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업중단 위기학생에게 필요한 스트로크(인정자극)의 의미와 종류

 

. 스트로크(인정자극)의 의미

1)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자극으로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위

2)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행위

3) 심리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밑거름

. 스트로크(인정자극)의 종류

 

긍정적 인정자극

부정적 인정자극

언어적

인정자극

사랑해, 너 뿐이야, 잘했어,

멋져, 네가 있어서 행복해,

고마워, 괜찮아

저리가! 꺼져, 너 때문이야.

넌 왜 항상 이 모양이야?

너만 없어도... 짜증나.

신체적

인정자극

안아주기, 쓰다듬어 주기, 포옹해주기, 가볍게 뽀뽀해주기, 손 잡아주기, 토닥거려주기

때리기, 발로차기, 머리 쥐어박기, 밀치기, 손가락으로 이마 툭툭 치기

교사의 긍정적인 스트로크(인정자극)

- 학생들의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것은 교사의 격려, 지지, 경청, 타협, 수용과 존중, 안아주기, 쓰다듬기 등

- 긍정의 스트로크(인정자극)를 받으며 성장하는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의 스트로크(인정자극)를 베풀 수 있으며, 자신과 세상에 대해 OK의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음.

 

교사의 부정적인 스트로크(인정자극)

- 교사의 비난과 명령, 훈계, 위협, 경멸, 무시, 욕설, 때리기, 밀치기 등의 부정적인 스트로크(인정자극)는 분노, 우울, 충동성, 짜증 등의 심리상태에 있는 학생들의 마음의 문을 열 수 없음.

 

 

2. 학업중단 위기학생들의 스트로크(인정자극) 결핍현상

스토로크(인정자극) 부족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적응 행동의 유형 : 에릭 번(Eric Berne)

소비형

메이커나 명품으로 자신을 드러내려는 행위

내면의 부족함을 감추거나 대신하기 위해 겉모습을 화려하게 치장

가출형

모나 양육자의 관심을 얻기 위해 독립을 가장해 학교에서의 무단결석, 가정에서의 가출 행위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내는 행동으로 선택한 것이 무단결석 또는 가출

성인모방형

음주, 흡연, 성행위 등 성인 행동을 모방하는 것으로 자신의 힘 또는 성장을 과시하고자 하는 행위

자신에 대한 열등감을 감추고 괜찮은 것처럼 보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

도벽형

경제수준과는 무관하게 작게는 필통에서 크게는 오토바이까지 훔쳐 관심 받고자 하는 행위

폭력형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폭력을 행사하거나 또래 폭력 집단을 형성하는 행위

자신들의 완전함과 능력 또한 힘을 과시하기 위해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행사

자학형

문신이나 자해 행위 등으로 자신을 다치게 하면서 자신을 드러내려는 행위

학업에 대한 어려움, 친구관계 문제, 부모와의 갈등 문제에 대해 해결해보려는 노력보다 손목을 긋거나 약을 먹는 행위가 자신을 잘 드러낼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

향락형

오토바이 폭주를 통해 짜릿함을 느끼거나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행위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속도감에서 짜릿함을 느끼며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냄

함께 향락을 즐기는 사람들로부터 위로를 받고 인정받으며 누구에게도 받지 못했던 관심을 서로 나눔

3. 학업중단 학생들의 마음을 여는 기본자세

 

. 수용의 원리

학생들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버리고 그들에 대한 긍정적 측면은 물론

부정적 측면까지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격체로서 존중해주는 것

 

. 개별화의 원리

학생들의 성격과 정서를 고려한 맞춤식 접근 방법을 시도하는 것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획일적인 방법이 아닌 학생들의 성격과

정서를 고려한 맞춤식 접근 방법을 시도하는 기본자세

 

. 비심판적 태도의 원리

부적응 행동에 대한 판단이나 비판을 하지 않는 것

심판적 태도는 학생들의 마음을 열지 못함

 

. 감정표현의 원리

편안하고 공감된 분위기에서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

 

. 통제된 정서관여의 원리

학생들의 감정이나 정서변화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

 

. 자기 결정의 원리

학생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

 

 

 

 

 

 

 

 

4. 학업중단 학생들의 마음을 여는 기본자세

기적질문

학생의 욕구를 탐색하고,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질문

학생: 학교 다니기 싫어요. 더 이상 학교 나오는 건, 저한테는 의미가 없어요.

교사: 학교를 포기할 만큼 많이 힘들구나. 내일 아침에 네가 학교에 왔을 때 학교가 어떻게 변해 있으면 넌 ! 기적이 일어났구나.’ 하고 생각하겠니?

학생: ? 무슨 말이에요?

교사: 내일 네가 학교에 등교를 했는데 학교가 어떻게 변해 있으면 네가 바라던 기적이 일어났다고 생각할 수 있겠니?

