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철학20

포스트모더니즘

 

 

 

 

 

1. 개관

1) 포스트모더니즘이란 1979리오타르(J. F. Lyotard)에 의해 학술적 용어로 처음 사용되어 학문의 영역에 등장한 흐름으로, 계몽사상으로 대표되는 근대사회의 보편적합리적절대적객관적총체적 지향을 비판한다.

2) 이는 탈이데올로기 사회, 후기 자본주의 소비사회, 디지털 영상정보화 사회, 신중간계급 사회, 신과학(new science) 사회로 지칭되는 20세기 후반기의 인간 생활양식의 변화를 설명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등장한 문화논리이자 사상체계이다.

3) 대표적 사상가로는 리오타르(J. F. Lyotard), 라깡(Lacan), 데리다(Derrida), 푸코(Foucault) 등을 들 수 있다.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

1) 절대적인 진리의 존재 부정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법칙이 있다는 근대 자연과학과 계몽사상의 입장을 비판하고 인간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자 한다.

2) 대서사보다는 소서사를 지향 : 그래서 모든 사람, 모든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대서사(grand narrative)를 거부하고, 개인이나 소집단에 초점을 맞춘 소서사에 관심을 둔다.

3) 거대이론보다는 국지이론을 지향 :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사회, 모든 인간에 적용될 수 있는 거대이론보다는 개인과 소집단에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국지이론을 지향한다.

4) 이론과 실제의 결합 지향 : 그래서 실제 생활을 추상화시켜 현실과는 거리가 멀어진 이론보다는 현실에 실천될 수 있는 이론을 지향한다.

5) 인간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이 지닌 이성이 절대적인 진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사회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을 비판한다.

6) 인간의 유한성과 다양성 인정 : 그래서 모든 인간이 이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라는 계몽사상의 입장에서 벗어나, 인간이 현실세계라는 한계 속에서 살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에 따라 현실을 다르게 인식하고 행동하는 다양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을 인정하고자 한다.

7) 지식의 보편성과 객관성 부정 : 따라서 인간의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지식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며 항상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비교>

구분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진리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의 존재 인정

절대적인 진리의 존재 부정

인간과 사회의 다양성 인정

사회이론에 대한 입장

모든 사회, 모든 인간에 적용되는 거대이론 추구

대서사 지향

실제를 객관화한 이론의 추구

개인이나 소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 국지이론 추구

소서사 지향

이론과 실제의 결합 추구

인간관

절대적 이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의 보편성 강조

사회와 독립되어 활동할 수 있는 인간 존재 강조

인간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가는 존재

인간의 다양성 인정

지식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

지식의 현실성, 가치지향성, 역사성 인정

지식의 상대성, 주관성, 변화가능성 강조

 

3.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이론

1) 학습자 중심교육 :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보편적인 지식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닌 가치에 따라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보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내세운다.

2) 전생애적 교육(평생교육)의 강조 :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교육이 학교라는 제한된 울타리를 넘어서서 전생애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3) 전인적인 교육의 중시 :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의 경험이 인간을 변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인간이 하는 모든 경험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특성은 조화롭게 발달되어야 한다고 본다.

4) 공동체에 관심 : 인간이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삶이 형성되는 공간인 공동체에 관심을 둔다.

5) 지식과 신념체계의 비판적 파악 : 인간의 지식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지식과 신념체계가 어떤 동기, 관심, 가정, 전제하에 형성된 것이며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본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9

구조주의(structuralism)

 

 

 

 

 

1. 개관

1) 구조주의란 1960년대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학문적인 방법론의 하나이다.

2) 이는 소쉬르(F.D. Saussure)일반언어학 강의에서 제시한 구조언어학적 방법들과 분석 용어들을 신화, 친족관계 등의 연구에 적용한 프랑스 문화인류학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에 의해 현대철학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3) 구조주의를 대표하는 학자들로는 문화인류학의 레비 스트로스, 정신분석학의 자크 라캉(Jaarques Lacan), 문학비평의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등을 들 수 있다.

4) 그리고 대표적인 교육학자로는 피아제(Piaget), 콜버거(Kohlberg), 촘스키(Chomsky), 브루너(Bruner), 갈등론을 대표하는 교육사회학자인 알튀세(Althusser), 부르디외(Bourdieu) 등을 들 수 있다.

 

2. 기본입장

1) 구조주의는 인간의 주체성과 역사성을 내세우는 실존주의와 가장 대립되는 사상이다.

2)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내용과 본질을 만들어 간다고 보는 반면 구조주의는 주체를 구조의 산물로 본다.

3) 인간의 언어, 사회구조, 정신 등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구조가 존재하며 개개인의 특성은 보편적인 구조에 의해 마련된 가능성을 일정하게 조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4) 그리고 구조주의에서는 이 구조가 시간과 문화적 상황(역사성)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 구조가 모든 시대, 모든 상황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이다.

 

3. 후기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1) 후기구조주의는 구조주의가 주장하는 보편적인 구조를 해체하려는 보다 급진적인 흐름이다.

2) 이는 서구 역사에서 보편적인 이성과 절대적 진리가 초래한 전체주의적인 억압을 문제 삼으면서 개별성, 우연, 단절, 차이 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 한다.

3) 이 흐름 가운데 일부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4) 대표자: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리오타르(J.F. Lyotard)

 

 

728x90
728x90

 

 

 

교육철학16

실증주의

 

 

 

 

 

1. 개관

1) 실증주의라는 명칭은 19세기 프랑스 철학자 콩트(A. Comte)로부터 나왔다.

2) 콩트는 인간의 사고가 신학적 단계, 형이상학적 단계, 실증적(과학적) 단계로 전개되는데, 신학과 형이상학은 지식의 근거로써 신뢰될 수 없기 때문에 포기되어져야 하며, 오직 과학의 발견만이 실증적이라고 주장했다.

3) 콩트의 고전적 실증주의는 영국의 밀(John. S. Mill), 스펜서(Hebert Spencer), 그리고 프랑스의 뒤르껭(Emile Durkheim)을 통해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발전해 갔다.

4) 현대실증주의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비엔나에서 만났던 과학적 성향의 철학자 집단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분석철학으로 발전해 갔다.

 

2. 실증주의의 특징

1) 경험주의

실증주의는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외현적 현상, 즉 감각적 경험만이 참된 지식의 유일한 원천이 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경험주의적이다.

실증주의는 외현적 현상과 현상들간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들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법칙을 찾고자 한다.

2) 과학주의 : 실증주의는 감각적 경험이 가능한 외현적 현상에 토대를 둔 것이므로 자연현상의 연구에 사용하는 동일한 과학적 방법을 사회현상의 연구에도 적용하고자 한다.

3) 사회학주의 : 실증주의는 개인으로 구성되는 사회가 개인의 단순한 합을 넘어서는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볼 때 반개인주의적이며, 사회학주의적이다.

 

 

 

 

 

 

 

 

 

 

 

교육철학17

분석적 교육철학

 

 

 

 

 

1. 분석철학의 등장배경

1) 분석철학은 실증주의 및 과학적 연구방법의 영향으로 전통철학에 대한 반성과 회의로부터 시작되었다.

2) 분석철학자들은 전통철학이 추구해 온 절대불변의 진리의 규명은 철학자들의 주관적 신념에 불과하므로 이를 철학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객관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것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2. 분석철학의 대상

1) 경험과 논리에 의한 실증 : 분석철학은 어떤 명제의 진실성을 경험과 논리에 의해 실증하는 것을 그 대상으로 삼는다.

2) 언어의 의미 분석과 명료화 : 그래서 분석철학은 학문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참된 의미를 밝히고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철학의 과제로 삼는다.

 

3. 분석적 교육철학의 의의

1) 독자 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 성립에 기여 : 분석철학은 교육철학이 기존의 교육관 연구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학문 분야로 성립시키는데 기여했다.

2) 교육철학의 기본적 방법론 제시 : 개념들을 명료하게 분석하고 논리적 타당성을 검토하여 이론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한 분석적 교육철학은 교육철학의 기본적인 방법을 정립시키는 계기가 됐다.

 

4. 분석적 교육철학의 한계

: 그러나, 분석적 교육철학은 철학의 가치 중립성을 추구하여 언어의 의미와 논리적 관계의 분석만을 강조함으로써 교육철학의 실천적 성격을 퇴색시켰다.

 

 

 

 

 

 

 

 

 

교육철학18

비판이론

 

 

 

 

 

1. 비판적 이론의 형성과 전개

1) 비판이론 또는 비판철학은 헤겔과 마르크스의 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1914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형성된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의해 시작되었다.

