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의 교육 규칙

학령(조선 중기에 성문화) - 성균관 학생의 일과, 성적, 벌칙 등을 규정

권학 사목 : 소학의 중요성 강조 󰠏󰠏󰠇󰠏> 권근

향학 사목 : 사립학교의 중요성 강조 󰠏󰠏󰠎

학교 사목 : 교원의 보수와 인사에 관한 규정 󰠏󰠇󰠏> 이이

학교 모범 : 성인 학생 수양의 지침서 󰠏󰠏󰠎

 

1. 관학

성리학(송학, 주자학, 정주학, 성학)

배경 : 태극설과 이기설, 유학, 불교, 도교 등이 융합되었다.

구성 - 태극론과 이기론 - 우주의 이치를 밝힘 󰠏󰠏󰠇󰠏󰠏󰠏> 天人合一

심성론 - 인간의 이치를 밝힘 󰠏󰠏󰠎 인간존중의 정신

성경론 - 수양의 방법

󰠆󰠏 내적 수양의 방법 - 존심 양성과 존양 성찰 󰠏󰠈

󰠐 (인간의 본성을 잘 가꾸고 간직함) 󰠉󰠏> 聖人

󰠌󰠏 외적 수양의 방법 - 격물치지, 격물궁행 󰠏󰠎

성 균 관

4부 학당(四學)

향 교

고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중등 교육 기관

한성

한성

각 지방

문묘

문묘×

문묘

1) 성균관

입학 자격 - 원칙적으로 생원, 진사였다.(소과 합격자)

정원 - 원칙적으로 200(국력에 따라 150, 100명일때도 있었다.)

교원 - 지사, 부지사(관리직), 대사성, 사성, 사예, 직강, 전적, 박사

성적 평가 - 예조에서 행했다.

성적 평가의 방법 - 대통 >>약통 >조통 > 얼차레

유생들의 생활을 엄격히 통제

45경을 교육내용으로 하였다.(9재학규)

 

구조 : 명륜당(강학의 장소), 대성전(문묘), 존경각(도서관), 동서양재(기숙사)

육일각(활 보관소). 비천당(과거장), 양현고(장학 기금, 식당)

학생 자치 활동 활발 cf. 성균관 유생들이 가능했던 활동에는

. 유소 - 정부에 대한 탄핵상소문 .권당 - 단식 투쟁으로 식당출입금지

. 공재 - 양재에서 나옴 .공관 - 성균관에서 나옴

2) 4부 학당(×)

성균관의 부속 학교로, 관리나 운영을 성균관이 담당

각 학당의 정원은 100명씩

3) 향교 ☆☆

고려 인종때 설립(1127)

기능 󰠆󰠏 문묘 제례

󰠌󰠏 교육 󰠆󰠏 관리 양성(과거준비)

󰠌󰠏 사회 교육

사회 교육의 기능 : 향사례, 향음례, 양노례, 계몽 강습회(부녀자와 아동에게 천자문, 상 강행실록 등을 가르침)

향약(양반들의 생활 규범을 정한 계의 일종으로, 향교나 향청을 중 심으로 발달)

실업 교육

감독권은 관찰사에게 있었다.

성적은 관찰사가 평가하여 성균관으로 보내고, 성균관은 그것을 집계하여 예조에 보고

교원은 교수, 훈도, 학장이 있었다.

각 마을마다 향교의 규모가 달라, 표준화된 교육제도를 찾기 어렵다.

조선 중기(임진왜란)이후 문묘 제례의 기능만 남기고, 교육적 기능은 서원으로 넘긴다.

4) 종학

세종 10년에 설립된 것으로 왕실 종친의 자제를 교육시키기 위한 관학

(= 서양 중세 칼대제때 세워진 궁정학교)

예조가 아닌, 종부사에서 관리

교육내용 : 성균관과 학당의 교육내용을 준용

5) 실업교육(기술교육, 잡과 교육) ☆☆☆☆

신라에서는 국학과 시행청(중앙, 지방)에서 실시

고려에서는 국자감과 시행청에서 실시

조선에서는 시행청에서만 이루어짐

의과, 산과, 이과, 율과, 역과 등이 있다.

고려와 조선의 과거제도에 잡과가 있었다.

잡과 교육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

사회제도가 잡과와 잡과의 종사자를 경시

중국의 것을 모방하여, 독자적 연구가 없었다.

미신을 포함하고 있어, 과학적 접근방법이 불가능.

2. 사학

1) 서원

중등교육기관이다.

최초의 서원은 풍기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소수)서원이다.

조선 중기 이후 발달하여 대원군의 서원 철폐운동으로 쇠퇴한다.

기능 󰠆󰠏 후진 장학 -> 관리의 양성이나 과거 준비

󰠌󰠏 선현 존경 -> 문묘가 없다.(공자나 맹자의 업적을 기념하지 못하고, 우리나라 유 학자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서이다.)

2) 서당 ☆☆☆☆☆

초등교육 기관

향교나 4부학당의 입학 준비 기관

종류 : 훈장 자영 서당(훈장 스스로 설치),

유지 공영 서당(몇몇 유지가 조합해 훈장 초빙해 그들의 자녀를 교육)

유지 독영 서당(유지 혼자 훈장 급비 담당하고 이웃자녀에게 동냥 공부 허락)

촌 조합 서당(향촌 공영 서당) -> 촌 전체가 조합하여 훈장을 두고 촌아를 가르침.조선 후기에 발달하여 서민교육의 확대를 가져왔다.

구성 : 훈장, 학동, 접장(학식이 높고 연령이 많은 학동, 조교와 유사함, 그러나 학생임)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 등을 교육내용으로 했다.

강독, 습자, 제술(형식적)

국가의 통제가 거의 없었다.

