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사의 근본적인 고민

(1) 가르치는 학과가 크고 복잡해 교사의 지식이 모자라고 부분적이라는 점
(2) 교사가 가르치는 학생이 실제보다 복잡하다는 점
(3) 교사는 교사의 자아를 가르친다는 점

 


2) 성장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둘러보아야 할 곳

(1) 좋은 가르침의 원천인 내면적 터전
(2) 동료교사 커뮤니티


3) 교사라는 직업의 특수성

(1) 자신의 직업에 대해 잘 아는 동료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혼자 직무를 수행함
→ 자신의 경험이나 수업을 별로 공개하지 않는 것을 ‘학문적 자유’라고 여기거나 마치 교실이라는 성에서 다른 군주를 환영하지 못하는 태도를 취하기도 함

 


4) 수업 개별화의 결과

(1) 교사의 평가제도는 현실과 동떨어짐
(2) 교사평가가 사기저하, 불명예가 되기도 함
(3) 학생의 교사평가라는 2차적 인공물로 대체함
→ 학생의 교수평가 설문방식은 복잡한 직무를 단순한 항목으로 구분하며 교수의 사기를 저하시킴
(4) 평가제도의 한계가 냉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결과도 임의로 활용됨
(5) 교육기관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방해함

 

5) 수업 개방

(1) 다양한 교사의 개별적 가르침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방법

 


6) 교육담론 커뮤니티 활용

(1) 커뮤니티 활동은 교사의 직업적 의무사항
(2) 개별화된 교직에서 교사의 교육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활용되어야 함

 

7) 동료 교사들 간의 대화의 긍정적인 측면

(1) 같은 종사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 기술 향상을 이룰 수 있음
(2) 좋은 가르침에 대한 좋은 대화는 교직 수행 능력과 자아의식을 향상시킴

 


8) 동료 교사와 대화하는 방법

(1) 다른 사람의 문제를 조용하고 침착하게 받아들여 그 사람의 영혼을 끌어내는 기본 규칙이 필요함
(2) 알맞은 속도 유지하며 스스로 대답을 찾게 함
(3) 대화의 한 방법으로 수업비평이 있음

 


9) 수업비평에서 중요한 것

(1) 다른 관점에서 본 수업을 하나로 합쳐 다시 들여다보는 작업이 중요함
(2) 일반적인 비평문 전달은 수업평가와 같으며 이는 수업비평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나타나는 원인
(3) 수업비평 뒤에 모두 모여 대화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함
→ 교사와 학생을 이해하고 나 자신에게 도움이 되도록 함

 


10) 수업비평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나타나는 원인

(1) 관찰자의 위치에서 수업을 본 뒤 일방적인 비평문 전달은 수업평가와 같음
(2) 수업자의 생각을 듣지 못한다면 한 번의 수업 결과물로만 남을 뿐 아무 의미 없음
(3) 수업비평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라고 보는 시선과 어떻게 객관성을 유지하는가에 관한 문제제기
→ 교수님들의 강의와 저서를 통해 이론적 밑바탕을 이루고, 교사들 간의 공동체 활동을 통한 실습을 거듭할 때 이론과 실습의 균형적 발전을 이룰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