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과정 30

지식의 구조

 

 

 

 

 

 

1. 지식의 구조의 의미

1) 학문의 일반적 원리기본개념

① 「교육의 과정에서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를 학문의 기저을 이루고 있는 일반적인 아이디어’, ‘기본개념’, ‘일반적 원리등과 동의어로 쓰고 있다.

, 지식의 구조란 교과에 들어 있는 일반적인 개념과 원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2) 사물이나 현상의 관련을 파악하게 하는 틀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를 학습한다는 것은 사물이나 현상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학습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 지식의 구조를 사물이나 현상의 관련을 파악하게 해주는 틀로 본 것이다.

3) 사물을 보는 안목

사물의 관련을 파악하게 해주는 틀이란 사물을 보는 안목또는 탐구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의 구조는 사물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2. 중간언어와 지식의 구조

(1) 중간언어

1) 브루너는 그동안 학교가 가르쳐 온 것은 지식의 구조가 아니라 중간언어라고 비난한다.

2) 중간언어란 탐구방법이 아니라 학자들의 탐구결과를 전달하는 언어인데 학교에서 이를 외우게 했다는 것이다.

 

(2) 중간언어와 지식의 구조

: 예를 들어 자벌레는 반드시 지면과 15도 경사를 이루며 기어올라간다는 사실만을 전달하는 것은 중간언어이며, 자벌레의 경우를 통해 향성의 원리를 파악해서 다른 현상에도 적용시키도록 하는 것은 지식의 구조를 가르치는 것이다.

 

(3) 생물학의 구조로서의 향성

1) 향성(向性)이란 하등동물이 지니고 있는 본능에 의한 운동조절 능력을 말한다.

2) 자벌레는 이러한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면과 15도 경사를 이루면서 올라가는 것이다.

3) ‘향성의 개념은 생물학의 지식의 구조로서 이를 파악하게 되면, ‘메뚜기의 이동’, ‘산 곤충의 이동이라는 개별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3. 지식의 구조의 이점

1) 학습내용의 쉬운 이해 : 개별적인 사실이나 현상을 연결해서 보는 안목을 익히게 되면, 다른 사실이나 현상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2) 학습내용의 장기 기억 : 서로 연결되지 않는 개별적 사실들은 그 기억 수명이 짧다. 그러나 원리나 개념을 중심으로 개별적 사실들을 조직하고, 그 원리나 개념에서 다시 개별 사실들을 추리해 내는 것은 학습내용을 오래 기억하게 할 수 있게 해 준다.

3) 새로운 사태에의 적용(일반적 전이) : 개별적 사실을 연결하여 얻게 된 일반적 원리는 다른 개별적 사실이나 현상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4) 고등지식과 초등지식의 간격 축소 : 학문의 기본원리인 지식의 구조를 익히게 하면, 초등학생도 학자들이 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일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고등지식과 초등지식의 간격이 축소된다.

 

4. 나선형 교육과정과 탐구학습

1) 나선형 교육과정의 전제

연속성: 초등학생과 학자의 지적 활동이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학생에게 가르쳐지는 교과의 기본내용(지식의 구조)이 학년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수준에 맞는 번역: 지적활동이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수준이 다를 뿐이라는 것은 동일한 교과가 해당 학년의 수준에 맞게 번역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나성형 교육과정의 의미

나선형의 의미: 나선형이라는 말은 달팽이나 조개껍질에서 보듯이 동그라미가 작은 것에서 연속적으로 점점 크게 돌아 나가는 것을 뜻한다.

나선형 교육과정의 의미: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학년과 학교가 높아짐에 따라 동일한 교과가 점점 깊이와 폭을 더해 가면서 심화되도록 조직된 교육과정을 가리킨다.

3) 나선형 교육과정의 조직 : 교육과정을 조직하는 순서는 교과의 깊이와 폭이 가장 큰 상태(대학의 교육과정)가 그 아래 단계의 수준에 맞게 점점 동그라미로 줄어들면서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으로 된다.

 

5. 지식의 구조를 번역하는 방식

1) 상징적 표현 : 천칭의 원리를 ×거리=×거리라는 공식(명제적 지식)으로 표현하는 것

2) 영상적 표현 : 천칭의 모형이나 그림을 통해 원리를 표현하는 것

3) 작동적 표현 : 아이들이 직접 시소를 타 봄으로써 원리를 이해하게 하는 것

 

 

 

교육과정 31

지식의 형식

 

 

 

 

 

 

1. 피터스 이론의 개요

1) 피터스는 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가 교육의 개념 속에 이미 들어 있다고 본다.

2) 그래서 교과를 실용적인 가치로 설명하려고 하는 현대의 경향을 비판하고, 교과의 내재적 가치를 강조한다.

3) 교육 속에 들어 있는 내재적으로 가치있는 것은 인간다운 삶의 형식을 가리키며, 교육의 목표는 그 삶의 형식으로 사람들을 입문(入門)시키는데 있다.

4) 피터스의 이러한 입장은 저서인 윤리학의 교육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고대 희랍 이후 서양의 중요한 교육 전통으로 계승되어 온 자유교육’(liberal education)의 정신을 현대의 상황에서 되살려 내는 데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2. ‘지식의 형식의 의미

1) 의미

지식의 형식은 피터스가 교육개념의 인지적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지식과 이해’, ‘지적 안목이 내면화되고 상세화 된 것을 말한다.

이는 인간의 경험(인간다운 삶의 형식)을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방식으로 분류한 것이다.

지식의 형식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공적(公的) 언어에 담긴 공적 전통으로 우리들에게 상속되고 있으며, 교육은 이 전통에 이미 입문된사람들이 아직 입문되지 않은 사람들을 거기에 끌어 들이는 성년식(成年式)’이다.

2) 분류기준 : 지식의 형식은 독특한 개념 객관적인 검증방법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3) 종류: 피터스는 지식의 형식형식논리학과 수학 자연과학 자기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에 관한 이해 도덕적 판단 심미적 경험 종교적 주장 철학적 이해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3. 지식의 형식의 가치

1) 지적인 안목을 통한 현상의 파악 : 지식의 형식에는 지적인 안목을 가지게 하는 개념체계가 있어 이를 전수받은 인간은 여러 학문으로 분화된 개념체계를 써서 현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2) 인간다운 삶의 형식을 가능케 함 : 지식의 형식은 인간이 세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게 해 주는 인간의 경험이 담겨 있는 것이므로 인간다운 삶을 가능하게 해준다.

3) 삶의 질 향상에 공헌 : 이러한 현상의 파악은 사람들로 하여금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세상에 살게 하므로 삶의 질을 높이는데 공헌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