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 부적응의 개념과 특성

 

. 학교 부적응의 정의

1)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학생의 일탈

2) 학교체계 안에서 학교의 요구, 기대와 학생이 갈등, 부조화를 빚는 현상

3) 학교의 규칙, 규범을 준수하지 못하고 학습장애를 동반하는 현상

4) 대인관계 및 사회적 관계에 있어 개인의 행동양식이 불균형 상태에 놓이는 것

 

. 학업중단 이유

1) 학업과 성적

시험에 대한 압박과 스트레스

성적에 따른 차별

학교공부(진도)를 따라가기 어려움

2) 교사와의 관계

교사와의 갈등

문제아라는 인식

3) 가정환경

부모의 지나친 기대

부모의 무관심

불안정한 가정환경

4) 친구관계

친구와의 갈등 및 따돌림

5) 진로·적성과 다른 교육과정

교육과정과 진로·적성의 불일치

학교를 다닐 필요성을 찾지 못함

 

. 학교 부적응의 특성

1) 수업·학업

낮은 학업성취도와 학습의욕 부족으로 수업참여를 어려워하며 수업(학습)태도가 좋지 않음

2) 관계

교사 기피, 교사 지시 무시, 또래의 놀림과 괴롭힘, 왕따, 친구를 못 사귐 등

3) 규범

무단지각, 무단결석, 공격성, 교칙 위반, 폭력

4) 정서

낮은 자존감, 우울감, 불안, 공격성

5) 진로·적성

교육과정과 진로·적성의 불일치, 진로자원의 부족

 

 

2. 학교 부적응의 유형

 

. 학업 관련 부적응

1) 무기력한 학습부진형

기초학력이 부족하여 학습이 부족하고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유형

2) 선택적 수업참여형

학교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대다수의 부적응 학생 유형

 

. 인간관계 부적응

1) 친구관계로 인한 부적응

의리를 중시하고 친구들과의 즐거움을 추구

학교 규범을 지키지 않음

무단외출, 무단결석, 가출, 음주, 흡연, 절도, 폭력 등 학교규범에 어긋나는

행동

일탈 행위를 하면서 심리적 해방감, 쾌락, 저항의식을 표출

금지된 행동을 같이 하며 심리적 결손감과 제도권에서 허용되지 않는 권력을 행사하면서 자기 존재감을 과시

2) 교사관계로 인한 부적응

교사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경우 반항심이 거세져 부적응 양상이 심화됨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 경우 믿어주는 교사에게 잘 보이고 싶어 하며

일탈행위를 자제함

학생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끝까지 믿어주는 것이 중요

. 규칙위반 부적응

1) 벌점이 많은 아이들

부모의 무관심, 규범을 대수롭지 않게 여김, 습관적으로 늦잠을 잠

엄정한 규칙을 세우고 모든 교사가 일관성 있게 지도

차별이 있으면 눈치껏 행동하거나 엄격한 교사를 나쁜 교사로 몰아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

. 진로 관련 부적응

1) 진로 불일치형

부모나 보호자의 반대로 특성화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

특성화 고등학교에 떨어져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

2) 진로지원 부족형

자신의 재능과 관심에 맞는 적절한 진로지도나 지원을 받지 못하여

학교공부에 관심을 두지 않음

3) 학업유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함

자신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음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거나 동기가 부족함

진로를 결정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진로를 찾고 싶은 의지는 있지만 구체적 방법을 모름

진로가 분명하지만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모름

 

 

사회자: 부적응과 학업중단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어 보겠습니다.

대연이: 지금 자퇴하는 친구를 보면 너무 안타까워요. 학교에서 아무리 배우는 것이 없고 불필요한 시간을 보내는 것 같아도 그 속에서 배움이 있고, 친구들이랑 지내면서 배우는 게 많아요. 학교에서 이것저것 배운 것들을 연관 지어 생각하며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교사1: 갑자기 중퇴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짧게는 6개월 길게는 몇 년 동안 학교

부적응의 다양한 형태들로 학교와 크고 작은 마찰이 있고 나서 결국 견디다 못해 강권 또는 자원해서 학업중단을 하게 됩니다. 다른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고, 학교에 다니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이유로 지도를 거부하며 중퇴를 반기는 교사들도 있습니다. 이런 골치 아픈 문제를 다 품기도 힘들고 따로 학생을 위탁할 곳도 마땅치 않아서 마음이 아프지만 중퇴만이 방법인데... 이 방법 밖에 없는지 자꾸 고민하게 됩니다.

교사2: 하루살이처럼 보이는 대부분의 학업중단 위기학생들도 대화를 해보면 진로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존감 문제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체험할 수 없고, 학습만이 강조되다 보니 수업과 학교생활 대부분에서 부족하고 못하는 아이라는 사실만을 알려주는 꼴이 된 거라 생각합니다.

교사4: 위기학생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가족이 없고, 담임교사의 열정마저 없다면 학업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 담임교사의 열정과 애정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숙려 상담 때마다 느낍니다.

교사5: 사실상 중단의 문제는 초등학교에서 시작되어 온 것을 상담을 통해 인지하게 돼요. 그래서 초등학교 시기에서 원인에 따른 예방 노력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급선무라 생각됩니다.

교사3: 한부모 가정의 학생들에 대해서 담임선생님들은 이들이 최소한 집에는 어느 정도 머무는지, 학교에는 오고 가는지, 부모가 1주일에 몇 번 집을 비우는지 파악하고 있어야 학생의 비행과 일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부모도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하고, 특히 편부모 가정의 학생들은 반드시 파악을 하고 있어야 이들을 제대로 제 때 지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부적응과 학업중단을 바라보는 시각

 

 

 

 

 

 

 

 

 

 

 

 

 

 

 

 

 

 

 

 

 

 

 

 

 

 

 

 

 

 

 

. 학업중단 위기학생에게 필요한 것

1) 교사의 관심

부적응적 행동을 할 때 지적보다는 동기를 알아보려는 적극적인 자세

학교에서 쫓기듯 나가지 않고 충분한 고민을 한 후 결정하도록 도와야 함

그 아이가 한 행동에는 원인이 있을 것이다.’라고 이해하려는 자세

[Tip] 일반교사들이 잘 모르는 학업중단 위기원인

 

자는 아이들도 자기 미래를 고민한다.

누구나 잘 하고 싶다. 이러한 것을 교사들이 이해해야 한다.

청소년발달과정에 나타나는 행동임을 이해 못해 문제아로 지목하는 것은 아닌지 교사 스스로 의심해 봐야 한다.

교사 자신의 성향에 대해 통찰해야 한다. , 교사 자신의 미해결과제는 무엇이고 주된 의사소통의 방법은 무엇인지, 성격과 행동패턴을 잘 인지함으로 학생을 대할 때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자신이 언제나 옳다는 확신에 찬 교육방식으로 학생과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지 뒤돌아 봐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