2) 초기에는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와 아도르노(T.W. Adorno) 그리고 마르쿠제(H. Marcuse) 등이 주축이 되어 연구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 하버마스(J. Habermas)에 의해 이론적으로 집대성되었다.

 

2. 비판 이론의 기본 입장

1) 학문의 목적 : 비판이론은 20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합리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된 사회구조와 인간정신의 해방을 학문의 기본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2) 지식의 사회적정치적경제적 제약 분석 : 비판이론은 인간의 의식이나 지식이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제약 하에서 형성된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자유로운 의식의 형성을 억압하고 왜곡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비판하고자 한다.

3) 인간과 사회의 해방을 목표 : 인간의 의식을 제약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통해 사회적 억압이나 지배로부터 벗어난 자유롭고 합리적인 인간과 사회를 형성하고자 한다.

 

3. 비판적 교육철학

1) 현재의 교육에 대한 입장

비판적 교육이론은 교육이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제약과 억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교육이 이러한 억압구조 속에서 그릇된 신념과 지식, 즉 이데올로기를 전달하여 지배계층에 유리한 사회구조를 재생산하고 있다고 본다.

교육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을 주입함으로써 획일적이고, 몰개성적인 인간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비판한다.

2) 교육과정의 이데올로기성 강조

학교가 이데올로기 주입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보는 비판적 교육이론은 교육과정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다고 비판한다.

교육과정을 통해 그릇된 이데올로기가 주입됨으로써 아동의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사고가 억압된다는 것이다.

3) 교육개혁의 방향

교육은 그릇된 이데올로기와 체제로부터 인간과 사회를 해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 교육은 현재의 교육과 사회에 대한 비판을 통해 자율적이고 성숙한 인간을 길러 내야 한다.

따라서 정치교육이나 여성해방교육과 같은 의식화교육이 중요하다.

 

4. 비판적 교육이론의 전개

1) 비판적 교육이론은 1970년대 이후 프레이리(P. Freire), 애플(M. Apple), 바우어(C.A. Bowers), 지로(H.A. Giroux) 등과 같은 교육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2) 비판이론은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 학교가 사회적 불평등과 비인간화에 기여한다고 보고 그 극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비판이론은 학교의 교육과정의 이데올로기성을 지적하여 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고자 하는 흐름, 즉 교육과정 재개념주의(교육과정 사회학)의 한 줄기를 이루고 있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5

실존주의

 

 

 

 

 

1. 실존주의의 전개

1) 실존주의는 인간의 존재와 주체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철학으로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유럽에서 대두된 철학이다.

2) 실존주의는 현상학에 근거하여 19세기의 합리론적 관념론과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된 것으로 하이데거, 키에르코게르, 야스퍼스, 샤르트르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3) 실존주의 교육철학은 실존철학에 근거를 둔 것으로 볼노브(Bollnow)와 부버(Buber)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2. 실존철학의 기본입장

1) 객관적인 불변의 본질 부정

전통적인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질이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것으로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어떤 불변의 본질을 가지고 세상에 태어난다는 것을 부정한다.

2)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 : 인간은 아무런 본질적인 것이 없는 무()의 상태로 세상에 던져졌을 뿐이며,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해 본질을 창조해 가는 존재이다.

3)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 인간이 자유의지에 의해 스스로의 본질을 완성시켜 간다는 것은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의미가 된다.

4) 인간의 선택과 책임 중시 : 인간이 자신의 자유의사에 의해 자신의 행동과 운명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라고 한다면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5) 개별적 자아가 진리의 주체 : 모든 인식에 있어 무엇이 자기에게 진리인가를 궁극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개별적 자아이다.

6) 실존주의 교육의 목적 : 개인이 자유의사에 따른 선택과 판단에 의하여 자신의 생활과 운명을 결정짓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는, ‘자아 실현적 인간의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3. 부버(Martin Buber)의 이론

1) 교육의 목적 : 부버는 독자적이고 자유로운 인격의 형성과 성장을 돕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보았다.

2) 만남을 통한 교육

교육이 자유로운 인격의 형성을 돕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우정형식의 대화, 즉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만남은 인격과 인격의 만남인 대화여야 하며, 동시에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상황이어야 한다.

그래서 -의 만의 관계는 인격적 대화의 관계이며, 전인적인 관계이다.

 

4. 볼노브(Bollnow)의 이론

1) 인간의 점진적 성장 부정 :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본질(천부적 능력)을 타고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이의 계발을 통한 점진적인 성장을 부정한다.

2) 비연속적인 성장 : 인간은 위기, 각성, 충고, 상담, 만남, 모험, 좌절등과 같은 비연속적인 요소에 의해 비약적으로 성장(도약)할 수 있다.

 

5. 실존주의 교육이론의 특징

1) 전인적 인격교육 중시 :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여 행동하고 이에 책임을 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인적인 인격교육이 필요하다.

2) 만남의 강조 :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있는 교육현장은 인격적인 만남의 장이어야 한다.

3) 학생의 개성과 주체성 존중 : 획일화, 집단화된 현대의 학교교육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개성과 주체성을 존중해야 한다.

4) 교사의 역할 : 교사는 학생의 심적 갈등과 어려움을 같이 공감하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정열을 지녀야 한다.

5) 어두운 면도 보여주는 진솔한 교육 : 죽음, 좌절, 공포, 갈등과 같은 인간 삶의 어두운 측면 또한 보여 줘서 적극적인 삶의 의미를 느끼도록 한다.

 

6. 실존주의 교육이론의 한계

: 실존주의는 모호하고 암시적인 특성 때문에 실천적 교육이론으로서 교육에 구체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4

해석학

 

 

 

 

 

1. 해석학의 개관

1) 해석학(hermenentics)이란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전령인 헤르메스에서 유래된 것으로, 신의 말을 인간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바꾸어 전하는 것을 의미했다.

2) 그래서 해석학은 작품(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가치를 규명하려는 방법론에서 출발했다.

3) 이는 현대에 와서 현상학의 영향으로 텍스트뿐만 아니라 교육을 포함한 인간행위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방법으로 확대되어 언어, 의사소통, 대화에 관심의 초점을 두고 있다.

4) 현대의 해석학은 텍스트는 작가의 의도에 되돌아가야 옳은 해석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자연과학의 방법과 다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 딜타이(W.Dilthey)정신과학적 해석학과 인간의 삶이 이해와 해석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보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 우리의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으로서의 전통을 중시하는 가다머(Gadamer)철학적 해석학’, 비판이론에 근거한 하버마스의 비판적 해석학등으로 전개되고 있다.

 

2. 딜타이

1) 딜타이는 인간의 삶은 삶과 괴리된 자연과학적 방법이 아니라 인간행위의 의미를 맥락과 연관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정신과학적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2) 그래서 이해는 감정이입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 텍스트의 저자나 행위자들의 의미를 찾기 위해 우리는 먼저 그들의 눈으로 그들의 처해 있는 사회문화적역사적 위치와 입장에서 가정하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3. 하이데거

1) 현상학자인 하이데거는 인간을 어떤 특정한 상황적 제약(사실성) 속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시켜 나가는(실존성) 존재로 파악한다.

2) 인간이 현실적 제약 속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대상세계를 자신의 미래와 관련하여 유용성의 관점에서 파악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이해라는 것이다.

3) , 이해란 인간이 처해 있는 구체적 생활세계의 여건 하에서 자신의 고유한 가능성을 파악하고 설계함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한다.

4) 그러므로 이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경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인간이 대상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동원하는 기존의 경험, 즉 해석의 틀을 하이데거는 선이해(preunderstanding)'이라고 보았다.

5) 따라서 이해에 토대를 두고 있는 해석은 개별성과 상대성, 그리고 주관성을 띠게 된다.

 

4. 가다머

1) 가다머는 우리의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으로서의 전통의 개념을 중시한다.

2) 전통이란 우리가 다른 사람과 사물을 이해하게 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 신념, 실제의 집합체로, 이에 토대해서 텍스트를 파악한 다음 그 지평을 넘어 자신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 나아가게 된다고 보았다.

3) 그래서 교수를 전통 안에서의 대화로 파악한다. 대화를 통해 교사와 학생은 토론이 진행되면서 각각의 입장을 변화시켜 새로운 입장에서 새로운 이해를 향하여 가게 된다는 것이다.

