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비평을 하는 이유

 

(1) ‘보여주는이야기가 아니라 비평가가 들려주는이야기

(2) 비평가로서 동료 교사의 안목을 즐기기 위함

(3) 좋은 수업 이야기를 듣고 싶은 요구를 불러일으킴

(4) 교육적 상상력으로 수업 현상의 본질을 언어적 이미지로 포착하고 설명하기 위함

 

 

2) Eisner의 교육적 상상력

 

(1) 수업은 교사가 지닌 여러 종류의 신념, 교육적 가치관, 개인적 요구에 맞추어 이뤄지는 예술의 일종

(2) 교육적 상상력은 수업비평에서의 필요충분조건

 

 

3) 수업비평적 담화

 

(1) 폭로할 만하고, 논의할 만한 가치를 지닌 수업 현상으로 포착하고 규명하는 것

(2) 수업 현상에 관해 이야기 하고 이해하는 구체적인 방식

(3) 좋은 수업을 하고 싶은 갈망, 보고 싶은 갈망, 나누고 싶은 갈망의 만남

 

4) 수업 동영상을 볼 때의 유의사항

 

(1) 선입견과 판단하지 말아야 함

(2) 교사와 학생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들어야 함

(3) 수업장면을 눈 여겨 보아야 함

(4) 관찰, 기술, 분석, 해석, 평가의 과정을 거칠 것

 

5) 수업전문가란?

(1) 수업을 잘하는 교사

(2) 좋은 수업을 보는 안목을 지닌 교사

안목을 지닌 실천적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담화 방법과 글쓰기 방법이 필요함

 

6) 수영비평적 담화 방법의 원리

(1) 수업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먼저 이해하기

전략의 투입과 산출의 매커니즘으로 보는 방식

수업을 완결된 구조로 보는 기술로서의 수업

수업을 문화로 재인식하는 방식

예술로서의 수업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수업

자기발견으로서의 수업

수업공개자가 어떤 수업관을 지니고 있는지 밝히게 되면 수업 평가나 비평을 개선할 수 있음

 

(2) 수업비평 자료를 낯설게 읽기

수업동영상은 3회 이상 반복 시청하기 (시각, 환경적 제약이 있을 시 인상적인 장면만)

- 자신이 본 것과 생각한 것 기록

- 자신의 안목이 달라진 이유가 무엇인지 서로 이야기

수업 전사 자료를 능동적으로 읽기

- 교사와 학생 대화를 세밀한 분석

- 질문 생성

- 수업 동영상 약점 보완

- 수업흐름, 구조 파악 유용

- 관찰하고 싶은 학생의 반응, 대화와 양과 질, 대화 참여자의 역할을 분석 가능하게 함

질문과 대답을 생성하며 수업비평 자료 읽기

- 수업 비평의 목적 : 잠재된 현장 포착, 수업 가치 평가, 질문과 대답의 읽기 통해 알기 힘든 궁금증 해소

 

(3) 새로운 수업비평적 담화 틀을 개발하고 익히기

유연한 사고를 가지기

비평적 담화를 활성화시키는 틀을 개발하기

 

(4) 메타 비평적 담화 하기

메타 비평적 담화란 경험한 수업비평 담화의 과정, 결과 반성 및 성찰 담화를 말함

수업비평 자료 읽기 경험에 대한 메타 비평하기

수업 비평적 담화 틀에 대한 메타 비평하기

- 현장 교사의 비평적 담화를 이끌어 내기에 적합한가?

- 비평가의 일방적인 담화 틀이 적절한가?

- 수업 공개자의 시선, 목소리를 반영할 틀은 없는가?

 

 

6) 평설

(1) 자신이 알아낸 것, 본 것, 느낀 것 적절히 평가하여 전달하는 행위

(2) 평설할 대상을 알아내는 일, 보는 일, 느끼는 일이 선행되어야 함 (Eisner의 말하는 감식’)

 

 

7) 교육적 감식안

(1) 감식안 : 지각 대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질적 차이를 잘 구별하는 능력

(2) 감식안을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것

 

 

8) 교육평설

(1) 교육적 감식가 자신의 감식안을 통해 본 개인적인 것을 다른 사람과 나누기 위해 언어를 통해 드러낸 것

(2) 교육적 감식안에 사회적 생명을 불어 넣는 것

(3) 교육적 감식안은 교육평설의 필요조건

 

9) 교육평설의 네 가지 차원

(1) 기술(묘사)

(2) 해석

(3) 평가

(4) 주제화

네 가지 사항이 반드시 들어가지 않아도 됨

 

10) 교육평설에 신빙성을 제공하는 원천 (Eisner)

(1) 구조적 확증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가지고 현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대상에 대한 해석과 평가를 지지 또는 반박하는 것

- 교실 참여관찰

- 인터뷰

- 문헌 문서 수집

- 통계 수집

 

(2) 합의적 정당화

어떤 교육적 상황에 대한 기술, 해석, 평가, 주제화가 과연 제대로 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격을 갖춘 여러 사람들에게 그 평설문을 읽어보도록 하여 이들 간에 의견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알아보는 것

(3) 참조적 적절성

어떤 교육적 경험 또는 상황의 한 측면에 대하여 평설가가 말하지 않았더라면 모르고 지나쳤을 것을 평설가의 말을 통해 알게 되는 것

교육평설문이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평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