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관학

국 자 감

동서학당(후에 5부 학당)

향 교

고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개경

개경

각 지방

문묘

문묘 ×

문묘

1) 국자감(국학, 성균관)

성종 11(992)에 설립. 우리나라 최초 국립종합대학교격(6개 단과가 모임 = 6학 또는6)

귀족의 자제들을 대상으로 해서 고급 관리 양성

예종의 7재가 설립(P. 170참조)

경사 6(6) -> 인종때 설립

국자학 - 문무관 3품 이상의 자제

태 학 -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식

사문학 - 문무관 7품 이상의 새끼

잡학(, , ) - 문무관 8품 이하와 서민들.

-> 국자학, 태학, 사문학의 경우는 교육 내용의 차이가 아니라 신분에 따른 구별이었다.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하였다.(cf: 통일신라의 국학(태학감)과 같다.)

교원은 박사, 조교가 있었다.

2)동서학당(후에 5부학당)

* 5부학당 : 고려말 공민왕 3년에 정몽주의 건의로 흥학(興學)을 위해 기존 동서학당이외에 3부학당을 더해 5부학당으로 확대 -> 조선시대까지 계승

3)향교

인종 때 각 지방에 설치한 중등 관학

향교란 학교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고려조선까지 관학으로 오늘날 공교육의 모체가 됨

우수한 자는 국자감에 입학해 고등교육을 통해 관료로 진출

 

 

 

2. 사학

1) 12공도(十二公徒) -- 국자감과 쌍벽을 이룸

오늘날의 12개의 사립대학과 같다.(고등교육기관으로 최초의 사학을 의미)

고등 교육 기관이다.

최충의 문헌공도(9재학당)가 최초로 설립되었고 11공도가 있었다.

무신 정권과 수명을 같이한다.

교육 목적 - 관리 양성을 위한 과거 준비

관학의 쇠퇴를 가져온다.(고려시대 고등교육기관은 관학보다 사학이 더 발달)

학벌 사회가 형성된다.

독특한 조교법 실시 ex>‘각촉부시’(촛불이 꺼질 동안의 속작시 시험) - 모의 과거 시험

문묘는 ×

2) 서당

고려 중기에 등장해 조선시대 크게 발전한 사립 초등교육기관

일반 평민의 자제를 대상

교육 대중화 현상을 가져옴.

 

 

 

3. 과거제도

광종 9(958) 중국인 쌍기의 건의로 실시됨 - 최초!(그 기원은 독서삼품과)

왕권 또는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문과, 잡과, 승과(무과는 없었다.)

문과는 명경업과 제술업이 있었고, 제술업이 중시되었다.

식년시(3년마다 시행하는 정기시험)보다는 격년시가 유행하였다.

동당(예부)(국자감)라는 별칭이 있었다.

서민(농민)들은 비교적 응시가 자유로왔다.

문음제도(음서)가 있었다.(5품이상의 자제에 한해 과거없이 관리 임용)

좌주문생의 예(지공거와 합격생의 관계)

단층제(1회로 당락 결정)-> 후기 : 삼층제(3단계:향시-회시-전시) cf.조선-처음부터 삼층제

 

 

 

4. 사상가

1) 최충

해동공자(공자학설에 대단히 밝았다하여)

고등교육기관으로 최초의 사학인 문헌공도(최공도, 9재학당)를 설치했다.

2) 안향(안유)

송나라로부터 성리학 도입

교육이념 : , , , , , / 교육적 인간상 : 극치(克治),성경(誠敬)의 인간상

흥학양현(興學養賢 : 관학진흥, 인재양성)에 주력.

so 섬학전 설치(국자감의 장학기금인 양현고가 바닥이 나 그것을 대신하는 장학기금)

3) 이색 ☆☆☆

불심유성동일관을 통해서 심신성명을 구현함.

󰀲 불교의 진리와 유교의 진리는 동일하다.

문무 겸비인(이상적 인간상으로 삼음)의 교육 강조 - 과거 제도에 무과 설치 건의

개성 존중의 교육 강조

저서 : 활연론(活然論』 『불심유성동일관

교수법 제시(교수단계설 : 강논분절주)

1. 본문 -> 2. 의의 -> 3. 입장차이

-> 4. -> 5. (主旨) 일치(핵심요약, 결론도출)

4) 정몽주

교육이념 : 치지궁행(治知躬行)

교육적 인간상 : 忠君信義人

교육방법 : 박학심문(博學審問) -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해 분석, 논리정연하게 교수

대학중용의 교과목을 강조

5부학당 설치에 공헌

728x90

'교육학 > 교육학 종합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육사-근대교육(1880년대~)  (2) 2019.06.28
한국 교육사 - 조선시대의 교육  (0) 2019.06.28
한국 교육사 - 삼국시대의 교육  (0) 2019.06.28
교육목표  (0) 2019.06.28
교육 목적론  (0) 2019.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