 

5. 리쾨르(Ricoeur)

1) 리쾨르는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텍스트가 주는 의미 외에 그 것이 숨기고 있는 의미까지도 끌어내도록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 , 해석학은 숨겨진 허위의식까지도 비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3) 그래서 역사책이나 문학작품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텍스트가 갖고 있는 그 자체의 세계를 보고, 현재와 다른 관점을 이해하게 되는 한편, 그로 인해서 우리가 갖는 선입견, 억눌린 욕망, 숨겨진 가능성을 알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3

현상학

 

 

 

 

 

1. 현상학의 개관

1) 현상학이란 훗설(Edmund Hussearl)에 의해 창시된 현대철학의 방법론이다.

2) 이는 19세기를 풍미했던 실증주의에 반발하여 제기된 것으로 해석학 및 실존주의 그리고 인간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3) 중요한 현상학자로는 실존주의자로도 불리는 하이데거((M. Heidegger)와 샤르트르(J.P. Sartre)그리고 메를르 퐁티(Maurice Merleau Ponty)와 인간주의 교육론자로 불리는 볼노브(Bollnow), 부버(Martin Buber) 등을 들 수 있다.

 

2. 훗설의 현상학

1) 근대철학의 이원론적 세계관 부정: 인간의식의 능동성을 전제하고 있는 현상학에서는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사물과 이를 인식하는 인간이 별개로 존재하고 있다는 근대철학의 이원론적 세계관을 부정한다.

2) 인간의식의 지향성: 인간의 의식은 능동성을 지니고 있어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에 대해 자신이 지니고 있는 개념과 이미지를 결합시켜 파악한다. 훗설은 인간의식의 이러한 특성을 지향성이라고 불렀다.

3) 현상의 개념: 따라서 모든 객관적인 대상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의식의 지향성으로 인해 새롭게 구성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의 의식 속에 나타난 대상의 모습이 바로 현상이다. 즉 현상이란 우리의 인식과는 관계없이 존재하고 있는 객관적 대상물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작용에 의해 구성되어 나타나게 된 것을 의미한다.

4) 앎이란 의식의 의미부여 작용의 결과: 앎이란 인간이 외부의 대상을 의식작용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앎은 의식밖에 있는 객관적 대상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내재적인 의미부여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5) 생활세계: 훗설은 인간이 대상에 대해 부여하게 되는 의미는 그들이 살아가는 구체적인 생활세계 속에서 획득하게 된다고 보았다. 구체적인 생활세계 속에서의 경험들을 통해 축적된 의미들을 대상에 부여함으로써 현상이 나타난다고 본 것이다.

 

3. 하이데거의 현상학

1) 현존재의 특성 : 하이데거는 인간 존재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이를 현존재라고 부르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사실성(피투성) : 인간의 본인의 선택과 관계없이 이 세상에 던져진 존재이다. 인간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특성은 인간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실존성 : 인간은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도 자신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현시켜가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이다.

전락성 : 대중 속에서 익명성을 지닌 채 살아가는 인간이 자신의 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무의미한 존재로 전락하게 된다.

2) 현상의 의미 : 자신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현시켜 가려는 인간은 모든 사물을 가능성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게 된다. , 사물은 인간의 가치지향성에 의해 재구성된 채 의식에 나타나게 된다.

 

4. 메를르 퐁티의 현상학

1) 신체()이 지각의 주체: 메를르 퐁티는 인간을 신체를 통해 세계와 연결되는 행위자로 보았다. 인간은 신체를 통해 세계와 관계하며 이를 근거로 세계를 지각한다는 것이다.

2) 신체를 통해 전반성적(prereflective) 개념 획득: 신체를 통해 세계와 관계한다는 것은 신체를 움직여 어떤 행동을 하기 때문에 대상을 지각한다는 의미이다. 즉 몸을 움직여 사물과 관계하고 이 과정에서 사물을 지각한다는 뜻이다. 아이들이 몸을 움직일 때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지?’라고 묻지 않고 행동한다. 그러므로 몸을 통해 지각한 것은 전반성적(prereflective)이다.

3) 유아기 생활세계의 중시: 신체를 통해 세계를 지각하는데 있어 신체가 지니고 있는 경험은 지각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지각은 아동기의 경험에 근거를 두게 된다. 메를르 퐁티는 어른의 세계는 단지 아동 세계의 정교화에 불과하다고 보고 유아기의 생활세계를 중시했다.

4) 초등교육은 구체적 경험 위주로 편성: 인간은 어렸을 때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된 그리고 그 후 정교화된 전반성적 개념에 근거하여 지각하므로 초등교육에 있어 구체적인 경험이 추상적인 사고를 선행해야 한다.

5) 가르침은 교사와 아동의 대화’: 가르친다는 것은 학생들이 그들 스스로 세계를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므로 대등한 사람간의 대화로 이루어져야 한다.

 

5. 현상학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교육과정 및 지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공: 현상학은 지식이 인식주체와 분리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지식을 얻는 과정에서 주관적인 요소가 필수적으로 작용한다면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은 불가능해진다. 그러므로 교육내용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이라는 입장에 서 있는 종래의 교육과정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요구된다.

2) 교육방법에 대한 재검토: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이 객관적이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주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 또한 학습자에 의해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한다면 이를 학습자에게 강제로 부과하는 종래의 교육방법은 문제가 된다. 이러한 현상학적 통찰은 학습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주관을 중요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3) 현장학습 및 체험학습의 중시: 구체적인 생활환경 속에서 지각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지식이 획득된다면 구체적인 경험과 유리된 지식은 무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생활환경 속에서의 학습이 요구된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2

재건주의

 

 

 

 

 

1. 재건주의의 의미

1) 재건주의란 위기에 처한 인류문화를 교육을 통해 재건하자고 주장하는 교육사상이다.

2) 이는 진보주의와 본질주의, 그리고 항존주의 교육이론을 검토하여 그 단점을 배격함과 동시에 장점을 종합하고자 하였으나, 진보주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2. 재건주의의 전개

1) 재건주의는 브라멜드가 1956년 출판한 재건된 교육 철학을 지향하여에서 체계화되어, 1957년 소련 인공위성 발사로 미국 교육이 재검토되고 비판받는 과정에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2) 카운츠(G. Counts), 러그(H. Rugg), 브라멜드(T. Brameld)가 대표적 인물이다.

 

3. 재건주의 교육이론

1) 교육의 목적 : 재건주의에 따르면 개인은 항상 사회집단과 결부되어 있으므로 개인과 사회 양쪽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사회적 자아의 실현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2) 교육은 사회 개혁 수단

재건주의에서는 현대의 위기가 소수 독점자본의 지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이 필요한데, 선구적 역할을 교육이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교육 내용 : 재건주의는 현대사회의 사회개혁에 유용한 통찰이나 정보, 방법론을 제공해 주는 사회과학을 중시한다.

4) 교육 방법

학생들에게 사회적 의식을 각성시키기 위해 현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도록 권장한다.

그리고 종교정치경제교육의 논쟁거리를 탐구하고, 합의를 도출해 내는 집단토의 기법을 중시했다.

 

4. 재건주의의 의의와 한계

1) 의의 : 재건주의 교육이론은 현대 문화의 문제점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이상적인 미래 문화의 건설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불러 일으켰다.

2) 한계 : 그러나 이상적인 미래 문화가 어떤 것이며, 교육을 통해 이상적인 미래 문화를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1

항존주의

 

 

 

 

 

1. 항존주의의 의미

1) 항존주의란 1930년대에 진보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교육사조이다.

2) 이는 토마스주의에 근거하여 절대적이고 불변하는 보편적인 진리와 가치를 추구한다.

 

2. 항존주의의 전개

: 항존주의는 허친스(R. M. Hutchins), 아들러(M. A. Adler)와 같은 학자들과 마리땡(Maritain), 커닝함(Cunningham)과 같은 종교인들이 현대문명의 물질주의, 기계주의 등을 비판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3. 항존주의의 토대-신토마스주의

1) 신토마스주의는 감성적인 기독교의 교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조화시켜 체계화한 철학으로 기독교적 실재론이라고도 한다.

2) 신토마스주의는 신에 의해 결정된 절대적이고 불변하는 보편적 진리가 있음을 전제하고 이성에 의해 이를 체득할 수 있다고 보았다.

 

4. 항존주의의 교육이론

1) 기본전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인 이성은 보편적인 것으로 언제나 누구에게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교육도 어느 시대, 어느 인간에게도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2) 교육의 목적

교육은 누구나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인 이성을 계발하는 것이다.

이성을 계발하여 절대 불변하는 진리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교육의 궁국적인 목적이다.

3) 교육의 내용

이성의 계발을 위한 교육의 내용은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논리학, 수학, 문법, 수사학 등의 교양교과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고전을 읽는 것은 중요하다.

4) 고전읽기 운동 : 항존주의자들은 교육고전이라고 인정되는 100여권을 대저서(The Great Books)라고 부르고 이를 통해 지성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고전운동을 전개했다.

