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에 에듀테크를 도입하기 위한 기준
학교 교육에서의 AI 및 에듀테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 AI 및 에듀테크를 왜 도입해야 하는가] 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구성원 간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일상적인 학교 교육 장면에서 교수학습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교사의 역할 및 업무 수행에 에듀테크 및 AI 기술의 활용이 유의미한 지원을 제공하는 사례를 구성원들이 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교내외에서 시행되는 전문가 초청 연수나 워크숍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 등을 통해 AI 및 에듀테크 서비스를 직접 경험해 보거나 이를 활용한 우수 사례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AI 및 에듀테크를 도입 및 확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 이점, 적합성 , 낮은 복잡성 ,시험 가능성, 관찰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학교 교육에서의 AI 및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상대적 이점 : AI 와 에듀테크가 기존의 교수학습 방법 및 테크놀로지보다 상대적으로 이익 (예 교수학습 장면에서의 매력성 효과성 효율성 안정성 )등 이 있음을 구성원들이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2 적합성 : AI와 에듀테크가 학교 및 교사가 지닌 기존의 가치 혹은 경험과 부합되는 정도를 설명해야 한다 와 에듀테크가 새롭기만 할 뿐 교육의 본질 혹은 기존의 학교 문화 등과 적합하지 않다 . AI고 생각할수록 혁신의 도입은 어려울 수 있다.
3 낮은 복잡성 : AI와 에듀테크는 구성원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복잡성을 줄여야 한다. 복잡성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이 활용할 가능성은 낮아지고 진입장벽이 높아질 수 있다
4 시험 가능성 : AI와 에듀테크는 채택하고자 하는 구성원들이 어느 정도 시험해 볼 수 있어야 한다. 즉 프로토타입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실물을 체험해 볼 수 있어야 구성원 들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5 관찰 가능성 : AI 와 에듀테크를 구성원들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론 일부의 에듀테크는 하드웨어 기기를 포함하므로 구성원들이 그 실체를 관찰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이기 때문에 구성원들이 의도적으로 참여하기 전까지는 그 실체를 관찰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관찰의 기회가 자주 주어질수록 구성원들이 느끼는 의 실체에 대한 장벽은 낮아질 것이다 .
'교육 관련 연수 > 에듀테크와 블랜디드 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학습터를 활용한 수업 콘텐츠 구성하기-e학습터 학급 개설하기, e학습터 사용법 (2) | 2024.07.10 |
---|---|
온라인노트 플랫폼별 특징 (2) | 2024.07.10 |
에듀테크와 함께 성공적인 융합 교육을 위한 기준 (1) | 2024.07.10 |
한국형뉴딜2.0(교육분야)-교육 인프라 디지털 전환 (1) | 2024.07.09 |
에듀테크 장단점 알고 활용하기 - 에듀테크 활용하기, 에듀테크 3유형 (1)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