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6

교육평가의 모형

 

 

 

 

 

 

1. 타일러(Tyler)의 목표성취 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교육평가를 교육프로그램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다.

2) 목표의 불성취는 교수 프로그램의 부적합을 나타내며, 목표의 성취는 교수 프로그램의 성공을 나타내는 증거로 본다.

 

(2) 평가의 기능

1) 교육평가는 교육목표의 선정과 세분화에 이바지한다 : 교육평가는 어느 목표가 달성 가능한 것인지, 어느 집단의 학생에게 적합한 것인지, 또 어느 목표가 전이와 응용의 폭이 넓은 것인지 등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해 줌으로써 교육목표를 선정하는데 이바지한다.

2) 교육평가는 학습경험의 선정 및 조직에 기여한다 : 교육평가는 학습경험을 선정할 때 어떤 특성을 가진 집단의 학생에게 이 같은 학습경험이 적절한지, 특정한 내용 및 경험이 어느 정도 교육적 효능이 잇는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3) 교육평가는 교수-학습과정에 공헌한다 : 교육평가는 어떤 교수방법이 어떤 특성을 지닌 학생에게 적절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교수과정 중에 학생에게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학생의 학습결과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수업을 수정하는데 기여한다.

 

2. 스크리븐과 스테이크(Scriven & Stake)의 판단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평가 그 자체의 성질 및 평가 그 자체의 유용성 여부의 판단에 관심을 둔다.

2) 이 같은 새로운 평가의 관점을 제안한 사람은 철학자인 스크리븐(M. Scriven)과 심리측정 이론가인 스테이크(R. Stake)이다.

 

(2) 특징

1) 평가의 외재적 준거 중시 : 스크리븐은 그 동안의 평가가 지나치게 평가의 내재적 준거, 즉 평가방법의 신뢰도, 객관도, 평가도구의 제작, 통계적 처리 등에 관심을 기울여 왔고 비판하고, 보다 새로운 평가는 외재적 준거, 즉 평가 자체의 효과, 평가의 부작용과 그 대안 등과 같은 것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2) 형성평가와 총합평가의 구분 : 스크리븐은 평가의 역할에 따라 평가의 기능을 구별할 것을 제안하여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구분하고자 했다.

형성평가: 아직 개발 도중에 있거나 진행 중에 있는 수업과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형성적으로 노력하는 평가이다.

총합평가: 이미 끝났거나 완성된 수업과정의 가치를 총합적으로 판단하려는 평가이다.

3) 목표의 질에 대한 평가 : 스크리븐은 교육평가를 가치의 평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육평가가 목표의 성취 수준이나 질만을 따지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목표 그 자체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4) 비교평가의 도입 : 스크리븐은 교육평가가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 교육목표 등의 대안들 사이에 어느 것이 보다 우수하며, 어떤 장점이 있는지, 또 그것의 효과가 무엇인지를 비교해서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5) 탈목표 평가 : 스크리븐은 처음부터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 교육정책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실시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주지 말고, 여러 가지 정보와 증거만을 수집해서 그 프로그램의 목표가 무엇이며, 그것이 제대로 성취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평가를 제안하고 있다.

 

3. 스터플빔(Stufflebeam)의 의사결정 촉진모형

(1) 기본입장

1) 이 모형에서는 교육평가의 목적을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것이라고 본다.

2) , 평가를 의사결정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것을 수집하며, 잘 정리된 상태로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것으로 본다.

(2) CIPP 모형

1) 맥락평가(context evaluation)

교육목표를 결정하는 합리적 기초나 이유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요구평가’(need assessment)라고 불리기도 한다.

맥락평가는 교육상황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무엇이 충족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가를 밝혀서 장차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어야 할 일반목표와 특별목표를 확인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맥락평가를 위해 체제분석, 조사, 문헌연구, 면접, 델파이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2)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 이는 무슨 자원이 활용 가능한지, 프로그램을 위해 어떤 대안적 전략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맥락평가에서 확인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계획이 가장 가능성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이다.

3) 과정평가(process evalution) : 이는 교수 프로그램을 투입한 다음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지, 그 효율성이 어떠한 지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그 프로그램이 처음 생각한 것만큼 잘 진행되지 않을 경우 그 문제점, 결함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4) 산출평가(product evalution) : 이는 프로그램에 의해 성취된 결과를 측정하고 해석하려는 평가이다.

 

4. AlkinCSE모형

1) 이는 UCLA 대학의 CSE(Center of the Study of Evaluation)의 소장이었던 Alkin의 모형으로 의살결정 모형의 일종이다.

2) 평가유형을 체제평가 혹은 요구평가, 프로그램 계획평가, 프로그램 시행평가, 개선평가, 프로그램의 확인 평가 등으로 나누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