5) 실용주의의 물질주의, 과학주의 배격

과학적 방법과 지식만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는 실용주의는 인간의 지성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래서 종교적, 철학적인 존재인 인간이 궁극적인 실재와 보편적인 가치를 인식할 수 없게 만들고 있으므로 물질과 구체적인 경험 중심의 교육은 배격되어야 한다.

 

5. 항존주의 교육론의 한계

1) 과거 지향적 : 지적 훈련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과학적 교육을 배격하는 항존주의는 과학문명시대의 교육으로는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소수층 중심의 교육 : 또 이러한 지적 교육의 중시는 교육이 소수의 상류층 중심으로 흘러가게 만들어, 현대 민주주의 교육에 부적합하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6. 항존주의 교육의 의의

1) 그러나, 항존주의는 상대적인 것의 지나친 강조로 방향감을 잃고 있는 현대교육을 비판하고

2) 신앙, 진리, 가치에로 복귀하게 함으로써 정신적 확실성을 추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0

본질주의

 

 

 

 

 

1. 본질주의의 의미

1) 본질주의는 진보주의의 한계를 보완극복하기 위해 1930년대에 시작된 교육운동이다.

2) 이는 문화를 구성하는 가장 본질적인 것들을 교육을 통해 계승하여 역사를 진전시키는 원동력을 길러 내자는 교육사조이다.

 

2. 본질주의의 전개

1) 본질주의는 1938년 콜럼비아 대학 교수인 베글리를 중심으로 본질주의 교육협회가 조직되면서 시작되었으며,

2) 이후 베글리(W. C. Bagley), 모리슨(H. Morrison), 브리그스(T. Briggs)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3. 본질주의의 교육이론

- 배글리(Bagley)가 본질주의와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교육의 목적

교육은 사회적 경험을 아동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의 정신적도덕적 전통과 문화유산 속에 깃들어 있는 가장 본질적인 것을 골라 다음 세대에 전수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2) 교과중심교육

문화유산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의 핵심 또는 본질을 골라 교과로 조직하여 이를 중심으로 교육을 해야 한다.

교과는 본질적이고 기초적인 것을 중심으로 미리 계획되고 조직되어야 하며 논리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3) 흥미 보다 노력을 강조

교육에서 중시해야 할 흥미는 아동의 일시적이고 변덕스러운 흥미가 아니고, 엄격한 훈련과정에서 나오는 지속적인 흥미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에서는 흥미보다 노력이 더 중요하다.

4) 교사 중심의 교육

교사는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후에 참여하게 될 성인 사회의 성격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따라서 교육은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교사에 의해 통제되고 주도되어야 한다.

5) 기초학습의 강조

문화유산의 본질을 익히기 위해서는 기초학습의 철저한 훈련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생활의 기본수단이 되는 3R's 에 대한 철저한 훈련과 국어, 수학, 과학, 역사, 외국어 등의 기초적인 교과를 모든 학생에게 예외없이 가르쳐야 한다.

본질주의자들은 기초교육협회를 결성하여 기초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9

진보주의

 

 

 

 

 

1. 진보주의 의미

1) 진보주의란 20세기 초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교육개혁운동으로 자연주의, 실용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아동중심, 경험중심교육을 표방한 교육사상이다.

2) 아동을 계속적으로 성장하게 하는 교육을 통해 미국사회가 이루어 온 진보와 발전을 계속해 갈 수 있다고 믿었던 교육사상이다.

 

2. 진보주의의 사상적 배경

1) 진보주의의 토대를 이루는 것은 자연주의 사상과 실용주의이다.

2) 그래서 진보주의는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아동중심교육을 내세우고, 실용주의에 근거하여 경험중심, 실생활중심교육을 표방하게 되었다.

 

3. 진보주의 교육이론

- 진보주의교육협회가 진보주의 교육을 보급하기 위해 채택한 강령을 중심으로 진보주의의 교육이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은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라 생활 그 자체

아동은 경험을 통해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획득하게 되므로 교육은 생활에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는 아동의 연령에 걸맞는 학습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장차 성인이 되어 겪게 될 경험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습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2) 아동의 흥미를 존중한 교육

아동은 자신의 흥미와 관련된 것이거나, 자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해 줄 것 같은 것이면 무엇이든지 배우려고 한다.

따라서 학습은 아동의 흥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어야 하며, 어른이 강요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3) 문제해결위주의 학습

가치있는 지식은 경험과의 접촉을 통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획득된다.

따라서 학습은 아동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문제해결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해결학습이 발전된 형태가 킬 패트릭이 제안한 구안법(project)이다.

4) 교사는 안내자 또는 충고자

아동은 자신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 학습한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이 곤경에 처했을 때 자신의 탁월한 지식과 경험으로 아동들을 도와주는 안내자 또는 충고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5) 경쟁보다는 협동의 중시

인간의 성장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므로, 인간의 성장과정은 사회적 과정이기도 하다.

협동은 동료들의 경험을 공유하게 하므로 동료들과의 경쟁보다는 협동이 인간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6) 민주주의의 중시

사람들의 협동을 중시하고 경험을 공유하게 하는 제도가 바로 민주주의다.

따라서 학교는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아동들도 학교에서 민주적인 태도를 익히도록 해야 한다.

 

4.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비판

1) 지나친 개인중심으로 사회성 상실 : 진보주의 교육은 아동의 자유와 개인적 욕구만을 존중하는 방임주의로 흘러 아동으로 하여금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인간이 되게 하였다.

2) 교육의 질적 저하 초래 : 아동의 자유에 대한 지나친 존중으로 아동들이 쉬운 과목만 선택하게 만들었으며, 실생활을 중시하는 반면, 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의 전달을 소홀히 해 교육의 질적 하락을 초래했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8

듀이의 교육철학

 

 

 

 

 

1. 개관

1) 교육철학자이자 실천가인 듀이는 칸트와 헤겔의 철학, 다윈의 진화론, 콩트의 실증주의, 퍼스와 제임스의 실용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2) 1896년 시카고 대학에서 실험학교(experimental school)을 세우고 7년간 자신의 신념에 따른 신교육을 실천했으며, 이 실험학교에서 실천하고자 한 그의 교육사상을 정리하여 1899학교와 사회를 발간했다.

3) 듀이는 1897나의 교육학적 신조에서 자신의 교육관을 제시하고 이를 거의 평생동안 유지했다.

4) 1916년 출간한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은 듀이의 교육철학을 체계화한 저서로서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길잡이가 되었다.

 

2. 듀이 교육이론의 사상적 토대

1) 실용주의 : 듀이는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존재에 대한 추구를 부정하고, 경험과 변화만을 유일한 실재로 보는 실용주의 철학의 토대 위에 서 있다.

2) 실험주의(experimentalism)

일원론적 세계관 :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은 듀이는 절대적 진리와 인간, 개인과 사회, 이론과 실제로 구분하여 이원론적으로 파악하던 기존의 세계관을 비판하고 이를 하나로 통합하여 일원론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절대주의에서 벗어난 듀이는 변화하는 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철학의 정립을 주장하면서 과학 정신을 강조한다.

과학의 이론은 영구적 진리가 아닌 잠정적으로 통용되는 가설이어서 언제든지 새로운 가설로 대치될 수 있는 것이므로 과학의 정신은 곧 실험주의이다.

실험주의의 입장에 서 있는 듀이는 지식이 그들이 실제 사회에 야기시킨 결과에 의해 평가받고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나의 교육학적 신조에서 제시된 듀이의 교육관

1) 교육의 본질

교육은 개인이 종족의 사회적 의식에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거의 태어날 때부터 무의식적으로 시작되며, 계속적으로 개인의 능력을 조성하고 의식을 충전하며 습관을 형성하고 관념을 훈련하며 감정과 정서를 유발한다.

이 무의식적 교육을 통하여, 개인은 점차로 인류 전체가 축적한 지적 도덕적 자원을 공유하게 된다.

2) 학교

학교는 다른 어떤 것이기 전에 하나의 사회적 기관이다.

교육이 사회적 과정인 만큼 학교는 아동으로 하여금 종족이 물려받은 자원을 공유하고 사회의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는데 효과가 있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사회생활의 단위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장차의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라 생활의 과정이다.

3) 교과

아동의 사회생활은 그의 모든 훈련과 성장과정을 서로 관련짓고 한 곳에 통합하는 기초가 된다.

학교의 교육과정의 내용은 사회생활의 원초적 무의식적 통합성에서 출발하여 점차로 그것에서 분화해 나오도록 편성해야 한다.

