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비평의 출발점

 

1) 경기도 교육청에서 주관했던 수업실기대회(2011년)


(1) 승진을 원하는 많은 교사들이 수업실기대회에 참가함
(2) 수업실기대회의 수업을 평가하는 도구
• Flanders 언어 상호작용 평가
• Tuckman 수업 분위기 관찰 분석
• 교사-아동 언어 흐름 분석
→ 대부분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양적평가방법을 사용하고 있어서, 수업비평은 일부 관심 있는 교사들 사이에서만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3) 2012년, 수업실기대회가 없어지면서 수업비평이 급격히 퍼지게 됨
(4) 교사는 수업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비평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


2) 수업비평의 정의

(1) 양적인 평가방법과는 다르게, 수업을 본 후 글쓰기 형태로 나타내는 일종의 질적 연구 방법의 한 형태

 

3) Philip Jackson의 질적 연구(University of Chicago교수)

(1) ‘팔로알토’라는 지역의 몇몇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직접 관찰함
(2) ‘예전에는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보게 되는 것’과 같은 작업이, 수업방법 개선이나 학급 경영 방식의 개선에는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는다 해도, 교육학자에게는 아주 중요함
(3) 1968년에 ‘교실안의 생활’이라는 책을 씀

 

4) Harry Wolcott의 질적 연구(University of Oregon 교수)

(1) 필립잭슨이 사용한 동일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교장들의 학교생활을 관찰함
(2) 1973년에 ‘교장실 안의 남자’라는 책을 출판함

→ Philip Jackson의 ‘교실안의 생활’과 Harry Woloctt의 ‘교장실 안의 남자’은 교육학분야에서 ‘문화기술기’라는 질적연구방법론을 사용한 최초의 연구물로 알려짐


5) Elliot Eisner의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평설

(1) 교육학에서 질적 연구에서 사용할 것을 주장
(2) 더 나아가 1970년대에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평설’이라는 방법론을 개척함
→ Stanford University에 질적 연구방법론을 가르치는 강좌가 개설되고, 이에 관한 논문들이 출판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면서 교육학 분야에 질적 연구방법론이 정착하게 됨


6) 우리나라 교육학 분야의 질적 연구

(1) 199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함
(2) 1990년대 전반기에 미국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한 책들이 번역되어 나옴
(3) 1990년대 중반기부터 질적 연구를 소개하는 책들이 모습을 드러냄
→ 객관성 결여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 적법한 교육학 연구방법으로 인정받음
(4) 우리나라 수업비평 분야의 연구
• 2002년 이혁규 교수팀에 의해 연구 시작
• 현재 주로 교육대학 교수에 의해 연구가 진행 중
• 이외 많은 국내 연구자들이 수업 비평 연구하고 있음

 


7) 현직교사가 이야기하는 수업비평

(1) 수업비평문을 작성하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님
(2) 동료들과 수업비평문을 나누고 대화하는 활동
(3) 더 좋은 수업을 위해 다른 사람이 자신의 수업을 들여다보고 자신이 보지 못한 것, 고민해결을 위한 것임

 


8) 수업지도안의 부정적인 측면

(1) 수업 지도안을 보지 않아도, 수업을 볼 수 있음
(2) 지도안이 있다면 오히려 수업의 몰입에 방해가 됨

 


9-1) 좋지 않은 수업

(1) 소통이 없는 각본으로 이루어진 수업
• 아이들에게 예상대로의 답변을 유도함
• 오직 교사 본인의 텍스트에만 신경 씀
• 아이들은 교사가 의도, 유도한 답변만 함
• 진정한 질문과 호기심으로 가득 찬 배움의 기회를 놓침


9-2)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

(1) 수업 비평을 위해 수업을 보는 교사들이 수업지도안이 아닌 생동하는 실제 수업을 봐야 함

 

9-3) 좋은 수업

(1) 수업자가 볼 수 없고 느끼지 못한 것을 보는 수업 비평이 있는 수업
(2) 배움의 실마리를 찾고 교사와 아이 모두 만족하는 수업
→ 좋은 수업은 학생, 관찰자에게 ‘배움으로써의 감동’을 불러 일으킴


10) 수업비평과 수업비평문이란?

(1) 수업비평은 수업 자체를 예술로 보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의 개성과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