학생: 쎄요. 우리 담임선생님이 일이 생겨서 학교를 그만두거나 나오면요. 아니면 담임선생님이 저를 막 칭찬해주시면요.

교사: 그러니까 너는 담임선생님이 너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칭찬해준다면 기적이 일어났다고 생각한다는 말이구나.

교사는 학생들의 real want(진자 바램)을 알 수 있다. 학생들 역시 교사의 기적질문을 통해 자신들이 원하고 있는 것을 입 밖으로 내봄으로써 욕구탐색이 가능해진다.

대처질문

절망과 좌절을 가진 학생에게 희망과 성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질문

학생: 모두가 절 싫어해요. 아무도 저하고 밥도 먹으려 하지 않아요. 정말 학교 다니기 싫어요. 제가 말을 걸어도 들은 척도 안 해요.

교사: 그래. 선생님이 생각해도 학교생활이 정말 재미없고 힘들겠구나.

학생: 내가 학교 나와서 뭐하고 있나 싶어요. 그냥 집에 있으면서 검정고시나 보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도 들구요. 어차피 학교 나와도 나 혼자 있는 건 마찬가지니까요.

교사: 그래. 네 말을 듣고 있으니 정말 대견스럽구나.

학생: ? 무슨 말씀이세요?

교사: 학교에 나와도 아무도 너에게 말을 걸어주지 않고, 네가 말을 걸어도 들은 척도 하지 않고, 함께 밥 먹어 주는 친구도 없고. 너에게는 정말 참기 어려운 상황이었을 텐데 어떻게 지금까지 잘 견뎌 나올 수 있었니?

학생: 잘 견디긴요. 매일 지각하고, 무단조퇴하고 가끔 결석도 했는걸요.

교사: 선생님이었다면 더 나쁜 선택도 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넌 그래도 가끔 결석을 할 뿐 학교를 꼬박꼬박 나오긴 했잖니?

교사는 학생들이 지금까지 잘 참고 견뎌 온 것을 칭찬함으로써 약간의 성공경험을 제공하고, 스스로 대처방안 기술을 가졌음을 알게 해줄 수 있다.

예외질문

문제행동이나 상황이 예외적으로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탐색하도록 질문

학생: 담임선생님은 저만 싫어해요. 저를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에요. 다른 애들한테는 안 그러면서 저한테만 트집잡아요.

교사: 너는 담임선생님이 너만 싫어하신다고 생각하는구나.

학생: . 제가 하는 일은 사사건건 뭐라고 하니까요. 진짜 담임선생님이 이 세상에서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어요.

교사: 담임선생님께 정말 화가 많이 났구나. 혹시 담임선생님과 관계가 덜 심각했던 때는 언제인 것 같니?

학생: . 그래도 학기 초에는 괜찮았어요. 그 때는 말도 걸어주고, 가끔 칭찬도 해주고 했죠.

교사: 그랬구나. 담임선생님과 처음부터 나빴던 건 아니었구나. 선생님과 관계가 나쁘지 않았을 때는 지금하고 뭐가 조금 달랐던 것 같니? 너의 행동이랄까...

학생: 그땐 선생님이 제가 흡연한다는 사실을 몰랐어요. 무단조퇴도 하지 않았구요.

교사: 그렇구나. 흡연하고 무단조퇴로 인해 선생님과 갈등이 시작됐구나.

학생: . 제가 흡연한다는 것을 알고 나서부터 저를 싫어했던 것 같아요.

교사: 그렇다면 만약 네가 흡연을 줄이고 금연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무단조퇴를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교사는 학생이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예외적인 상황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하고 그때는 현재와 무엇이 달랐는지 탐색하게 할 수 있다.

척도질문

모든 상황에 대한 막연한 정도를 수치로 표현해 보도록 질문

학생: 정말 학교가 지긋지긋해요. 이제 더 이상 학교 다니기 싫어요.

교사: 학교 다니는 것이 정말 힘든가 보구나.

학생: . 학교가 재미없어요.

교사: 그렇구나. 네가 학교를 얼마나 재미없게 느끼고 있는지 조금만 구체적으로 해볼까?

학교가 재미없고, 힘든 정도를 1점에서 10점으로 나타낸다면 너는 몇 점을 줄 수 있겠니?

학생: 10으로 갈수록 더 재미없는 건가요?

교사: 그렇지. 점수가 높을수록 더 힘들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지.

학생: 7점에서 8점이요.

교사: 그렇구나. 점수가 6점으로 내려오려면 학교에 어떤 변화가 생기면 가능하니?

사는 학생이 느끼고 있는 갈등이나 어려움에 대한 막연한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현재 정서 상태나 관계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