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비평 개념을 탐구하려면?

(1) 수업비평에 대한 여러 가지 관념 확인
(2) 수업비평의 실제 과정과 기존의 수업비평 관념의 비교
→ 수업비평이 무엇인지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음


2) 한자 어원 : 비(批)

(1) ‘손으로 친다’라는 뜻이고 의미가 확대되어 오늘날 ‘비판하다’, ‘비평하다’라는 의미로 많이 쓰임
(2) 손 수(手)의 부수와 우열과 상이를 견준다는 뜻의 비(比)의 부수가 합쳐져 지금의 뜻으로 확대됨


3) 한자 어원 : 평(評)

(1) ‘공정하게 말하다’라는 뜻이고 의미가 확대되어 ‘평하다’, ‘평론하다’의 의미로도 쓰임


4) 한자 어원 : 비평(批評)

(1) 비평은 사전적 의미로 어떤 대상에 대하여 미추, 선악, 장단, 시비, 우열 등을 평가하여 논함을 뜻함


5) 서양 어원 : Kriterion + Kriticos

(1) 그리스어로 ‘기준’을 뜻하는 Kriterion과 ‘통찰력 있는 판단’을 뜻하는 Kriticos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함

 

6) 서양 어원 : Krinein

(1) 그리스어인 Krino에서 파생됨
(2) Krinein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분리하다(Sperate)’ 또는 ‘구분하다(Discern)’
(3) Krinein이란 무엇을 구분하고자 선택하여 분리해 내는 것
(4) 영어의 비평가(Critic)와 위기(Crisis)의 어원이 같음
→ 비평은 새로운 의문이 솟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며 가치의 혼란에 대한 위기의식이라고도 함 따라서 높은 가치의식과, 가치 판단의 기준이 요구됨


7) 수업비평의 개념을 정립하는 것

(1) 수업비평을 바라보는 타당한 인식의 틀을 확립하는 것

 


8) 여러 연구들에서의 수업비평 개념

(1) 곽영순의 연구(2003) 
• 교사의 수업과 학생들의 학습을 개선하기 위하여 또다른 어른이 해당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

(2) 이정숙의 연구(2005) 
• 수업을 텍스트로 인식하여 해석하고자 하는 접근
•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수업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함

(3) 정재찬의 연구(2006)
• 교육 텍스트이자 일종의 문화예술 텍스트로서의 수업 텍스트를 대상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 아울러 예술과 과학의 양면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
• 기술, 해석, 평가하는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

(4) 강현석의 연구(2007) 
• 수업 판단이나 평가, 수업 논평과도 의미상으로는 통함
• 교사의 수업 행위에 대한 해석적 이해

(5) 이혁규의 연구(2007)
• 수업을 하나의 분석 텍스트로 하여 수업 활동의 과학성과 예술성, 수업 참여자의 의도와 연행, 교과와 사회적 맥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
• 기술, 분석, 해석, 평가하는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

(6) 김진희의 연구(2012)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가치의 문제를 논의하고 개념화하고 같이 생각해보는 방식
• 사람과 세상에 따라 고민하는 교육, 삶의 이야기


(7) 엄훈의 연구(2014)
• 수업 텍스트에 대한 읽기와 쓰기 및 수업 비평 텍스트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수업 비평 공동체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생산되고 소통되는 자생적인 장르
• 장르적 관점에서 수업비평의 대안적 개념 제시

 

9) 수업비평 개념의 중요한 의미

(1) 수업 현상을 하나의 텍스트로 봄
(2) 수업 현상 내의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함
(3) 수업 현상을 기술, 분석, 해석, 평가함
(4)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
(5) 수업에 대해 고민하고 질문하며 이야기 나누는 소통의 매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