4) 교육방법

학습자료를 제시하는 법칙은 아동 자신의 천성이 따르고 있는 법칙과 동일하다.

아동의 흥미는 아동이 현재 도달해 있는 발달단계를 표시하며, 아동이 지금 막 들어가려고 하는 단계를 예언한다.

5) 학교와 사회진보

교육은 사회진보와 개혁의 근본적인 방법이다.

교육은 사회적 의식의 공유과정을 조정하는 일이며, 이와 같이 사회적 의식에 의하여 개인의 활동을 조절하는 것이야말로 사회개조의 유일확실한 방법이다.

모든 교사는 올바를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올바를 사회성장을 보장하기 위하여 특별히 배치된 사회적 종복이며, 이 점에서 그는 참된 신의 왕국으로의 안내자이다.

 

4. 듀이의 교육론

1) 인간관

인간은 경험을 통해 계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태어나면서부터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한다.

인간은 자발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며, 다양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2) 성장관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즉 경험의 과정 중에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지식은 기존의 경험과 결합되어 경험을 개조하게 되는데, 이 경험의 개조를 통해 성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간이 환경과 접촉을 하고 있는 한 성장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3) 교육관

교육은 인간의 계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치있는 경험을 제공해 주는 과정이다.

가치있는 경험이란 이를 통해 실제생활에 유용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경험이 계속적이고 통합적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4) 학교관

학교는 아동의 다양한 능력과 흥미가 조화롭게 표현될 수 있는 사회생활의 공간이어야 한다.

학교는 아동의 능력이 표현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가치있는 생활경험을 제공해 주어야 하므로 실제생활과 다른 것이어서는 안 된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7

실용주의

 

 

 

 

 

1 실용주의(pragmatism)의 의미

1) 실용주의란 경험과 변화만을 유일한 실재로 보고 지식의 사회적 유용성을 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철학사상이다.

2) 실용주의가 지식이 사회적으로 유용하는지 여부를 중시한다고 해서 실험주의(experimentalism),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또는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도 불린다.

 

2. 실용주의의 성립과 전개

: 실용주의는 수학자 피어스(C. H. Peirce)의 논리학 사상과 제임스(W. James)의 심리학 연구에 의해 전개되고, 듀이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3. 실용주의의 사상

1) 실용주의의 실재론

인간은 경험에 의해 세계를 파악하므로, 우리가 아는 세계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라기 보다는 우리의 경험을 통해 인식된 것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인간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실재는 없으며, 인간의 경험이 유일한 실재이다.

이 때 경험이란 환경과의 감각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의식작용도 포함된 것이다.

2) 실용주의의 인식론

경험을 유일한 실재로 보는 실용주의에서는 경험을 통해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지식은 환경과의 접촉과 그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언제든지 수정이 가능한 상대적인 것이다.

3) 실용주의의 가치론

실용주의에서는 경험에 의해 그 실효성이 입증된 것만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하겠다는 입장을 취한다.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식이어야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가 지식의 현실적 유용성을 주장한다고 하여 도구주의(instrumentalism)'라고 불리고 있다.

4. 실용주의의 교육론

1) 경험중심교육

실용주의에서는 아동이 생활 속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즉 경험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고 본다.

그래서 교육을 경험의 개조를 통한 계속적인 성장의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2) 생활중심교육

지식의 가치는 사회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달려 있으므로 실생활에 직결되는 내용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교육은 미래 생활의 준비가 아니라 생활 그 자체라는 입장을 취한다.

3) 아동중심교육

경험의 주체가 되는 것은 아동이므로 아동은 당연히 교육의 중심에 서게 된다.

아동의 직접적인 경험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아동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아동의 흥미와 욕구를 존중해야 한다.

4) 전인적 경험의 중시

아동이 하는 모든 경험은 아동의 성장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아동이 하는 지적정의적신체적 경험이 모두 중요하며, 이들이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5) 민주주의의 중시

민주주의는 다양한 능력을 가진 다양한 인간을 존중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아동 개개인의 흥미와 관심이 존중되는 교육, 아동이 중심이 되고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한 교육은 민주주의에서만 가능하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6

전통적 교육철학

 

 

 

 

 

1. 관념론과 교육

1) 관념론(Idealism) 의미 : 관념론이란 우주를 형성하는 궁극적인 실체를 정신 또는 영혼이라고 보는 철학으로 이상주의라고도 불린다.

2) 관념론의 인간관 : 관념론에서는 우주의 일부인 인간의 참된 실재도 영혼 또는 신성(神性)이라고 본다. 인간은 절대적인 정신을 지니고 있는 영적인 존재여서 이를 계발하면 우주의 실재, 즉 절대 불변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본다.

3) 관념론의 전개

관념론은 플라톤에서 시작하여 테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쯔, 버클리, 칸트, 헤겔을 거쳐 발전했다.

관념론의 전통이 현대의 교육이론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독일의 나토르프(Natorp), 미국의 혼(Horne), 이탈리아의 젠틸(Gentile)에 의해서였다.

4) 교육의 목적

교육의 궁국적인 목적: 관념론이 내세우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데아, 즉 우주의 절대불변하는 진리를 인식하고 깨닫는 것이다.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 관념론에서는 이데아를 인식할 수 있는 이성의 도야를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5) 교육의 내용 : 우주의 진리가 담겨 있는 폭이 넓고 깊이가 있는 지식, 즉 보편적인 지식인 논리학, 형이상학, 기하학, 천문학, 문학 등이 교과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6) 지식 중심의 교육전통 수립 : 관념론에서는 깊이가 있고 폭이 넓은 지식을 통해 이성을 도야하고자 하여, 지식 중심의 교육전통을 형성하게 되었다.

 

2. 실재론과 교육

1) 실재론의 의미 : 실재론(Realism)은 인간의 의식이나 정신과는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이 있다고 주장하는 철학이다.

2) 이원론적 세계관 : 실재론에서는 사물은 이데아에 상당하는 형상(form)과 감각적 대상에 상당하는 질료(matter)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내세운다.

3) 지식관 : 실재론에서는 사물을 지배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을 지식으로 본다.

4) 실재론의 전개

합리적 실재론은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를 거쳐 현대 항존주의 철학자인 애들러, 허친스 등에 계승되었다.

과학적 실재론은 자연과학의 발달로 생겨난 것으로 베이컨, 로크, 코메니우스 등을 거쳐 서양 과학의 기초가 되었다.

5) 교육 목적 : 실재론에서는 사물에 대한 감각능력을 기르고, 사물에 내재하는 자연의 법칙을 탐구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성숙시키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여겼다.

6) 지적교육중시 : 실재론은 지적 능력의 성숙을 위해 합리적 사고의 도구나 원리에 익숙해 질 것을 강조하여 지적 교육을 중시했다.

7) 자유교양교육의 전통 확립 : 특정한 기술이나 지식보다 사물을 지배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에 관한 지식을 중요시하여 서양 자유교양교육의 전통을 수립하게 하였다.

 

3. 자연주의 교육철학

1) 자연주의의 의미 : 자연주의(Naturalism)란 자연을 유일한 실재로 보고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는 철학이다.

2) 인간관 : 자연을 아름답고 순수한 실재로 보는 자연주의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아 아름답고 순수하며, 잠재적인 능력을 타고난다고 본다.

3) 자연주의의 전개 : 자연주의 교육론은 루소에서 프뢰벨,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를 거쳐 진보주의 교육철학으로 연결되어 아동중심교육사상의 기본적인 원리가 되었다.

4) 교육의 목적 : 아동의 천부적인 잠재력과 개성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교육으로 본다.

5) 교사관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관에서는 아동을 자라나는 식물에 비유하고, 교사는 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정원사에 비유한다.

6) 교육방법 : 자연주의에서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직관에 의한 교육을 중시한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2

방법적 지식

 

 

 

 

 

1. 지식의 종류

 

 

 

방법적 지식

 

 

 

 

 

 

 

 

 

지식

 

 

 

 

 

 

 

 

명제적 지식

 

 

사실적 지식

 

 

 

 

 

 

 

 

 

 

 

논리적 지식

 

 

 

 

 

 

 

 

 

 

 

 

규범적 지식

 

 

 

 

 

 

2. 방법적 지식

1) 방법적 지식의 의미 : 방법적 지식이란 을 할 줄 안다’(know how)는 것으로 절차적 지식’, 또는 과정적 지식이라고도 한다. 이는 해야 할 과제의 절차나 방법을 아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기술이나 기능과 같은 것에 관계된 것이다.

2) 방법적 지식의 조건 : ‘을 할 줄 안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그 과제를 수행하는데 지켜야 할 원리 또는 규칙을 익히는 것이 요구된다.

