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읽기 부진 및 장애의 외적 요인
- 초기 문해 경험 부족 -> 역동적 평가로
- 읽기 교육 부재 -> 중재반응 모델로
- 마태 효과
2. 읽기 부진 및 장애 내재적 원인
- 언어에 기초한 결험: 핵심결함가설, 음운처리(음운인식, 음운저장, 음운회상)
- 음운처리능력의 결함 외 다른 언어 및 다른 인지적인 요인으로 인한 읽기의 어려움
- 종단 연구에서 언어능력과 읽기능력의 관련성 확인
- 인지: 지능의 문제
- 주의력에 기초한 결함: 현 읽기문제의 36% 차지
728x90
'기초학력 관련 > 찬찬히 배우는 한글공부 (찬찬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해독과 한글 독해의 차이, 읽기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글 교육, 한글의 문자적 특성을 고려한 한글 교육 (1) | 2021.09.06 |
---|---|
한글교육의 개념, 한글교육의 중요성, 읽기 발달과 한글교육 (1) | 2021.09.06 |
읽기 장애 및 읽기 부진 아동 특성 : 해독 결함, 읽기 유창성 결함, 읽기 이해 결함 (2) | 2021.09.03 |
구어와 문어, 학교에서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 (2) | 2021.09.03 |
읽기 발달 단계와 읽기 모델 (2)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