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학습 방향

1) 국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국어과 교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한다.

국어 교수학습은 국어과 교과 역량인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국어과 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에서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개념이나 지식, 전이력이 높은 기능 및 태도를 중심으로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다양하고 실제적인 삶의 맥락에서 학습자 간 상호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학습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어과 교과 역량을 함양하도록 교수학습을 운용한다.

교사가 교수학습에서 의도한 교과 역량 이외에 학습자가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르게 되는 교과 역량에도 주목하여 각각의 교과 역량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각각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운영함으로써 국어의 목표를 내실 있게 달성할 수 있다.

 

2) 국어 활동의 총체성을 고려하여 통합형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한다.

국어 교과 내, 국어 교과와 다른 교과 간, 국어 교과와 비교과 활동 및 학교 밖 생활과의 통합을 통해 국어 지식의 단절을 극복하고 삶의 연속성 위에 개성 있고 품위 있는 국어생활을 추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통합의 매개 요소로 주제, 학습 내용 요소, 학습 자료나 제재, 학습 과제 해결을 위한 사고나 기능, 교과 역량과의 관련성, 의사소통 상황 등, 국어와 관련될 수 있는 매개 요소를 다양하게 탐색하여, 통합의 취지에 알맞은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통합 요소 간 공통점과 차이점, 영역 간 횡적 연계성, 학년()별 종적 연계성을 고려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교수학습을 운용한다.

국어 교과의 연계성과 총체성을 고려하여 하위 학년()과 상위 학년()의 성취기준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교사와 교사, 교사와 학교, 지역 사회가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공유하거나, 교수학습 시기 및 학사 일정을 조절하여 통합형 교수학습의 여건을 내실 있게 조성한다.

한 학기에 한 권, 학년() 수준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책을 긴 호흡으로 읽을 수 있도록 도서 준비와 독서 시간 확보 등의 물리적 여건을 조성하고, 읽고, 생각을 나누고, 쓰는 통합적인 독서 활동을 학습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3) 학습 활동 과정에서 의미 있는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자 참여형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한다.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학습자 스스로 활동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국어의 교육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고 몰입하여 유의미한 언어 사용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학습자의 수준, 관심과 흥미, 적성과 진로, 언어와 문화 배경 등의 개인차와 학교 및 교실 환경 등의 물리적 조건을 고려하여 국어 수업 활동을 계획한다.

학습자가 배우고 익혀야 할 내용과 과정을 구조화위계화하여 제시하고, 나아가 국어와 다른 교과를 통합하여 학습자의 배움이 창의적으로 심화확장되도록 한다.

국어의 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성격을 고려하여 직접 교수법, 토의토론 학습, 탐구 학습, 문제 해결 학습, 프로젝트 학습, 역할놀이 학습, 거꾸로 학습 등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여 운용하되, 학습자 참여형 교수학습이 되도록 한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수업 활동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학습 목표와 학습 요소를 매 차시 환기하고, 학습자가 창의적으로 주도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조력하며, 수업에 참여하는 동기를 높인.

 

4) 국어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영한다.

학습자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자기 자신과 타인, 사회문화에 대해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학습 자료나 제재의 선정, 학습 활동 설계, 교수학습 방법의 선택과 활용, 수업 과정에서의 발문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인성 함양을 고려하며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국어 활동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성찰하고 학습자 간에 상호 소통하는 가운데 인성을 기르도록 교수학습을 운용한다.

국어 수업에서 배운 정의적인 내용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하도록 하여, 인성 요소가 지식 학습으로 그치지 않고 학습자에게 내면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 평가 방향

1) 국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평가 내용의 균형, 평가 방법 및 평가 도구의 타당성, 신뢰성,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을 평가 내용 및 평가 도구와 연계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국어에서 기르고자 하는 교과 역량 및 창의인성 등 평가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되, 표현 능력과 이해 능력, 인지적행동적정의적 요소가 균형을 이루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국어에 관한 단순하고 지엽적인 지식보다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되, 국어를 사회적 소통에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평가 목적, 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형식 평가와 비형식 평가, 간접 평가와 직접 평가,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연구 보고서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관찰 평가, 컴퓨터 기반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평가 과정에서도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2) 학습자의 국어 능력의 신장을 판단하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도구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학습 과정과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한다.

학습자의 수준, 관심, 흥미, 적성, 진로 등 개인차를 고려하되, 학습자의 국어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 방법을 모색한다.

국어 사용의 실제성이 드러나도록 평가 과제, 평가 상황을 실제 삶의 맥락에서 설정하여 평가한다.

사전 지식이나 능력보다는 국어의 활동을 통해 얻은 배움의 내용과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평가 기준이나 방향을 학습자에게 미리 안내하여, 학습자가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해야 하는지를 알고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가 수행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개선한다.

평가 목적, 평가 내용, 평가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 평가 이외에 자기 평가, 상호 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3) 학습자의 국어 능력의 발달 정도를 판단하고 교육 활동을 개선하는 데 국어 평가 결과를 활용한다.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평가 결과를 해석하고 활용한다.

평가 결과는 교수학습 방법이나 평가 방법, 평가 도구를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평가 결과를 누적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파악하거나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한다.

학습자, 학부모 및 교육 관련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국어과가 목표로 하는 세부 능력과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평가 결과를 상세히 제공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