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18

Erikson의 성격발달이론

 

 

 

 

 

 

1. 이론의 기본 전제

1) 성격은 욕구와 사회환경간의 상호작용으로 발달 : 인간의 성격은 개인의 욕구와 이를 채워 주거나 좌절시키는 사회 환경간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한다.

2) 발달단계가 존재 : 인간의 성격은 상호 관련된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된다.

3) 발달위기 : 각 발달 단계에는 발달적 위기가 있어 성격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할 수도 있고 위험한 쪽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각 발달 단계마다 개인이 가지게 되는 욕구가 사회 환경에 의해 제대로 충족이 되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4) 발달의 결정적 시기 : 초기 단계에서 발달적 위기가 건강하지 못한 방향으로 해결이 되면, 이후 단계에서 그 손상을 쉽게 회복하기가 어려워진다

 

2. 성격발달단계

(1)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출생후 1)

1) 유아의 음식물과 보살핌에 대한 욕구가 편안하고 규칙적으로 충족이 되면 신뢰감이 발달한다.

2) 그 반대로 보호가 부적절하고, 일관성이 없고, 부정적일 경우에는 주변환경에 대해 불신감을 가지게 된다.

 

(2) 자율성 대 수치심 및 의심(2 - 3)

1) 이 시기의 아동은 혼자서 서고, 걷게 되며, 자기주장이 나타나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려고 한다.

2) 음식 먹기, 대소변 가리기, 옷 입기와 같은 자기 보살핌에 대한 책임감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시기로, 부모가 아동의 자유로운 활동을 허용하면서, 기본적 운동과 인지적 기술을 습득하려는 노력을 강화해 주면 자율성이 생긴다.

3) 만일 부모가 과잉보호를 하거나, 아동의 능력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을 하려고 할 때 내버려둬서 좌절감을 맛보게 하면 수치심이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심이 생기게 된다.

(3) 주도성 대 죄책감(취학전기: 4 - 5)

1) 많은 신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언어구사능력이 생기는 이 시기에는 과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가 작동한다.

2) 아동은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하기를 원하는 것해야 할 것’(또는 해서는 안 되는 것) 사이에서 갈등을 겪게 된다.

3) 이 때 아동이 자기 힘으로 일을 하도록 허락하면 주도성이 발달하지만, 아동의 자유로운 활동을 막으면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해 죄책감이 발달하게 된다.

 

(4) 근면성 대 열등감(초등학교기: 6 - 11)

1) 지적인 호기심과 작업의 완성을 통한 성취가 행동의 핵심원리가 되는 시기이며, 학교에 들어감에 따라 많은 도전적 과제를 부여받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2) 아동이 도전적 과제를 잘 소화해 내고, 일을 하고 물건을 만들도록 격려 받으며, 그러한 노력에 대해 칭찬을 받으면 근면성을 갖게 되고, 만일 아동의 노력이 성공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거나 비웃음을 당하게 되면 열등감을 갖게 된다.

 

(5)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미(청소년기: 12 - 18)

1) 유아기 이후 자기에 대한 개념을 발달시켜 온 아동이 신체적으로 성숙해지고 부모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게 되는 청소년기에 이르게 되면 자신의 정체를 밝혀 보고자 의식적으로 노력한다.

2) 자신의 정체를 밝히려는 노력에는 직업, 성역할, 삶의 철학 등에 대한 선택과 결정이 포함된다.

3) 이러한 선택과 결정이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 신체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알며,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감을 가지게 되면 자아정체감을 획득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역할혼미상태에 빠지게 된다.

4) 정체감이 형성되지 않아 정체감의 위기와 역할혼미를 느끼게 되는 청소년기에 개인과 사회에 대해서 긍정적인 모험과 탐색을 할 수 있는 심리적 유예기간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6) 친밀감 대 고립감(청년기)

1)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을 획득하게 되면 타인에 대한 친밀감이 형성되어 타인과 진실한 의미에서 융합하고자 한다.

2) 그러나 정체감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면 타인과의 관계를 두려워하게 되어 스스로를 고립시키게 된다.

 

(7) 생산성 대 침체(장년기)

1) 정체감이 형성되면 타인과 진정한 의미에서 융합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며, 이 마음은 자녀를 낳고, 그 자녀들이 그들 나름대로 성숙하도록 지도하고자 하는 생산성으로 나아간다.

2) 정체감의 불안으로 자신을 고립시키게 되면 생산성이 결여되어 침체감에 빠지게 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노년기)

1) 자신을 잘 발달시켜 온 사람은 자신의 인생을 후회 없이 살았다는 만족감 즉, 자아통합감을 느끼게 된다.

2) 그러나 자아통합의 성취에 실패한 사람은 인생을 헛되이 보냈다는 생각에 절망에 빠져들게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