, 퇴학이 자유로왔다.

교육적 특징

개별학습과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졌다.

계절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졌다.

놀이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전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국민 교육(교화)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초등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할 방향을 지닌다.

고려말에 발달하여, 조선 시대에 융성하며, 일제때 독립운동의 근거지와 민족 지도자를 양 성했다.

모범적 교수법

()신고 -> 학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

준승척 -> 독서의 방법 제시

3. 과거제도

1) 소과 -> 생원, 진사(하급관리 등용, 성균관입학 허용, “백패”) -> 대과

󰠆󰠏󰠏󰠍󰠏󰠏󰠈 󰠆󰠏󰠏󰠏󰠏󰠏󰠊󰠏󰠏󰠏󰠏󰠏󰠈

초시 복시 초시 복시 전시(서열결정)

사실상의 합격(33) 6, 홍패수여

2) 문과, 무과(합격자 : 선달), 잡과가 있었다. (승과는×)

3) 식년시 : 3년마다 보는 정기 시험

특별시 : 특별할때(알성시-임금이 성균관 문묘 참배시,

증광시 - 국가 큰 경사

별시 - 국가 작은 경사

기타.......)

4) 문음제도(음서) -> 2품이상의 자제에 한함

5) 서민들의 응시는 비교적 많은 제한을 받았다.

6) 고려시대에 비하여 잘 발달되었다.

7) 기타 시험

4.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사상가

1) 권근(호는 양촌 13521409)

조선의 배불숭유정책의 이론적 뒷받침을 한 유학자

철학사상 : 사단칠정(四端七情) - 이 철학사상을 바탕으로 집대성한 입학도설은 도표를 통한 시각적 교육의 효과를 시도한 것이다.

교육이념 : (-정직), (-근면), (-관용), (-지조)

저서 : 입학도설(시청각선구. 중용과 대학의 도표식 해설)

권학사목(소학중시), 향학사목(사립학교보호안), 수창궁재상서(군왕교육)

2) 조식(호는 남명 15011572)

교육적 인간상 : 실천궁행인

교육이념 : ()과 의()

교육방법 : 소학, 대학, 논어와 같은 실천경전중심교육 강조하며 자해자득을 주장

(초학자에게 심성에 관한 문장을 가르치는 퇴계의 교육방법에 반대)

3) 이황(호는 퇴계 15011570)

동방의 주자로 일컬어짐(성리학의 최고봉)

교육이념 : 성리학적 도덕인의 양성, “()”())”사상을 중시

철학사상의 중핵은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며, 이러한 철학사상을 발달시켜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 이와 기는 상호작용한다.)” 정립.

4(이발동시 생김) 7(기발동시 생김)론 주장 -주리론 >위정척사사상에 영향

저서 : 퇴계집』『성학십도(군왕교육)』『태극도설

4) 이이(호는 율곡 15391584)

이황과 함께 성리학의 쌍벽을 이룬 사상가

철학사상 :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設) - 기가 나타나는 국면에 따라 이는 언제나 그 속에 들어 있다. , 기만 발동할 따름이다. - 이기일원론(주기론)

>실학, 개화사상에 영향

교육이념 : 입지(立志) 명지(明知 : 밝게 알기 위해서는 독서가 중요) 역행(力行)

교육목적 : 성인(聖人)

교육내용 : 대학, 근사록, 논어, 맹자, 중용, 오경

저서 : 학교모범: 16조의 성인 학생 수양의 지침서

학교사목: 교사의 보수와 인사에 관한 규정

성학집요: 군왕교육

격몽요결: 민중교화를 위한 저서

소아수지: 아동교육을 위한 소학 학규(소학 장려)

향학의 4대 덕목 체계화 :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5. 실학교육

1) 교육의 목적 : 실용인, 실천인의 양성

2) 성리학을 바탕으로 형성(이이) -> 성리학이 가지는 풍부한 이론이 실학의 장점이며, 성리학 의 공리공론은 실학의 단점이다.

3) 실학의 특징

실학의 특징

실학자의 특징

실학 교육의 특징

민초주의

민족주의

근대 지향주의(신분타파)

과학의 중요성 강조

 

민본주의

합리주의(이성주의)

성실한 맘으로 학문에 임함

옛것을 바로 세우고, 새 것을 받아들인다.

공교육 제도

신분타파를 전제로한 교육의 기회균등

개성 존중 교육

교육 과정의 개혁

4) 사상가

1. 반계 유형원(16221673)

①『반계수록

과거제 폐지,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위한 공거제 주장

능력주의에 기초한 학제 구상(단선형 학제)

교육적 인간상 : 덕행인과 능력인

2. 성호 이익(16811763)

최초로 실학적 학파인 <근기학파(경기도 근방 유명학자 모아서)>구성

교육방법 : 내적 충실, 탐구식 교수방법

집중주의와 점진주의를 병행한 지행합일 주장 =소크라테스, 왕양명, 안향

④ 『곽우록(과거제의 폐단 비판, 지역차별없는 인재등용 주장)』『성호사설

주체적 역사 의식 기르기 위해 한국사를 학교의 교과목 또는 과거 과목으로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

3. 연암 박지원(17371805)

- 경제입국 사상

4. 아정 이덕무(17411793)

교육이념 :(), ()

교육적 인간상 : 내행수결

사소절(동규 부분 : 아동 교육면에서 소학 권장 /

교훈에 의한 교육 주장 ->so 69개 훈교법 제정 =cf.로마시대 킌틸리아누스와 유사)

5. 다산 정약용(17621836)

교육적 인간상 : 수기(修己)와 위천하인(爲天下人)

교육내용 : 오학론(유교주의 교육 문제점 지적)

③ 『아학편(천자문 비판)』 『목민심서』『경세유표』『흠흠심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