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이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1) 예술로서의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평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2) 교사의 수업 행위에는 과학성의 측면과 예술성의 측면이 동시에 녹아있기에 수업 역시 비평의 대상


2) 수업이 비평의 대상이 된다고 할 때 제기되는 질문들

(1) 수업이 예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 동안 비평적으로 보는 전통이 부재했는가?
→ 전통적으로 수업활동은 비평의 대상이기 보다 장학의 대상에 가까웠기 때문이며 수업비평은 예술적 측면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일


(2) 수업비평이 수업의 예술적 측면을 대상으로 한다면 수업의 과학적 측면도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 수업의 과학적 측면 : 객관적 관찰에 의해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활동 영역
→ 수업행위의 과학적 측면 또한 비평의 시선과 무관한 영역이라 보기는 어려움 따라서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고려하며 그 상관성을 조망해야 함

(3) 수업이 예술이라는 점을 받아들일 때 그것이 어떤 예술인가?

→ 각각의 예술들은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고유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호작용에 따라 공연의 질이 달라지듯 수업도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따라 질이 달라짐

 

3) 수업비평의 개념화

(1) 수업비평은 수업 현상을 분석 텍스트로 함
(2) 수업비평은 분석 텍스트로 수업을 기술, 분석, 해석, 평가함
• 분석 : 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들을 비교, 분류, 대조, 등의 활동을 통해 수업 현상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
• 해석 : 수업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드러내는 것
• 평가 : 기술, 분석, 해석 작업을 바탕으로 수업의 가치를 판단하고 판단의 합리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
(3) 수업 관찰의 초점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구분됨
(4) 수업비평은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 작업


4) 수업비평의 초점(유형)

(1) 의도에 초점을 맞춘 수업비평
(2) 연행에 초점을 맞춘 수업비평
(3) 수업의 맥락에 초점을 맞춘 수업비평
(4) 교과내용에 초점을 맞춘 수업비평
(5)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수업비평
(6) 교사 중심의 수업비평
(7) 학생 중심의 수업비평
(8)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중심의 수업비평
(9) 공간 비평
(10) 시간비평
(11) 수용자 비평
→ 각 초점들이 하나의 테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며 어느 한쪽에 비중을 둘 수도 있음

 

5) 수업비평이 주는 유익

(1) 소통적 대화의 풍토를 조성하여 폐쇄적인 수업문화를 바꾸는데 기여함
(2) 수업을 보는 우리의 안목을 고양시켜줌
→ 숨어있는 질적 특성을 찾아내고 이를 언어화하여 전달, 수업의 풍부한 의미에 더 쉽게 접근 가능, 자연스럽게 자기 나름의 관점 형성으로 이어짐
(3) 우수한 수업 사례 발굴하는데 도움을 줌 → 자신의 수업을 돌아보고 새로운 실천을 기획할 수 있는 통찰력 제공

 


6) 제도적 접근 비교


(1) 관찰 목적

(2) 실천가와 관찰자의 관계

 

(3) 주된 관찰 방법

 

 

(4) 산출물 형태

(5) 참여의 강제성 여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