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평가관의 변화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한국 교육평가의 문제점과 현황

외국 및 대안학교의 학생평가

 

 

 

 

. 교육평가의 개념

1) 교육에서 평가란?

교육에서 평가란 인간행동에 대한 어떤 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유용한 정보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활용하는 절차로 정의되어집니다. 평가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대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교육에 적용하면 교육평가는 교육과 관련된 대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교육에서 평가란?

- 인간행동에 대한 어떤 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유용한 정보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활용하는 절차

 

2) 평가의 과정이란?

교육평가 분야의 이론과 실천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바 있는 Tyler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이라고 규정합니다.

첫째, 이 정의는 평가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특정 교육과정이나 수업 프로그램과 같이 평가에 앞서 있어야 할 전건(前件)의 존재가 가정됨을 명백히 하고 있습니다. 둘째, 이 정의는 평가를 통한 판단작용의 표적이나 귀착점은 학생이 아니라 그런 평가를 있게 만든 전건인 교육 프로그램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셋째, Tyler의 정의에서 평가를 통한 가치판단작용의 근거 자료는 학생들의 학습에 관련된 증거 자료라는 점을 강력하게 암시하고 있습니다.

 

Tyler가 말하는 평가의 과정이란?

-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 프로그램에 의하여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

 

 

. 교육평가의 기능

1) 학교교육에서 교육평가의 역할

학교교육에 관련하여 교육평가의 역할을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개개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 일이다. 교육이 목표 지향적 활동이라면 교육에 의해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는가는 학생의 성취도를 확인하는 데서 가능해집니다.

둘째, 개개 학습자 또는 한 학급 전체가 직면하고 있는 학습 곤란점을 진단하는 일입니다. 이것은 첫째의 유용도와 더불어 교육평가의 여러 기능을 학생평가와 관련시킨 것입니다. 교육평가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교육이 잘되게 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한다면, 평가활동은 교육의 과정이 부드럽게 진행 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합니다. 교육평가는 개개 학생 또는 학급이 곤란을 느끼는 학습과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줄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학습곤란의 원인이 학습 자체에 있는 것인지, 지능이나 적성과 같은 기본 능력의 부족 때문인지, 정서적 불안정 때문인지를 진단한다면, 교육의 과정은 한결 구체화되면서 원활한 관계로 조정되어 질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교육과정, 수업자료, 수업절차 그리고 학급 조직 등의 교육적 효과성을 평가하는 일입니다. 교육평가가 교육이라는 활동이 있은 후에 하는 것이라면, 결과는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생긴 것이고, 이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나타내는 것이 됩니다.

넷째, 교육의 제()문제를 이해하고 건전한 교육정책 및 일반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전체 학생 집단이나 성인 집단의 교육진보(進步) 정도를 사정(査定)하는 역할도 합니다.

 

학교교육에서 교육평가의 역할

-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 학습 곤란점 진단

- 교육적 효과성 평가

- 교육진보(進步) 정도를 사정(査定)하는 역할

 

. 교육평가의 유형

1) 상대기준평가와 절대기준평가

상대기준평가와 절대기준평가는 평가 결과를 어떤 기준에 비추어 해석하는가에 따라 구분됩니다.

상대기준평가는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의 기준을 집단 내의 상대적 위치에서 구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상대적 위치를 결정짓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평균이 됩니다. 학생들의 상대적인 능력이나 기술을 비교해서 어떤 결정을 내리는 학생 선발이나 우열을 가려내는 평가 기능이 크게 강조되는 평가 체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평가의 장점은 개인차 변별이 가능하고, 경쟁을 통해 학생들의 외현적 동기유발을 꾀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인간의 발전성에 대한 신념을 흐리게 하고, 참다운 학력의 평가가 불가능하며, 내발적 동기유발 방법을 외면하여 경쟁의식이 심화될 수 있고, 교수-학습의 개선이라는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입니다.

절대기준평가는 교육과정을 통해 달성시키려고 하는 각 교과별·학년수준별 교육목표 내지는 변화시키고자 하는 학습의 목표에 중점을 둔 목표수준별 평가또는 목표지향적 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대기준평가 도구를 제작할 때에는 평가 도구가 진술된 성취목표에 대응되어야 한다는 점이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절대기준평가는 평가의 준거를 교육을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수업목표에 두는 것으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방향을 밝혀주는 평가체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 평가의 장점은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신념을 기초로 하고, 검사 점수분포가 편포될 것이라는 가정을 하며, 얻어진 점수는 그 점수 자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타당도의 개념이 강조되고,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제거하여 협동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며,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성취감을 갖게 하고, 진정한 의미의 학습효과를 비교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상대기준평가와 절대기준평가 비교

 

 

상대기준평가(규준지향평가)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의 기준을 집단 내의 상대적 위치에서 구하는 평가 방법

절대기준평가

목표수준별 평가 또는 목표지향적 평가

 

 

- 개인차 변별이 가능

- 경쟁을 통해 학생들의 외현적 동기유발을 꾀하는 데 유리

- 인간의 발전성에 대한 신념을 흐리게 함

- 참다운 학력의 평가가 불가능

- 내발적 동기유발 방법을 외면하여 경쟁의식이 심화

- 교수-학습의 개선이라는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

 

 

-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신념을 기초

- 검사 점수분포가 편포될 것이라는 가정

- 얻어진 점수는 그 점수 자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

- 타당도의 개념이 강조

-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제거하여 협동적인 학습을 가능

-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성취감을 갖게 함

- 진정한 의미의 학습효과를 비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