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론체계

Case(1978, 1984)의 실행통제구조이론(Theory of Executive Control Structure)에 의하면 인지발달상의 주요 변화는 바로 문제 해결장면에서 사용되는 실행통제구조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행통제구조란 일련의 문제해결을 계획하는 일종의 내재적 청사진”(김언주 등, 1989, p.68; Case, 1984, p.21)으로서, 특정 문제사태를 구성하고 이를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계획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ase의 이론에서 실행통제구조는 문제사태의 표상, 해결해야 할 목표의 표상 및 문제해결 방략의 표상이라는 세 요소로 구성된다.

 

2) 인지발달단계

감각운동통제구조 발달기: 대체로 Piaget의 감각운동조작단계와 일치하는 시기로, 이 기간 동안 아동은 생득적으로 갖고 태어나 감각기능과 반사운동기능을 통합하여 보다 정교한 감각운동적 인지 기능을 발달시킨다.

관계통제구조의 발달기: 아동은 이 문제사태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수단간을 연결하는 방략을 찾아내어 이를 실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같은 조작을 반복 숙달하게 된다.

 

Case의 인지발달 단계

연령

하 위 단 계

 

감각운동통제구조

관계통제구조

차원통제구조

벡터통제구조

0~4개월

감각운동착생기

 

 

 

4~8개월

1차협응기

 

 

 

8~12개월

2차협응기

 

 

 

12~18개월

정교화협응기

관계착생기

 

 

1~2

 

1차협응기

 

 

2~3

 

2차협응기

 

 

3~5

 

정교화협응기

차원착생기

 

5~7

 

 

1차협응기

 

7~9

 

 

2차협응기

 

9~11

 

 

정교화협응기

벡터착생기

11~13

 

 

 

1차협응기

13~15

 

 

 

2차협응기

15~18

 

 

 

정교화협응기

 

차원통제구조의 발달기: 아동이 문제해결에 관련되는 차원이라는 조작단위를 부호화하고 이들 차원을 상호통합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도달하게 되는 과정이다. 앞의 과제에서도 예시했듯이, 아도잉 무게길이 등의 차원을 부호화하기 시작할 때 차원통제구조가 정착되며, 무게와 수 등의 차원을 통합하는 일련의 차원협응기를 거쳐 차원통제구조의 발달이 완성된다.

벡터통제구조의 발달: 차원통제구조시기의 아동은 차원을 부호화하고 통합할 수 있지만, 이 시기의 인지적 기능은, 예컨대 수를 헤아려서 구체적으로 제구조기에는 유추와 비율 등 구체적인 하위차원들을 추상적으로 관련지우는 상위차원 조작에 의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된다.

 

3) 인지발달 기제

아동은 누구나 기존의 조작구조를 가지고는 해결할 수 없는 어떤 문제사태에 부딪치면 어떻게든 이 사태를 해결함으로써 내재적으로 보다 나은 상태를 지향하려는 문제해결 경향성을 지닌다.

아동은 새로운 문제사태에 새로운 조작구조를 적용하고 그 해결 가능성을 시험해 보고자 하는 생래적 호기심 내지 탐색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아동은 특정 문제사태에 대해 자신보다 나은 표상이나 실행방략을 구사하는 성인의 행동이나 방략을 관찰하고 모방하기도 한다.

아동은 집단 속의 다른 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음으로써 자신이 지닌 기존의 통제구조를 보다 상위구조로 통합시켜가려는 활동경향성을 갖고 있다.

개인이 특정 과제해결에 부여할 수 있는 전체 정보처리능력을 그 개인의 전체처리공간(TPS:total processing space)으로 개념화하고, 이는 다시 작업공간(OS:operating space)과 단기 저장공간(STSS:short-term storage space)으로 나누어져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작업공간은 전체 처리공간 중 특정과제 해결을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분을 하는 데에 사용되는 부분을 뜻한다.

인지발달은 훈련과 숙달을 통해 작업공간이 감소됨에 따라 단기저장공간이 점차 커짐으로써 보다 많은 차원을 동시에 부호화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