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교육 목적 |
교육 목표 |
① 목적 |
① 수단과 방법 |
② 장기적 성격 |
② 단기적 성격 |
③ 추상적, 포괄적 |
③ 구체적, 직접적 |
④ 논리적 선행 |
④ 논리적 후행 |
C.F. 목적과 목표의 ④를 볼 때, 교육 목적이 존재해야만 교육 목표가 존재가능함을 알수 있다.
2. 교육 목표 설정의 기초 자원 ☆☆☆
① 학생의 요구(타당성) -> 관심과 흥미
② 사회의 요구 -> 전체 사회가 요구하는 것.
③ 지식(학문, 교과)과 전문가(학자)의 요구
④ 철학의 요구 -> 교육 철학, 교육 이념의 요구(이들을 반영해야 함)
⑤ 심리의 요구 -> 학생들의 심리적 발달을 바탕으로 해야 함.
3. 교육 목표 진술의 일반 원칙 ☆☆☆
① 철학적 일관성
② 구체성
③ 포괄성
④ 실현 가능성
⑤ 내면성
⑥ 가변성 : 교육 목적은 불변이나 목표는 가변!!
4. 교육 목표의 위계 구조
① 일반 교육 목표 -> 교육법 2조
② 학교 교육 목표 -> 교육법 94조, 101조, 105조
③ 교육 과정 목표 -> 예 : 6차교육과정의 목표는 도덕적이고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시민 육성
④ 교과 목표 > 한 단원에 달성되어야할 목표
⑤ 단원 목표
⑥ 수업 목표 -> 한 시간에 형성되어야할 목표 > 교사가 설정함..
⑦ 평가 목표-> 졸라게 다양함..
728x90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사-고려 시대의 교육 (2) | 2019.06.28 |
---|---|
한국 교육사 - 삼국시대의 교육 (0) | 2019.06.28 |
교육 목적론 (0) | 2019.06.28 |
교육의 유형 (0) | 2019.06.28 |
교육의 기능의 역할 (2) | 2019.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