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과정 4

교육과정의 이론적 접근

 

 

 

 

 

 

1. 전통적 교육과정이론

1) 1918년의 Bobbitt에서 비롯하여, 1949Tyler에 가서 절정을 이룬 교육과정이론의 흐름이다.

2) 전통주의는 교육과정연구가 교육실천에 직접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3) 그래서 교육과정운영의 효율성을 중시하며, 이를 위해 행동과학 및 교육공학과 결합하여 교육과정을 하나의 체계를 이루는 순환과정으로 보고 접근한다.

 

2. 개념 - 경험주의자

1) 개념-경험주의자들은 효율적인 기능으로서의 교육과정 연구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을 경험과학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2) 이들은 자연과학에 기초한 논리와 탐구방법을 옹호하면서, 확실성, 통제, 예언 등과 같이 경험론적 방법을 교육과정에 적용시키는데 주력했다.

3) Schwab, Walker 등이 대표적인 학자들로, 이들은 Tyler류의 교육과정 개발이론들이 실제와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하고,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실제적 상황을 그대로 나타내려고 노력했다.

4) 그래서 이들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반드시 있게 되는 토론과 합의, 숙고(deliberation)'을 중시했다.

 

3. 재개념주의

1) 교육과정의 문헌에서 재개념주의란 용어가 등장한 것은 파이나(Pinar)교육과정 이론화 : 재 개념주의자란 책에서이다.

2) 재개념주의는 실존주의, 현상학, 정신분석학, 신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여러 학파들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교육과정이론을 비판하는 데서 출발했다.

3) 재개념주의는 학교에서 가르쳐지는 교육의 내용이 특정 사회나 계층의 입장을 반영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이론이 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래서 기존의 교육과정의 논의들을 재구성, 재개념화 하려고 한다.

4) 교육과정 재개념주의가 독자적인 형태를 이룬 것이 바로 교육과정 사회학이다.

5) 대표자로는 지루(Giroux), 그린(Green), 애플(Apple), 밀러(Miller), 애니언, 맥도날드 등을 들 수 있다.

6) 재개념주의자들은 기존의 교육과정이 지배계급에 유리한 사회질서를 정당화하여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을 지배 이데올로기의 구속과 억압에서 해방시키고,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교육과정을 지향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