 

 

교육철학3

명제적 지식

 

 

 

 

 

1. 명제적 지식의 의미

1) 명제적 지식은 라는 것을 안다’(know that)로 표현되는 지식이다.

2) 어떤 사실이나 이론, 원리에 대해서 아는 것으로 진()()를 구별할 수 있는 문장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진위가 구별될 수 없는 감탄문이나 명령문은 명제가 아니다.

3) 명제적 지식은 탐구의 결과로 생긴 지식으로, ‘내용으로서의 지식또는 결과로서의 지식이라고도 한다.

 

2. 명제적 지식의 조건

1) 신념조건 : ‘라는 것을 안다는 것은 라는 것을 믿는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2) 진리조건 : ‘라는 것을 안다고 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이 진리여야 한다. 잘못된 것을 믿을 수는 있지만 틀린 것을 안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3) 증거조건 : 지식이 진리라는 것은 증거를 통해서 입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거가 없는 지식은 그것이 진리임을 입증할 수 없으므로 명제적 지식이 될 수 없다.

4) 방법조건 : 명제를 입증할 증거는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증거의 수집방법 또한 객관적으로 타당해야 한다.

<참고> 플라톤의 지식의 조건 : 플라톤은 메농(Menon)의 대화편에서 신념조건’, ‘진리조건’, ‘증거조건을 지식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3. 명제적 지식의 종류

1) 사실적 지식

사실적 지식이란 사실 혹은 현상을 기술하거나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 ‘지구는 둥글다’, ‘물은 100C에서 끊는다’.

2) 논리적(형식적) 지식

개념, 즉 용어의 의미를 설명해 주거나,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상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 지식이다.

이는 주어와 이를 설명하는 서술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분석적 문장으로 표현된다.

경험적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2×4=8’과 같은 수학적 지식도 논리적 지식이다.

() “처녀란 시집 안간 여자이다.”, “사학(私學)이란 개인 혹은 법인재단에서 세운 학교이다.”

3) 규범적 지식 : 이는 도덕적 판단, 가치 판단에 관한 지식으로, 평가적 의미가 포함된 문장으로 표현된다. () “민주주의는 바람직한 사회제도이다.”

<참고> 가치진술

가치진술이란 해야 한다.’라는 형태로 진술되는 문장이다.

이는 단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내세우는 것이어서, 그 진위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치진술은 명제적 지식이 아니다

 

 

 

 

교육철학4

귀납법과 지식

 

 

 

 

 

1. 귀납적 방법의 의미

1) 귀납적 방법이란 개별적인 특수한 지식들의 공통된 특징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2)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은 이와 같은 일반화를 통해 얻어진다.

 

2. 귀납적 지식의 특징

1) 경험세계에 대한 이해, 설명, 예언의 가능 : 귀납적 방법으로 얻어진 사실적 지식은 경험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고 예언할 수 있게 해준다.

2) 귀납적 지식은 개연적인 것 : 귀납적으로 얻어진 지식은 경험의 결과로 얻어진 것이므로 미래의 사실을 절대적으로 보장해 주지는 못한다. , ‘개연적(probable)'이어서, “아마도 그럴 것이다.”라는 의미를 배제하지는 못한다.

 

 

교육철학5

연역법과 지식

 

 

 

 

 

1. 연역적 방법의 의미

1) 연역적 방법이란 보편적인 지식에 근거해서 특수한 지식을 도출해 내는 방식이다.

2) 연역적 방법은 전제로 주어진 일반적인 지식이 진리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제가 진리이면 결론도 진리라는 입장이다.

2. 연역적 지식의 특징

1) 연역적 지식은 새로운 사실을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 연역적 방법으로 얻어진 지식은 전제로 주어진 지식을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므로, 새로운 사실을 말해 주지는 않는다.

2) 일반적인 원리의 새로운 사태에의 적용 : 따라서 연역적 방법으로 얻어진 지식은 일반적인 원리를 구체적이고 새로운 사태에 적용하여 이를 설명하는 것이다.

3) 논리적 지식만으로 구성이 가능 : 연역적 방법으로 얻어지는 지식에는 사실적 지식을 전혀 포함하지 않고 논리적 지식만 포함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수학적 지식이다.

 

 

 

 

 

728x90
728x90

 

교육철학1

교육철학의 의미와 기능

 

 

 

 

 

1. 교육철학의 여러 가지 의미

1)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 교육철학의 일상적인 의미로 교육전반에 대해 개인이나 집단이 지니는 견해와 신념을 나타내는 교육관을 교육철학으로 본다.

2) 교육목적론으로서의 교육철학 : 교육목적의 탐구는 철학적이고, 교육방법의 탐구는 과학적이라고 구분하여 교육목적을 탐구하는 것을 교육철학으로 보는 입장이다.

3) 철학적 지식의 응용으로서의 교육철학 : 철학적 지식을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응용하는 것을 교육철학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4)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과정으로서의 교육철학 : 철학을 일종의 탐구 방법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철학적 탐구방법을 과학적 탐구방법과 구분한다.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 교육이론이나 교육현실에서 사용되는 개념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그것이 어떤 신념이나 가정, 가치관 하에서 움직이는 가를 밝혀 내는 기능이다.

2) 평가적 기능 : 분석적 기능을 통해 판단의 기준을 정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현실이나 이론의 한계나, 문제점, 장점을 따져서 수용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다.

3) 사변적 기능 :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나 설명체계를 구안하여 제시하고, 교육이 추구하여야 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4) 통합적 기능 : 교육현상에 대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적 접근이 갖는 근거와 한계를 분석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관련시키는 기능이다.

 

 

 

 

728x90
728x90

 

 

 

서양교육사41

니일(A.S. Neill,1883-1973)의 교육사상

 

 

 

 

 

1. 아동관

1) 어린이는 본래 현명하고 현실적이다 : 그러므로 아이들의 생활에 간섭하지 않고 자유를 허용하며 아이들이 자신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랑과 존경을 가지고 그들의 발전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2) 아이들은 본래 성실성을 갖고 태어난다 : 현대의 학교교육이 어린이들을 불성실하게 되도록 인위적으로 교육시키고 있다.

3) 어린이들은 사랑과 이해를 필요로 한다 : 어린이가 자연스럽고 선량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인정과 사랑을 필요로 한다.

4) 어린이들은 이기적이다 : 어린이는 자기중심적이며 이기적이며, 이타적인 행동은 나중에 생겨난다. 지나치게 일찍부터 이타적인 삶을 강요하게 되면 아이들은 위선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

5) 아이들은 일하기 싫어한다 : 니일은 18세까지의 어린이들에게는 가능한 한 일을 시키지 말고 자유로이 행동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어린 시절에 실컷 논 아이들은 성장한 후 어린 시절 놀이에 대한 미련을 갖지 않고 직업의 일에 열중할 수 있다고 보았다.

6) 어린이의 흥미는 직접적이다 : 어린이들은 현재의 생활에 열중하고 그 생활자체가 분주하기 때문에 훗날을 생각할 겨를이 없으며, 사회적 의식이나 사회적 책임감과 같은 것에도 관심이 없는 존재라고 보았다.

7) 게으른 아이는 없다 : 아이들이 게으르다는 것은 흥미가 없거나 건강이 좋지 않아 기운이 없는 경우이다. 건강한 아이는 게으를 수가 없고 하루종일 무엇인가를 하고 있다고 니일은 말한다.

 

2. 서머힐 학교

1) 어린이의 자유에 입각한 교육을 통해 평화롭고 민주적인 이상세계의 건설을 주창한 니일은 1924년 자신의 실험학교인 서머힐 학교를 설립했다.

2) 서머힐 학교의 기본 정신과 목표는 아이들 학교에 맞추는 대신 아이들에게 맞추는 학교, 아이들이 그들 자신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자유를 허용하는 학교를 만들자는 것이다.

3) 도덕적인 틀을 강요하는 일이 없는 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용기와 행복을 갖추어 주고, 어린이 스스로에 의한 자치능력을 길러 제도적 틀 속에 맞추어 지거나 선동에 동요되지 않는 균형 잡힌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4) 서머힐 학교에서는 남에게 방해되지가 않는 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하고, 학과 수업에 출석하지 않아도 제재를 받는 법이 없다. 또한 숙제와 시험이 없으며, 성적표와 석차도 없다.

5) 이 학교는 이성을 중시하는 지식교육보다 감정을 중시하는 품성교육에 더욱 치중하여 아이들의 흥미와 놀이를 중시한다.

6) 니일은 어른을 무서워하지 않는 자유 속에서 자란 아이들이 남으로부터 영향받거나 쉽게 동요되지 않는 개성적인 아이들로 자라 갔다고 말한다.

