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비평이란

 

(1)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가치 문제를 논의하고 개념화하고 같이 생각해보는 방식

(2) 생각을 총체화 하여 수업 글쓰기로 나타내는 것

(3) 수업의 부분들을 통해 전체를 보여주는 것

(4) 수업을 보는 것에서 시작

(5) 수업을 보며 든 여러 가지 생각들을 질문의 형태로 만들거나 이야기해 보는 것

(6) 교사들의 배움을 나눌 수 있는 공감의 장

(7) 교사 자신의 진리와 수업의 진리를 이야기하고 글을 쓰며 교사로서 살아가는 이유를 담아내는 작업

(8) 자신의 모든 경험과 활동을 담아내는 방법론

 

 

2) 비평에서의 관찰

 

(1) 비평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

(2) 수업에 다양한 이론적 계기가 숨어있음

(3) 반복적인 양상이 일어나는지 관찰

 

 

3) 자기 연구로서의 수업 비평

 

(1) 수업비평은 자기 연구일 때 온전해지며 진정성이 담김

(2) 자신의 가르침을 자발적으로 공개하면서 비로서 자신에

대한 진정한 배움이 시작됨

(3) 셀프, 내러티브 탐구, 실행연구와 깊이 관련됨

 

 

4) 다른 연구방법과의 차이

 

(1) 자기 연구의 “Self”는 교육현장에서 주로 논의 됨

(2) 자아를 넘어 가르치는 활동의 주체로 형상화 됨

 

 

5) 자기 연구

 

(1) 교사 자신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 탐구과정이 중요함

(2) 자신을 둘러싼 교육현장의 복잡한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

(3) 수업비평은 자기연구를 하는 연구활동으로서의 실천

 

 

6) 자기 연구에서의 수업비평

 

(1) 자신의 수업 활동을 스스로 돌아보며 질문을 제기함

(2) 과거의 수업에서 동료의 수업까지 확장됨

(3) 동료와 소통하는 공적인 방법이 추가됨

(4) 이론에 교육실천을 담은 공적인 재이론 형성

 

 

7) 배움 공동체

 

(1) 수업비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공동체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함

(2) 교사가 주체가 됨

(3) 다양한 이야기와 대화가 실천적 지식으로 이어질 수 있음

(4) 수업상황에 다시 스스로 관찰, 적용

 

 

8) 배움 공동체에서의 수업비평

 

(1) 교사의, 교사를 위한, 교사에 의한 배움에서 비롯되어야 함

(2) 무형식의 배움 공동체를 통해 활성화 되어야 함

 

 

9) 배움의 공동체 확산

 

(1) 공유할 이야기가 수업으로 구성되므로 배움의 공동체가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을 갖고 있음

(2) 진정성있는 경험을 공유하기에 전이되기 쉬움

(3) 공동체를 연결하고 지속적으로 소통하게 하는 것은 삶이 녹아든 교사들의 이야기임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이야기의 원천이 됨

 

 

10) 배움이 일어나는 배움의 공동체

 

(1) 교사의 자발적 참여와 적극적인 이야기가 전개되지 않으면

공동체는 있으나 배움은 일어나지 않음

(2) 모임에 참여한다고 해서 수업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음

(3) 끊임없는 수업비평이 전개되어야 수업비평의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