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결집요소로 사회규범과 지식의 동질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는데, 이 동질성은 통일된 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하였다.

3) 그러므로 개인들의 자유로운 학습활동을 위한 다양하고 자유로운 교육은 억제되고 국가가 직접 운영하거나 강력하게 통제하는 획일적인 학교제도가 등장하게 되었다.

4) 통일적 보편교육은 처음에는 모든 아동에게 통일된 규범과 지식을 가르치는 초등의무교육제를 수립하고, 20세기에 들어서서는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의무제를 확립하였다.

5) 통일적 보편적 교육제도는 통일된 지식과 규범의 학습을 확인하는 장치인 시험을 통하여 통일성을 더욱 강화한다.

6) 시험이 교육과 결합되자 시험을 통해 획득하게 되는 학력이 사회적 지위를 보장 해주는 기능을 하게 되어 모든 사람의 학력경쟁을 촉발하게 되었으며, 교육이 학교교육 위주로 흘러가게 만들었다.

 

3. 학교교육의 한계

(1) 학교교육의 한계의 원인

1) 근대공교육제도의 실시 결과로 발전하였던 학교교육은 그 특성이었던 통일성과 보편성으로 인해 경직되고 폐쇄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었다.

2) 이러한 학교의 경직성과 폐쇄성으로 인해 학교교육이 다원화된 사회와 다양해진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 것이다.

(2) 현대학교교육의 한계

1) 교육장소의 제한: 오늘날은 사회전체가 교육과 학습의 장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교육과 학습의 장이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도 학교제도는 교육의 장소를 학교라는 특정한 물리적 공간으로 제한해 왔다.

2) 교육시간의 제한: 학교는 하루 중 일정한 시간대에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학습과 실생활 격리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생계를 위하여 일하지 않을 수 없는 가난한 계층의 학교 취학을 가로막음으로써 교육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

3) 교육대상의 제한: 학력이 사회적 지위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급학교의 입학자격에 제한을 두고 있다. 이는 상급학교에의 입학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고 있다.

4) 교육내용의 제한: 법으로 정한 교육과정에 따라 국가가 승인한 지식과 규범만 가르치게 되어 빠른 시대 변화와 개성시대의 다양한 개인적 학습요구에 응하기가 어렵다.

5) 학교제도의 비민주성: 국가가 교육의 주체가 되고 교사와 학생이 수동적인 관료제적 성격 하에서는 창의적이고 개성이 뚜렷한 교사나 학생은 성공하기 어렵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