 

728x90
728x90

 

 

 

 

서양교육사40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1. 개관

1) 몬테소리는 이탈리아 로마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한 정신과 의사다.

2) 그녀는 정신박약아들을 치료하는 동안 아동의 교육 문제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여, ‘어린이 집이라는 유아시설의 운영을 통해 자신의 교육이론을 적용하고자 했다.

 

2. 아동관

1) 몬테소리는 아동을 무한한 잠재능력을 지닌 존재로 보았으며, 아동 스스로 자신의 잠재능력을 전개해 나간다고 보았다.

2) 아동은 선천적으로 특유한 정신적 본성을 지니고 태어나며, 성인에 의해 배우기보다는 아동 자신이 스스로 환경과 접하면서 경험을 통해 배운다고 보았다.

3) 그러므로 아동은 성인의 축소형이 아니며 그렇게 취급되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3. 유아의 특성

1) 유아는 주변 환경의 모든 것에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면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흡수정신을 가지고 있다.

2) 유아기는 흡수정신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민감기이다.

3) 유아는 스스로의 힘에 의해 자기 교육을 이룩한다.

4) 유아의 자기교육은 준비된 환경을 필요로 한다.

 

4. 작업이론

1) 몬테소리는 인간은 작업을 통하여 인성을 형성하고 자신을 완성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인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아에게 바람직한 작업을 제시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2) 그녀는 몬테소리라는 교구를 제공하여 아동 스스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자 했다.

 

5. 교사의 역할

1) 몬테소리는 교사의 역할이 어린이의 심리적 활동과 신체적 발달을 지도하는 일이기 때문에 교사라는 명칭이 지도자로 바뀌어야 한다고 하여 어린이 집에서는 교사를 지도자라고 불렀다.

2) 지도자의 역할은 전면에 나서서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가 자발적인 자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비된 환경을 조성하고, 뒤로 물러서 지켜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3) 에반스(E.D. Evans)는 몬테소리가 규정한 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교사는 환경의 유지와 관리를 위한 관리자이어야 한다.

교사는 잘 정비된 환경 속에서 어린이들이 자기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인도하고 자극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교사는 어린이가 일단 작업에 집중하게 되면 어떠한 경우라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 방임자가 되는 역할을 하면 된다.

 

728x90
728x90

 

서양교육사39

19세기 신교육운동

 

 

 

 

 

1. 신교육운동의 등장

1) 많은 진보적인 교육이론에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말의 학교 교육은 교사중심의 권위적이고, 교과중심의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2)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으로 인해 일어나기 시작한 교육민주화 운동은 이러한 학교교육의 변혁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걸쳐서 유럽에서 일어나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교육개혁에 영향을 미친 것이 신교육운동이다.

 

2. 신교육운동의 전개

1) 교사중심의 권위적이고, 교과중심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신교육운동은 아동중심, 실생활중심, 사회중심 교육을 중요시하는 교육 개혁의 움직임이다.

2) 신교육운동은 영국의 세실 레디(Cecil Radie)1889년 애버츠호움에 세운 신학교(新學敎)’에서 시작되어, 케르쉔쉬타이너의 노작학교, 독일의 합과교수운동 등을 거쳐, 아동중심교육과 지역사회학교 운동으로 발전되어 갔다.

 

3. 실생활 중심의 교육

(1) 전원학사

1) 세실 레디의 애버츠호움 학교

영국의 세실 레디가 1889년 설립한 이 학교는 자연 경관이 좋은 전원지대에 설립되었다.

그는 자신의 학교에 근대적인 교과목을 도입하고 교육방법으로는 노작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사랑에 의한 훈육을 목표로, 교사와 학생간의 그리고 학생간의 관계를 사랑과 신뢰의 관계로 발전시키고자 24시간 함께 생활했다.

2) 리이츠의 전원학사

애버츠호움 학교에서 레디와 함께 일하던 배들리가 만든 비즈데일 학교에서 일하던 독일 출신의 교사인 리이츠가 독일에 만든 전원학사이다.

리이츠의 전원학사에서는 오전에는 일반 수업을 했고, 오후에는 농장에서, 정원에서, 공장에서 노작활동을 했다.

교육공동체의 모범을 가정에서 찾은 그는 자신의 학교를 하나의 가정처럼 운영하였다.

 

(2) 노작학교

1) 케르쉔쉬타이너의 노작학교

케르쉔쉬타이너는 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 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실천에 옮겨, 전통적인 학교의 가장 큰 병폐인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는 수공작업을 통해서 일을 완성하는 기쁨을 체험함과 동시에 금욕근면책임헌신 등의 도덕적 성품을 형성하고 국가에 유용한 공민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의 노작학교 교육은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분리되기 쉬운 주체적 자아의식, 시민적 책임의식, 기능적 직업의식의 교육을 수공의 노작을 통하여 통일하고자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2) 가우디히의 노작교육 사상

가우디히는 수공의 활동보다는 자유로운 사고에 의한 정신적 노작을 노작교육의 본질로 보았다.

정신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인격의 형성에 관심이 있었던 그는 교육에 있어 자발성의 원리를 중시했다.

그래서 언제, , 어떻게 그것을 해야 하는가를 학생들이 알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해결의 올바른 방법을 선정하고,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방법론적 의식을 갖도록 해주는 일을 수업의 목적으로 보았다.

따라서 교사는 내용을 전달하는 강사가 아니라, 학생들의 자유로운 창조를 조직하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합과교수 운동

1) 독일에서 전개된 합과교수 운동은 전통적인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경험중심과 생활중심의 종합 교육과정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2) 이는 교과서의 단편적인 지식만을 주는 분과교수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성립한 것으로, 종합학습을 지향하고자 했다.

 

4 아동중심 교육

1)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실험학교

미국에서의 신교육운동은 존 듀이가 1896년에 창설할 실험학교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실험학교에서는 아동중심적인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이제까지 아동을 억압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고, 교육내용을 아동의 흥미와 필요에 따라 생활 경험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1899년에는 이 실험학교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을 담은 학교와 사회를 출간하였다.

2) 엘렌 케이(Ellen Key, 1849-1926)

1900년 엘렌 케이는 아동의 세기라는 책을 발간하여, 교육에 있어서 아동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고 자발성에 입각하여 발달을 강조해야 한다는 아동 중심의 교육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교사의 간섭이나 주입을 피하여 한다는 루소의 소극적인 교육론을 구체화했다.

3)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1870-1952)

몬테소리는 1907어린이의 집이라는 학교를 통해 몬테소리 법이라는 새로운 교육을 시도했다.

이것은 자율주의적인 교육으로, 아동이 자기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여 자율적으로 훈련하게 해주는 것으로, 모든 것은 감각 기관에서 출발하여 관념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이를 위해 각종의 몬테소리 교구가 사용되었다.

 

 

 

 

 

 

 

728x90
728x90

 

서양교육사38

근대공교육제도의 수립

 

 

 

 

 

1. 프랑스

(1) 근대적 교육개혁

1) 프랑스의 교육근대화는 17621764년에 이루어진 제수이트 교단 추방에 의한 교육개혁에 의해 시작되었다.

2) (Rennes)의 고등법원 법관이었던 샬롯테(Chalotais)는 교육개혁의 중심인물로 법원의 명에 의해 제수이트 교단의 교육방법을 검토한 다음, “국가보다 수장, 조국보다 그들의 종교단체, 국가의 법률보다 그들의 교리규정을 중시하여 국가적 인물을 양성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여, 제수이트 교단의 교육방침의 부당성을 지적하여 이들의 추방을 주장하였다.

3) 이로 인해 1762년 제수이트 교단의 추방이 이루어져 이들이 장악하고 있던 교육체제가 무너지자 새로운 교육체제의 수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4) 이러한 시기적 요청에 의해 등장된 것이 국가주의적 공교육 개념이다.

 

(2) 콩도르세(M. Condorcet)의 공교육안

1) 프랑스의 근대적 공교육제도의 수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사람은 콩도르세이다.

2) 그는 공교육에 관한 5개의 각서(1790-1791)을 발표하였는데, 그 각서에는 공교육의 본질 및 목적 아동교육론 성인교육론 직업교육론 과학교육론 등이 있으며, “공교육은 민중에 대한 사회의 의무이다.”라고 선언함으로써 근대 시민사회에 있어 공교육제도의 이론적 근거를 분명히 하고 있다.

3) 공교육의 일반 조직에 관한 보고 및 법안(1792): 혁명의회에 제출된 이 법안은 민주적 교육체제의 선언인 헌법에 기초하여 계급과 성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에게 무상교육을 실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4) 비록 이 법안이 바로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프랑스 공교육제도의 기본적인 틀이 되었다.

