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비평의 단계(경기도교육연수원, 2013)


(1) 수업과의 만남을 위한 사전준비
(2) 수업 관찰 및 촬영하기
(3) 관련자료 수집·분석 및 수업 전사하기
(4) 수업의 중심 주제 부각시키기
(5) 수업비평문 작성하기




2. 수업비평 절차


1) 절차
• 1단계 : 사전 만남
• 2단계 : 수업관찰 및 동영상 촬영
• 3단계 : 수업 전사, 요약
• 4단계 : 분석 및 이해
• 5단계 : 주제 잡아 비평문 쓰기
• 6단계 : 수업 비평문 전달하기
• 7단계 : 수업자 성찰문 쓰기
• 8단계 : 수업 공개 일주일 후, 수업 관련 대화하기


2) 1단계 : 수업과 만남을 위한 사전 준비
(1) 지도안 작성 및 협의하기
• 수업자가 작성한 지도안을 바탕으로 수업비평 친구가 함께 지도안을 협의함
• 수업자는 자신의 수업의 의도를 표현하고 수업관찰자에게 관찰 내용을 의도적으로 제안

• 성취기준과 단원의 활동내용을 간단하게 작성하여 공동지도안을 통해 동학년이나 동교과 교사가 실천
(2) 사전 만남을 통해 수업자는 학습의 분위기, 사전 정보를 제공하며 관찰자는 수업관찰의 준비를 함


3) 2단계 : 수업관찰 및 촬영하기
(1) 직접 관찰
(2) 동영상이나 녹음자료 및 사진 촬영을 통한 관찰
• 수업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수업비평을 할 때
• 수업에 참여했으나 다양한 수업모습이 필요할 때
• 촬영된 수업은 텍스트로서 수업비평의 대상이 됨
• 4분할 촬영의 장점
- 교사, 학생, 수업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료가 됨
- 수업전사와 관점 및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음

• 교실 앞과 뒤에서의 촬영 - 학생과 교사에 초점을 맞춤
• 교실 뒤에서 촬영 - 자기 성찰적 촬영할 때 활용됨
• 수업관찰 및 촬영하기
- 수업 동영상의 일부분 중 다시 자세히 보고 싶은 부분이 있는가?
- 왜 그 부분을 다시 보고 싶은가?


4) 3단계 : 자료 수집 분석 및 전사하기
(1) 자기연구로서의 수업비평문쓰기의 자료 수집 방법
• 자기회상, 자기성찰, 자기관찰, 면담, 문화자료, 문헌
• 수업자가 아닌 수업비평친구가 될 경우 자료수집의 방법이 다를 수 있음
(2) 자기 회상
• 수업 전반을 기록한 노트
• 수업 비평을 위한 나의 영상
• 수업 지도안
• 비평적 수업에 대한 학생의 결과물, 논문, 책 등
(3) 자기 성찰
• 수업 일기
• 수업 비평 모임
(4) 자기 관찰
• 학술대회 초록 등
(5) 면담
• 동료의 일상 대화 기록 노트
• 동료의 수업 대화 기록 노트
(6) 문화자료
• 수업과 연결된 공적인 문서들
(7) 문헌
• 선행 연구물
• 수업 비평모임 동료의 수업 텍스트 등
(8) 수업전사가 어려울 경우
• 수업전사란
- 현장에서 수집, 기록한 자료들을 추후 분석을 위해 깨끗하고 체계적으로 받아 적는 것
• 수업을 최소한 두 세 번 보면서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옮겨 적는 것도 한 방법


5) 4단계 : 분석 및 이해(수업의 중심 주제 부각시키기)
(1) 텍스트로서의 수업
• 관찰, 분석, 해석, 평가가 따름
• 분석과 해석에 따라 수업의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음
- 수업에서 발견한 것들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야깃거리를 확정해 가는 과정
- 비평가는 강조하고 싶은 이야기와 부차적인 이야기, 생략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정돈할 수 있음
- 아이 눈으로 수업보기의 관점에서 분석과 해석을
통해 주제를 부각시키는 과정
-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왜 그런 행동이 일어났는지
원인 분석, 의미 해석
- 해석과 분석을 통해 수업비평문을 작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