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시 교육과정,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요.

 

1_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절차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 절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2009 교육과정의 경우 학교교육에 대한 목표 설정과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중점, 학교 급별 공통 사항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기본 사항을 바탕으로 편제와 시간 배당의 기준, 그리고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을 제시한 후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개정된 2015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절차는 어떻게 될까요?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위원회를 조직해야 하며,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각 시도교육청 단계에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지침을 분석해야 합니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에 대해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기본 방향을 수립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의 시안을 작성한 후에는 본격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교육과정 평가 및 개선을 통해 다음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게 됩니다. 그럼 각 단계별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첫 번째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 조직 단계로 조직의 업무, 역할을 구체화하고, 작업 일정 및 작업 내용을 거시적으로 결정합니다. 이때 전 교직원이 참여하게 되며, 소규모 학교의 경우 지역 실정이 비슷한 학교끼리 공동 편성위원회를 조직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 조직 단계로 조직의 업무, 역할을 구체화하고, 작업 일정 및 작업 내용을 거시적으로 결정합니다. 이때 전 교직원이 참여하게 되며, 소규모 학교의 경우지역 실정이 비슷한 학교끼리 공동 편성위원회를 조직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지자체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지침을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교육부에 고시된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지자체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지침의 세부 내용들을 분석하게 되는데요. 분석을 위해서는 관계 법령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 시책과 지표, 과제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기초 조사를 실시하는 단계입니다. 기초 조사에 필요한 내용으로는 학생의 흥미, 관심, 요구, 학력 등 전반적인 실태가 필요하며, 지역의 지리와 사회적 환경, 산업, 문화, 역사, 전통 등의 지역 실태 확인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학부모의 지도능력과 특기, 요구, 의견, 일반실태 등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며, 교직원 및 학교 시설, 설비 등에 대한 환경 조사도 필요합니다.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과와 재량 활동 및 특별활동 등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학교 교육 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 조사도 필요하며, 학교 교육의 중점과 장기 발전 계획에 대한 분석도 기초 조사를 실시하는 사항이 되며, 마지막으로 학교장의 경영 방침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한 기초 조사 사항이 됩니다.

네 번째는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기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앞서 단계까지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본 원칙을 수립하고, 학교 교육과정의 장기 발전계획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학교 교육과정의 시안을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편제 및 시간 배당, 수업 일수와 시간을 확보하고 조정해야 하며, 교과 및 특별활동의 지도 중점사항을 선정합니다. 교육목표도 상세화해야 하며, 목표에 맞춰 해당 지자체에서 강조하는 점들은 무엇이며, 교육 시책 및 행사, 학교 실정 등은 어떠한지 전반적인 사항들을 고려하여 내용도 조정합니다. 또한 재량 활동에 대한 계획도 수립하며, 특수 학급의 운영 및 특수 재능아들에 대한 교육, 교과 전담제, 복식 학급 편성 및 운영, 특기, 적성 교육 활동, 현장 학습 등에 대한 시안도 작성합니다.

여섯 번째는 작성된 시안의 분석 및 검토, 수정 확정 단계로 이때는 정해진 시안에 대해 심의 검토하며, 추출된 문제점을 반영하여 시안을 작성합니다. 시안을 작성할 때는 무엇보다 학교의 특색을 살리는 활동을 추가하는 것도 중요하겠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단계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을 확정합니다.

시안이 확정되었다면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게 됩니다. 운영은 융통성 있게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지속적으로 연수를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장학 협의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덟 번째 단계는 운영된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단계로 평가 기준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해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평가를 통해 개선해야 하는 사항들을 추출함으로써 다음 연도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2_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각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학교에서는 지역이나 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특화된 교육과정들이 많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앞서 살펴본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편성 운영 사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초등학교의 사례

먼저 경북 경주에 위치한 K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K초등학교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역량을 신라 5화랑 정신과 연계하여 K학교 고유의 역량을 설정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 5화랑 정신인 선덕의 지, 기파랑 의, 죽지랑 미, 김유신 예찬, 사다함 애는 K교육의 핵심역량 입니다. 이러한 신라 5화랑의 정신은 이어가되 시대적 흐름과 교육 주체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행복 교육을 추구하는 K교육의 행복 비전입니다. K교육은 경북 정체성교육인 올곧음, 어울림, 신바람, 나아감을 선도하는 학교로 교육과정에 지역특색의 스토리텔링을 입힌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워크샵과 2016학년도에 운영할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교육과정 워크샵 및 협의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학부모의 다양한 의견도 확인하였습니다.

K초등학교는 핵심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 운영 및 역량 중심 학년별 프로젝트 학습 학기당 1회 운영, 경북정체성 교육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젝트 운영 등 맥락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하여 거품빼기, 맥락 잡기 등 교육과정 수립, 융합하기, 관계맺기 등 교과 수업 운영 원칙, 배움나눔, 비전세움 등 배움 실천 원칙을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중점 시수 편성 시 1~2학년군, 3~4학년군, 5~6학년군 등 3개의 학년군으로 구분하여 무리한 증감보다 실제 운영에 초점을 두고, 핵심성취기준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융합수업을 진행하며, 학습량을 감축하였습니다.

 

2. Y초등학교의 사례

다음으로 충남 천안에 위치한 Y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Y초등학교는 창의성을 배우고, 인성과 감성을 나누고 꿈과 끼를 성장시킴으로써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이라는 미션을 실행시키고자 합니다. 이러한 미션 실행을 위해 사업중심으로 하지 않도록 특색교육 주제를 정하고, 한 학기 또는 연간 운영될 실천 주제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실천 내용을 정하기 위해서는 5~6개의 실천 내용을 정합니다. 체험학습을 교육과정과 연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교과와 창체 시간의 확보 및 재구성, 체험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도록 구성합니다.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학교만의 방향을 진술하고, 연간 수업 시수 확보 계획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교과 감축 시에는 재구성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고, 1학년 입학초기 적응활동 및 교과별 시간 증감 편성 등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였습니다. 편제 및 시간배당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편제한 것을 진술하며,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시간을 증감하였습니다. 특정 교과의 증배 시간 수만큼 다른 교과에서 감축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학년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등학교는 최종 학급 담임제, 학급 교육과정이 필요한 현실입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학년이나 학급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을 제시해주어야 합니다.

 

+ Recent posts