 

(3) 국민교육제도의 수립

1) 프랑스의 국민교육제도는 18307월 혁명을 거쳐 이룩된 1833년의 초등교육법18482월 혁명 이후에 성립된 2공화국 시대의 교육법을 거쳐,

2) 1882년 의무교육제도로의 개정을 통해 무상의 보통교육제도를 확립하게 되었다.

 

(4) 콩도르세(Marquis de Condorcet)의 교육론

1) 교육의 목적: 그는 올바른 교육은 진정으로 자유와 평등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2) 교육에 있어 국가의 역할: 시민의 자유를 중시한 그는 교육에 대한 국가의 지나친 개입을 경계하였다. 그래서 국가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교육은 사실이나 수에 관한 지식을 가르치는 적극적인 수업에 국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3) 교육개혁론의 특징

과학과 그 실제적 응용을 학교와 대학 교육과정의 첫머리에 둔다.

모든 단계의 교육을 무상으로 하여 필요한 능력을 갖춘 모든 사람에게 기회가 주어 지도록 한다.

남녀가 동일한 교육을 받도록 한다.

각급 학교의 교직자들로 하여금 그 하급 학교의 교직자를 임명하고 그 업무를 지도 하도록 함으로써 교직을 사실상의 자율적 직업으로 만든다.

 

2. 미국

(1) 1774년 독립 이후의 교육

1) 1774년 독립 후 미국은 주정부 단위로 교육체제를 정비해 나갔다. 독립을 선언한 각 주정부들은 헌법을 제정하고 그 헌법 가운데 교육에 관한 규정을 명시하였다.

2) 그 규정들은 모두 국민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의무적으로 공립학교를 설치할 것을 명하는 것이었다.

 

(2) 공립 무상교육제도의 전개

1) 공립 무상교육제도의 선구가 된 것은 펜실베이니아주였다. 이 주는 1834년의 무상학교법(free school law)에 의해 전국민 취학 교육제도가 시행되었다.

2) 그 후 각 주에서도 펜실베이니아의 예를 따라 교육의 무상주의를 그 주 교육법에 규정하게 되었으며, 1867년에 이르러서는 미국의 모든 주가 완전히 무상으로 이루어지는 초등학교제도를 운영하게 되었다.

(3) 취학의 의무화 추진

1) 미국의 근대적 의무교육제도의 시작은 1852년 매사추세츠주의 교육법에서 출발한다.

2) 이 법에 의하면 8세부터 14세까지의 아동은 매년 12주 이상(그 중 6주는 연속적으로)을 의무적으로 취학하여야만 하였다.

3) 그 후 미국의 다른 주에서도 매사추세츠주의 예를 따라 의무교육제도를 공포하였으며, 1890년대에 남부의 몇 주를 제외한 28개 주가 모두 취학의 의무제를 규정하였다.

4) 그러나 19세기의 의무교육제도는 각 주마다 연간 12주간의 의무교육제를 규정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오늘날과 같은 초중등학교에 이르기까지의 완전한 의무무상교육제는 20세기 초에 이르러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4) 호레이스 만(Horace Mann)

1) 미국의 의무교육제도의 수립에 공헌한 사람은 호레이스 만이었다.

2) 그는 1837년 미국에서 처음 매사추세츠주에 교육위원회가 설립되자 동 위원회의 초대 교육장을 맡아 연소자의 노동제한 운동에 호응하여 연소자의 취학을 의무화하는 교육제도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3) 민주적 공교육제도의 수립을 위한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1852년 매사추세츠주에서 의무교육제도가 시작되게 되었다.

 

3. 독일

(1) 1713 의무취학령

1) 프로이센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1713년과 1717년에 발표한 보통교육에 관한 교육령이다.

2) 5세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을 의무적으로 취학케 하고, 가난한 집 자제에 대한 수업료의 면제와 학교의 시설, 교사의 봉급을 국고에서 보조 지급할 것을 규정하였다.

 

(2) 1763프로이센의 학교규정

1) 이 교육법령은 18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초등교육 시행령이다.

2) 이 법령에서는 취학의무 연령의 규정(513) 학교의 시설 및 개학기간 수업료와 빈자에 대한 면제 교재 및 내용 교사의 양성과 검정제 등을 규정하고 있다.

 

(3) 1794일반지방법

: 빌헬름 2세가 제정한 법으로, 교육에 대한 종교적 통제를 지양하고 국가기관에 의해 국가의 감독을 받도록 선언하고 있다.

 

(4) 피히테(Fichte)독일국민에게 고함

1) 1806년 나폴레옹 군대에게 프러시아가 패하자 프레데릭 윌리엄 3세는 국가주의 교육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을 단행했다.

2) 여기에 가장 활약이 컸던 사람이 피히테로, 그는 14회나 되는 독일국민에게 고함이라는 연설을 통해 독일에 있어서 국가주의 교육이념을 보편화시켰다.

 

(5) 훔볼트(Humboldt)와 알텐쉬타인(Altenstein)의 교육개혁

1)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국민교육국이 세워졌고, 훔볼트가 초대 국장이 되어 국가적 교육체제를 세우는데 기초를 세웠다.

2) 그의 후임인 알텐쉬타인에 의해 확립된 기본법은 그 후 거의 150년이나 독일 교육을 지배한 국가주의 교육이념이었다.

 

 

 

 

728x90
728x90

 

서양교육사37

산업혁명과 교육

 

 

 

 

 

1. 산업혁명과 교육의 변화

1) 산업혁명이란 1770년대부터 1830년대에 걸쳐서 영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생산과 경제의 대변혁을 말한다.

2) 이는 산업구조를 중심으로 경제 및 사회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여 교육에 있어 새로운 필요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3) 산업혁명이 제기한 제일 큰 문제는 자본주의 생산과 발전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교육과 그 자제에 대한 교육이었다.

4) 이를 위해 영국에서는 노동자와 그 자녀를 위한 빈민교육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는 대중교육을 통한 보편교육과 국민 교육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 영국의 빈민교육운동

(1) 일요학교제도(Sunday School System)

1) 이는 공장 노동자의 자제들에 대한 교육대책으로 일요일에 한해 연령의 제한없이 공부하는 학교였다.

2) 교육내용: 성서와 초보적인 종교교육을 비롯하여 독산의 기초를 교육하였다.

3) 교육목적: 지식의 전달보다는 소년 노동자의 불량화를 막고 그들로 하여금 착실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데 보다 중요한 목적을 두었다.

4) 전개: 레이크스(Raikes)에 의해 창시된 일요학교는 영국 각지로 전파되어 1785년에는 전국 일요학교 진흥협회가 창설되기에 이르렀으며 1786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각지에 급속도로 전파됨으로써 국민 대중교육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2) 자선학교(Charity School)

1) 이 학교는 빈민자제의 교육을 위해 1680년 영국에서 창시되었으며, 1743년에는 전국적으로 1461개교, 아동 수는 24천에 달했다.

2) 이 학교는 빈민자제에 한해서만 입학을 허용하여 무료로 수업을 했으며, 학용품 또는 의복도 무료로 급여하였다.

3) 이는 대중생산의 시대의 소년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탄생한 일종의 소년 보호의 시설이었다.

 

(3) -란카스터 조교법(Bell-Lancaster Monitorial System)

1) 이는 자선학교에 산업혁명으로 발생하는 빈민 자제의 수가 급증하자 이들 많은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벨(Andrew Bell)과 란카스터(Joseph Lancaster)에 의해 고안된 교수법이다.

 

2) 이 방법은 아동 중에서 성적이 우수하고 상급생인 아이를 조교로 임명하여 하급생을 지도하도록 함으로써 한 사람의 교사가 많은 아동을 담임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대량교육방식이다.

3) 영국의 이 조교제도는 영국뿐 아니라 유럽의 다른 지역과 미국에까지 번져 보편적 교육, 즉 공교육제도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4) 오웬(Robert Owen)의 유아교육운동

1) 사회개혁자이자 사회적 교육가인 오웬은 교육을 사회개혁의 수단으로 보아,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부패된 사회를 교육을 통해 개혁하고자 하였다.

2) 그는 모든 인간의 성격이 그가 속해 있는 사회환경에 의해 형성되고 성장하는 것이라고 확신하고 이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동자의 그 자제들을 위한 성격형성학원’( New Institution of Formation of character)을 설립했는데 이의 부속기관이 유아학교이다.

3) 유아학교는 전 영국으로 확대되어 1824년에는 유아교육협회가 창설되기도 하였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