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의 기능
교육의 본질적 기능(가치) |
교육의 수단적 기능(가치) |
① 인격의 완성, 자아실현 ② 교육의 개인적 기능 ③ 교육의 내재적 목적(가치) ④ 교육 목적의 내재설 : 교육목적은 교육정의 속에 포함 ⑤ 교육 개념 = 교육 목적 (교육목적은 교육의 개념으로부터 논리적, 연역적으로 추출됨) ⑥ 교육은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다. ⑦ Peters |
① 정치발전, 경제발전, 사회발전 ② 교육의 사회적 기능 ③ 교육의 외재적 기능 ④ 교육 목적의 외재설 ⑤ 교육은 수단이다. ⑥ 교육개념 ≠ 교육 목적 ⑦ Langford, Green
|
* ① 교육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을 도모하는 교육
② 지식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에 공헌하는 지식
③ 체육의 내재적 목적 : 전인적 인격형성에 공헌하는 체육
④ 이 양자의 구분은 논리적, 이론적 구분이지 실제로는 구분이 어렵다
⑤ 하지만 어느쪽을 강조할 때 다른쪽이 저해될 수는 있다.
2. 교육의 역할(발전교육론)
-> 교육의 수단적 가치면, 교육을 근대화의 수단으로 보다.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각 부분의 발전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육의 양과 질을 계획 적으로 조절하는 교육 -> 1960년대 후진국의 교육투자 확대에 영향
1) 정치발전을 위한 교육(Coleman의 <교육과 정치발전>)
① 정치적 사회화 ->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에게 정치문화(의식, 제도)를 전달 ☆
② 정치적 충원 -> 교육을 통해서 정치구성원을 양성한다.
③ 정치적 통합 -> 교육을 통해서 국민들의 정치적의식을 일치, 통합
* 자유민주주의
① 자유주의(개인주의) + 민주주의
② 인간의 존엄성(humanism)을 최고의 가치, 자유와 평등
③ 자유민주주의는 이것과 대립되는 어떠한 이념도 수용하지 않는 배타적 이데올로기이다.
④ 학교에서는 자유민주주의를 무조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2) 경제발전을 위한 교육
① 인력개발
② 기술개발
③ 성취동기의 함양
3) 사회발전을 위한 교육
① 가치관의 형성
② 사회구조의 변화
③ 사회의 분화를 촉진
④ 문화의 유지와 발전
4) 문화발전을 위한 교육
① 문화 전파 ② 문화 변동 ③ 문화 형성
5) ① 1960년대 후진국의 발전교육론(경제발전)이 도입되면서 교육투자의 촉진을 가져옴
② 슐쳐의 <인간 자본에의 투자> -> 교육투자는 경제발전을 촉진
③ 발전교육론의 문제점은 교육과 인간을 너무 수단시했다는 점.
29page 인격의 기능
④ Rostow의 경제발전 단계설 :
전통적 사회 -> 도약을 위한 준비 단계 -> 도약 단계(교육 투자의 촉진 강조) -> 성숙 단계 ->고도의 대중 소비 단계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목적론 (0) | 2019.06.28 |
---|---|
교육의 유형 (0) | 2019.06.28 |
교육의 효과와 한계 (0) | 2019.06.28 |
교육의 3요소 (2) | 2019.06.28 |
교육의 개념(정의) (2) | 2019.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